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Layer Depth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8초

고빈도 수온 자료를 이용한 팔당호의 성층과 흐름 변화 분석 (Analyzing Flow Variation and Stratification of Paldang Reservoir Using High-frequency W ater Temperature Data)

  • 류인구;이보미;조용철;최황정;신동석;김상훈;유순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92-404
    • /
    • 2020
  •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thermal stratification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ification structure and the tributaries to understand flow variations in the Paldang Reservoir.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temperature and density gradients, and the depth and thickness of the thermocline were quantitatively calculated using a lake physics tool (rLakeAnalyzer) and high-frequency monitoring data. Based on a density gradient of 0.2 kg/㎥/m, the thermocline was formed from mid-May to early-September 2019 and the other periods were weakly stratified or mixed. The thickness of the thermocline was developed until 4.7 m and the depth of the thermocline was formed at a depth of 3 - 6 m at the front of the Paldang Reservoir. During the formation of the thermocline, the Namhangang and Gyeongancheon tributaries with relatively high water temperature (low-density) flowed into the upper layer of the reservoir, and the Bukhangang tributary with low water temperature (high-density) mainly affected the lower layer of the reservoir. This is because the density currents were form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tributa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constructing high-frequency monitoring and quantitative data analyses of reservoirs.

북동태평양 KODOS 해역의 유기탄소 및 겉보기산소량 특성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and Apparent Oxygen Utiliza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 손주원;손승규;김경홍;김기현;박용철;김동화;김태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13
    • /
    • 2005
  • The samples for organic carbon analysis were collected between $5^{\circ}\;and\;17^{\circ}N$ along $131.5^{\circ}W$ in the northeast Pacific KODOS (Korea Deep Ocean Study) area.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in the surface mixed layer $({\sim}50 m)$ was $100.13{\pm}2.05{\mu}M-C$, while the mean concentration of TOC in the lower 500m of the water column was $50.19{\pm}4.23{\mu}M-C$. A strong linear regression between TOC and temperature $(r^2=0.70)$ showed that TOC distribution was controlled by physical process. Results from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chlorophyll-a and TOC, and between chlorophyll-a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decreasing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in the surface layer caused by non-biological photo-oxidation process. Below the surface layer, biologic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occurred. DOC accumulation dominated in the depth range of $30{\sim}50m$ and DOC consumption occurred in the depth range of $50{\sim}200m$. TOC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 and TOC/AOU molar ratios ranged from -0.077 to -0.21. These ratios indicated that TOC oxidation was responsible fur $10.9{\sim}30.1%$ (mean 20.2%) of oxygen consump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In the euphotic zone, distributions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were controlled by photo-chemical, 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processes.

하계 서태평양의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연구 (The Summer Distribution of Picophytoplankton in the Western Pacific)

  • 노재훈;유신재;강성호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67-80
    • /
    • 2006
  • 환경특성이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태평양의 열대와 아열대 수역(TSWP)과 동해에서 2002년 9월 조사를 하였고, 동중국해 대륙붕수역 (C-ECS)은 2003년 8월에 조사를 수행하였다.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은 flow cytometry 방법을 이용 Synechoroccus, Prorhlorococcus 그리고 picoeukaryotes의 3개체군으로 구분 계수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이 상이한 3곳의 조사수역 별로 초미소 식물플랑크콘들의 수직분포, 100m 수심까지 적분된 풍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synechococcus와 Prochlorococcus의 적분된 개체수는 3곳의 조사수역에서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Synechococcus는 TSWP에서 정점평균 $84.5X10^{10}\;cells\;m^{-2}$의 풍도를, C-ECS에서 $305.6X10^{10}\;cells\;m^{-2}$를 동해에선 $124.5X10^{10}\;cells\;m^{-2}$의 풍도를 보여 영영염이 풍부한 지역에서 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Prochlorococcus는 빈 영양 환경의 TSWP에서 $504.5X10^{10}\;cells\;m^{-2}$의 가장 높은 풍도를 보였으며, 영양염 환경이 양호한 C-ECS에서 낮은 풍도를 보이는 독특한 분포양상을 나타냈다. Picoeukaryotes는 Synechococcus와 유사한 지역적 변화를 보였으나 풍도는 약 1/10정도를 나타냈다. Synechococcus와 picoeukaryotes는 모든 정점에서 출현한 반면 Prochlorococcus는 일반적으로 C-ECS와 동해의 저염 환경에서 출현하지 많았다. Synechococcus와 Prochlorococcus의 수층별 평균 풍도의 수직분포는 표면 혼합층에서 유사한 수준을 보이다 이심에서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다. 그러나 TSWP에선 풍도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지 많고 100 m 수심까지 높은 풍도를 나타냈다. Picoeukaryotes는 C-ECS에서 100 m까지 유사한 수준의 풍도를 보였으며, 동해의 $20\sim30\;m$ 수심에선 최대 풍도층이 나타났다.

춘계 한국 동해남부 연안해역에서 해수중 $^{210}Po$$^{234}Th$의 제거 (Removal of $^{210}Po$ and $^{234}Th$ from Seawater at the East-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 Peninsula in Spring)

  • 이행필;양한섭;김기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2-344
    • /
    • 1996
  • 본 연구는 대마난류의 주류역인 동해 남부해역의 포항 연안의 6개 정점에서 1994년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수층별로 채수하고, 이 해역에서 $^{210}Po$$^{234}Th$의 제거속도 혹은 체류시간과 제거과정을 알아보았다. $^{210}Po$는 대체적으로 연안쪽 정점들에서는 표면혼합층에서 낮고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 다소 높지만, 바깥쪽 정점들에서는 표면혼합층에서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10}Pb$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표면 혼합층에서는 대체적으로 $^{210}Po$가 어미핵종보다 부족량을 보이나,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는 어미핵종과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이거나 약간의 과잉량을 보였다. $^{210}Pb$는 표면혼합층에서는 어미핵종인 $^{226}Ra$보다 과잉량을 보이나,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는 약간 부족량을 보이거나 혹은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인다. $^{234}Th$는 표면혼합층과 수온약층이 그 하부층보다 현저히 낮다. $^{210}Po$의 체류시간은 $1\~4$년의 범위로 비교적 연안쪽의 정점들 (E3, E4, E5)이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들(E6, E7)보다 짧았다. 그러나 정점 E8에서는 약 10년으로 매우 길었으며, 이는 다른 정점들에 비해 표면혼합층이 두꺼운 관계로 하부 표면혼합층에서 재순환된 $^{210}Po$가 수직혼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234}Th$의 체류시간은 $52\~74$일의 범위로 정점별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210}Po$의 체류시간에 비해서 훨씬 짧았다. 표면혼합층 내에서 해수중 $^{234}Th$는 용존태의 수층별 제거속도상수가 총부유물질과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비생물기원의 무기입자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있는 반면에, $^{210}Po$는 용존태의 제거 속도상수가 클로로필 $^{210}Po$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생물체 (주로 동${\cdot}$식물플랑크톤)에 흡수되어 제거되고 입자물질 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 PDF

이른 여름 동중국해 대륙사면의 해양환경과 소형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직분포 특성 (Vertical Profiles of Marine Environments and Micro-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ntinental Slope Area of the East China Sea in Early Summer 2009)

  • 윤양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1-162
    • /
    • 2013
  • 2009년 이른 여름 동중국해 동부의 대륙사면을 대상으로 해양환경과 소형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수온약층은 뚜렷하지 않고 수심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염분은 표층에서 낮고 비교적 깊은 수심까지 균일한 분포를 보이나, 중간 수층이하에서는 수심과 비례하여 150~200 m에서 최댓값을 보인 다음 감소하였으나,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 sigma-t의 변화는 수온에 의해 지배되어, 표층에서 수심과 함께 완만히 증가하여 약 500 m에서 표층보다 약 3 $kg/m^3$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광량은 해수 표층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보상심도는 약 100 m 수심에 위치하였다. 엽록소 a의 연직분포는 수온이나 염분보다 광량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심도에서 최댓값을 나타내었다. 소형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56속 103종으로 비교적 다양하였고, 세포밀도 역시 엽록소 a가 최댓값을 나타내는 수심에서 112.0~470.0 cells/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에서 극우점하는 종은 없고, 낮은 점유율로 다양한 종이 출현하지만, 일부 정점에서 규질편모조류인 Octactis octonaria나 규조류인 Leptocylindrus mediterraneus에 의해 26%의 우점율은 나타내는 것은 이례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된 빈영양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등 미소생물의 군집 해석은 표층, 중층 및 저층과 같은 일정 수심 간격의 조사가 아닌, 해양환경의 연직분포나 엽록소 최대층의 파악과 같은 연속관측의 결과와 연계된 생태연구가 필수적임을 지적하고 있다.

매립지 바닥층의 고화토 포설시 동결/융해의 특성 (A Characteristic of Freeze and Thaw on Use for Stabilized Soil in Landfill Bottom Liners)

  • 김흥석;이송;이재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9-39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현대화 및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과학기술의 발전은 주목할만한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과학기술에 의한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부가적으로 쓰레기 매립지의 설치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동결/융해하는 동안 매립층의 거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문제점을 명백히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현장의 매립지와 유사한 기후조건 및 경계조건, 강우조건 등을 재현하는 대형 실내모형장비를 사용하였다. 점토와 시멘트, 무기물 광물을 혼합하여 제작된 고화처리층은 지지력을 목적으로 하는 45cm의 고화토층과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30cm의 불투수층의 $P_A$$P_B$층으로 구성되었으며 고화처리층 하부에는 30cm의 지하수 배제층, 상부에는 60cm의 침출수 집배수층으로 설계하였다.

  • PDF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組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III) - 혼효임(混淆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ixed Stands -)

  • 박재현;정용호;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683-691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組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5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4종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하층식생 피복도, 표층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F층 두께 등 4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 10cm 깊이의 토양견밀도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증대에 영향하는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유기물함량비 등 2개 인자이었다.

  • PDF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 변화양상 검토: SCHISM 적용 (Numerical Simulation of Changes on Mixed Layer Depth with Climate Variability : SCHISM model)

  • 유형주;이준수;김동현;이승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3-273
    • /
    • 2022
  • 혼합층(Mixed layer)은 온도가 일정한 수심층으로, 해수표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해수가 위아래로 섞여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층은 영양염의 순환과 산소의 공급 등과 함께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혼합층 두께의 변동은 양식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산업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강원연구원, 2017). 이에 국립수산과학원,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유관기관에서는 정선해양 수온 관측 및 해수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혼합층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격자 구축 및 초기·경계장 설정의 한계가 존재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혼합층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격자를 사용하여 격자 구축에 제약이 없는 SCHISM (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계절변화 및 기후변동성에 따른 혼합층 두께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해·동해·남해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위도: 32°N ~ 39°N, 경도: 124°E ~ 132°E)으로 선정하였으며, 격자크기 100 ~ 3,000 m인 삼각격자로 격자를 구축하였다. 혼합층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격자 층은 50층으로 SZ(Sigma Z coordinate system)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초기·경계장은 FES(Finite Element Solution)2014, HYCOM(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및 대기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설정하였다. 수치모형 검증을 위하여 수온관측소에서 수심별 측정한 수온 값과 SCHISM 결과 값을 비교하였고, 상대오차가 약 10% 이내로 나타나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계절별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대기모델과의 혼합모형 구축 및 다양한 수심 별 관측자료를 활용한다면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혼합층 분석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지역에 대한 피해저감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치악산도립공원에서의 양영행위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ing Recreation on Natural Environment in Mt. Chiak National Park)

  • 권영선;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8
    • /
    • 1987
  • This study was executed to measure the user\`s impact natural environment in National Park Campsite. Therefore, we choose Mt. Chiak National Park and the campsite in the district of Temple Ku-Ryong as a model of analysis, which is made by ecological approach, the number of the user has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near the campsite.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more the number of users becomes, the more Na, Ca, Mg ion concentration and pH in the soil increase and the less K ion becomes. 2. Litter and humus depth, litter coverage, herb coverage, soil hardness, the surface of the ground layer and tree species numbers, density and coverage of lower layer shows a sensitive reaction to the number of the users. 3. The research shows that the tolerant trees against campsite impact are Lespedeza maximowiczii, Zanthoxylum schinifolium Staphylea bumalda, Smilax sieboldii, Quercus aliena, Euonymus oxyphyllus, Weigela subsessilis and Securinega suffruticosa, and the sensitive trees are Stephanandra incisa, Rubus trichocarpa, Rubus crataegifolius, Rhododendron mucronulatum, Styrax obassia, Acer palmatum,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suhlippenbachii, Rhus japonica and Callicarpa japonica. 4. The high density of the users made the simplication of a vegetation structure. So, as the number of the user increase the species showed severe heterogeniety between the heavy-use and nonuse site. 5. As conside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bout campsite and surrounding area on the way of analysis of national landscape aspect and succession sere according to ecological aspect, it may be desirable that Pinus densiflora forest be conserved as Pinus densiflora landscape and mixed forest produce natural scenery with succession sere.

  • PDF

Development of a Compression Inner Layer Attachable to Dress Shirts for Gynecomastia Sufferers

  • Yoh, Eunah;Kwak, Ji-Hy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624-63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ssion inner layer (CIL) that can be attached to dress shirts for men who have gynecomastia (male breast enlargement). For this, we developed shirts with CIL prototypes based on the functional, expressive, and aesthetic (FEA) consumer needs model. The user-centered design principle guided the design process. Based on size measurements, in-depth interviews, and an online survey, the design requirements for dress shirts with a CIL were determined, and the prototype was developed. The dress shirts were constructed of polyester and spandex mixed materials, while the CIL was made of thin mesh fabric knitted from 80% polyester and 20% spandex. A CIL prototype was developed with a front zipper fastening to hold the upper body tight and compress the breast area. The CIL was attached by connecting a strap with snap buttons to loops sewn into the shoulder line of the dress shirt. In the trial and sensory test, the prototype helped breast size decrease while meeting target consumer needs. The outcomes of this study provide necessary insights to develop garments for gynecomastia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