•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urfactant Syste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혼합 계면활성제에 적용된 각종 첨가제가 토양세척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Soil Washing Efficiency for Mixed Surfactants)

  • 최상일;장민;황경엽;류두현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4
    • /
    • 1998
  • 계면활성제에 의해 형성되는 미셀의 바깥층에 전기적인 영향을 주는 전해질과 미셀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유기물질 단량체를 첨가제로 각종 혼합 계면활성제 용액에 적용함으로써 토양세척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POE_5$/SDS] 및 NaCl을 첨가농도를 변화시키면 용액의 표면장력과 CMC 값을 측정하여 세척효율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 세척효율이 상승되는 혼합 계면활성제와 NaCl의 최적 혼합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0.01M의 NaCl이 첨가될 때가 NaCl을 넣지 않았을 때보다 $POE_5$의 혼합 농도비가 80%까지 증가됨에 따라 세척효율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OE_5$/SDS(80%/20%) 3%용액 적용시 90%의 높은 세척효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POE_5$ 단일 성분 수용액에 대한 NaCl의 영향은 극히 미미하였다. SDS 단일 성분 수용액에 대한 CMC값은 0.049% 로 $POE_5$ 단일 성분 수용액에 대한 CMC값인 0.016%보다 높지만, 혼합 게면활성제의 CMC값은 $POE_5$의 혼합 농도비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질 단량체인 알코올류는 탄화수소 사슬의 길이가 길수록, 직쇄형보다는 가지형이 토양세척용 첨가제로 적합하였다.

  • PDF

Dimethyldodecylamine Oxide 의 물/n-프로판올 용매에서 혼합미셸 형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Thermodynamics on the Mixed Micellar Formation of Dimethyldodecylamine Oxide in Water/n-Propanol)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62-569
    • /
    • 1993
  • Dimethyldodecylamine Oxide(DDAO)의 미셀화에 대한 pH 효과와 n-프로판올 효과를 조사하기위하여 유사상태분리모델(pseudophase separa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DDAO는 양성자화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산성화된 중성 계면활성제 두 종류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열역학적으로 이성분 혼합메셀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성분의 조성은 용액의 pH에 따라 달라지며, 각 종류 계면활성제들의 활동도, 미셀상태의 조성, 단량체상태의 조성 및 pH에 따른 임계미셀농도를 유사상태분리이론을 이용하여 실험적인 DDAO의 적정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임계미셀농도와 DDAO의 산-염기 해리평형상수($K_a$)는 미셀상태의 조성에 따라 변하였으며, 이들은 pH가 5인 지점에서 최소점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n-프로판올을 첨가하므로써 DDAO의 임계미셀농도는 감소하였으며, n-프로판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임계미셀농도는 더욱 감소하였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원위치 토양세정 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In-situ Soil Flushing Using Surfactant)

  • 최상일;소정현;조장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4호
    • /
    • pp.87-91
    • /
    • 2002
  • 유류로 오염된 부지에 토양세정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컬럼실험을 통하여 pilot규모 현장 적용을 위한 설계인자 및 최적 운전조건을 규명하고자 적정 세척제 종류와 농도, 배합비 및 세정용액 주입유량을 고찰하였다. 회분식실험 결과 $POE_{14}$와 SDS(1:1)를 1%로 적용한 혼합계면활성제의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예비실험 결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SDS는 생분해능 저해 경향이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같은 농도에서 효율이 거의 유사하며, 생분해능이 우수한 $POE_{5}$$POE_{14}$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선정된 혼합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디젤 오염토양 세척능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세척제 농도 l%까지는 효율이 증가하다가 1% 이상의 농도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면활성제 배합비를 1:1로 혼합하였을 경우 세척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POE_{5}$$POE_{14}$(1:1) l% 혼합계면활성제를 세척제로 선정하였다. 컬럼실험 결과, 주입 flux가 클수록 세정 제거된 총 유류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같은 pore velum히 세정용액 통과 시에는 flux가 작을수록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미셀형성(제3보) -비이온성과 이온성계면활성제의 혼합 미셀에 있어 자기확산 및 프로톤 이완- (Micelle Formation of Surfactant Solution(3) -Self-Diffusion and 1H Relaxation for Mixed Micelle of Nonionic and Ionic Surfactants-)

  • 최성옥;곽광수;박흥조;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76-880
    • /
    • 1999
  • 이온성과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의 혼합 미셀 용액의 자기확산계수는 NMR FT-PGSE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톤 NMR 피크의 폭을 관찰하였다. 연구된 계는 $C_{12}EO_5/SDS/D_2O$, $C_{12}EO_5/DTAC/D_2O$$C_{12}EO_8/SDS/D_2O$의 혼합계이다. 모든 시료에서 솔벤트와 계면활성제의 몰비는 일정하고 계면활성제의 혼합비는 다양하게 실험을 하였다. $C_{12}EO_5$ 계에서 계면활성제의 자기확산계수는 이온성계면활성제의 혼합비가 약 25%일 때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비이온성계면활성제가 이온성계면활성제로 치환됨에 따라서 자기확산계수가 감소하는 것은 미셀간의 반발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온성계면활성제의 높은 분율에서 자기확산계수가 증가하는 것은 미셀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C_{12}EO_8$ 계에서 계면활성제의 혼합비의 효과는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큰 관능기의 면적 때문에 거의 없다. 프로톤 NMR 피크와 자기확산계수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알킬 사슬의 메틸렌 시그날의 넓혀짐 현상은 자기확산계수가 작을 때 나타난다.

  • PDF

전착법을 이용한 메조포러스 니켈 필름의 제조와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soporous Ni Film Made by Electroplating Method)

  • 이지훈;백영남;김영석;신승한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2
    • /
    • 2007
  • Recently, mesoporous metallic material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various applications like catalysts, electrochemical detectors, batteries, and fuel cells because of their high surface area. Among the various methods for manufacturing mesoporous structure, surfactant templating method followed by electroplating has been tried in this study. A mesoporous metallic film was prepared by electrodeposition from electroplating solution mixed with surfactant template. Nonionic type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surfactant, Brij56, and nickel acetate based solution were selected as a template material and electroplating solution,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content of surfactant forming a hexagonal column structure, the phase diagram of electroplating solution and surfactant mixture has been exploited by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equipped with heating and cooling stage. Nickel films were electroplated on Cu foil by stepwise potential input method to alleviate the concentration polarization occurred during the electroplating process. TEM and XRD analyse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size and shape of mesostructures in manufactured nickel films,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was also carried out using cyclic voltammetry.

드라이클리닝 시스템에서의 세척성과 재오염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혼합이 미치는 영향- (Detergency and soil Redeposition in a Drycleaning System -The Effect of Surfactant Type and Their Mixture-)

  • 김주연;박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30-1039
    • /
    • 1999
  • The effect of surfactant mixture 9on detergency and soil redeposition in a dry-cleaning system was investigated employing Aerosol OT as an anionic surfactant and Span 80 as a nonionic surfactant. The effect of charge system on soil deposi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at which soil redeposition is minimum,. Soil deposition instead of soil redeposition on cotton, polyester and wool fabrics was measured employing petroleum solvent and perchloroethylene as organic solv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rface tension or interfacial tension was not changed by the addition of any surfactant or surfactant mixtures. In petroleum solvent however interfacial tension between solrent and water decreased when surfactants were added and increased when surfactants were mixed,. 2. The maximum amount of water solubilization increased as the mole fraction of Aerosol OT increased and more water was solubilized in petroleum solvent than in perchloroethylene. 3. The detergency of cotton was greater and the soil deposition rate was lower in Span 80 solution than in Aerosol OT solution. The soil deposition on cotton fabric decreased when water was solubilized in Aersol OT solution 4. The detergency and soil deposition rate of polyester fabric did not change by the surfactant type of the addition of surfactant mixture and soil deposition rate increased bywater solubilization. 5. Soil deposition on wool fabric was very high when Arosol OT was employed in perchloroethylene and the soil deposition did not change greatly by water solubilization.

  • PDF

음이온(SED)/양쪽성(TDB, ODB) 계면활성제 혼합미셀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ion(SDE)/Zwitterionic(TDB, ODB) Surfactants in Mixed Micelles)

  • 안범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8-245
    • /
    • 2004
  • The interaction between anion and zwitterionic surfactant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surface tension, NMR spectroscopy, and fluorescence studies. These systems are N-tetradecyloxymethyl-N,N-dimethyl betaine ($C_{14}$, TDB), N-octadecyloxymethyl-N,Ndimethyl betaine ($C_{18}$, ODB), and sodium dodecylethoxy sulfate (SDE). These systems show a composition dependency in micellar properties. When the molar fraction of TDB and ODB was about 0.6, the cmc values of these systems showed minima, whereas the solubilized amount of a water insoluble dye, NMR line width showed maxima. These changes comes from the intramolecular complexes formed in the mixed micelles. The complexes are due to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of oppositely charged head groups of betaine and sodium dodecylethoxy sulfate. A comparison of betaine and SDE alkyl methylene group line widths to those of n-methyl group indicates that the interior of the micelle in the restricted region is more immobile than the head group.

O/W 나노에멀젼 분산안정성에 미치는 보관온도의 영향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O/W Nano-emulsions)

  • 이예은;유인상
    • KSBB Journal
    • /
    • 제29권5호
    • /
    • pp.385-391
    • /
    • 2014
  • In this study, the emulsion dispersion stability of optimizing storage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The system was based on oil/water (O/W) emuls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stability, mean diameter of droplet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ith various mixed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HLB).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 and the optimum storage temperature were probed. In this system, majority of the smallest droplet was shown at temperature of $20^{\circ}C$ below PIT. Whether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or decreased from the optimum, size of the droplet increased. According to the mixed HLB, the particle size and optimum storage temperature were also affected. As the concentrations of surfactant were increased, the size of particle decreased with lower optimum temperature for storage. If the surfactant (4 wt%) were mixed with HLB, the optimum storage temperature was $21^{\circ}C$ for maintaining the size of smallest droplet at 108.3 nm in diameter. At above optimum condition, increased size of particle was observed approximately 4 % increases from 108.2 nm to 112.3 nm after 600 hours. The size of particle in emulsion was maintained stably without any considerable effect of Ostwald ripening phenomena at the optimum storage temperature with low polydispersity index.

음이온성 계면활성제(DB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Brij 30과 Brij 35)와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s of Anionic Surfactant (DBS) with Nonionic Surfactnats (Brij 30 and Brij 35))

  • 박인정;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491-498
    • /
    • 2009
  • 25 ${^{\circ}C}$의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B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rij 30 (polyoxyethylene(4) lauryl ether)과 Brij 35 (polyoxyethylene(23)lauryl ether)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DBS의 겉보기몰분율($\alpha$1)의 함수로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미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i, $\gamma$i, Ci, aiM, $\beta$${\Delta}H_{mix}$)들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DBS는 Brij 30보다는 Brij 35와 더욱 강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이상적 혼합미셀화로부터 더욱 큰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N-Dodecanoyl, N-Methyl Glucamine (GL-12)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lubilizing Capacity of GL-12 and Anionic Surfactant Mixtures)

  • 안호정;오성근;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881-8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유용성 염료인 sudan III를 이용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GL-12와 범용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linear laurylbenzene sulfonate(LAS) 또는 sodium polyoxyethylene(3) glycol lauryl ether sulfate (SLES) 혼합 용액의 가용화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계면활성제 혼합계 (GL-12/LAS, GL-12/SLES)의 가용화력은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GL-12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용화력도 증가 하였다. 용액의 가용화력에 NaCl이 미치는 영향으로부터 GL-12/LAS계에서는 solubilizate인 sudan III가 가용화 후 미셀내 palisade 층 근처에 위치하고 GL-12/SLES 혼합계에서는 solubilizate가 미셀의 core부근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LAS와 SLES의 분자구조 차이에 기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