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onary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개신교 교회건축의 평면형태 변천 연구 - '남녀유별' 관념과 회중석의 남녀 위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Plan Type of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 Focu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男女有別) and the seat position of the sexes -)

  • 이희준;윤인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3호
    • /
    • pp.129-148
    • /
    • 2005
  • The plan type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underwent changes as following five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First stage - At the beginning of missionary work in Korea, Koreans generally worshiped in missionary houses which were traditional Korean styles. The plan type of these houses was a simple '-' figure. At that time, men and women worshiped separately because of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ey either worshiped in different places at the same time or in the same place at the different time. Second stage - At this stage, men and women started to worship together in the same place. At the beginning of this stage, men sat in the front of the chapel on a rostrum, and women sat behind the men. The plan type of the chapel was a simple '-' or a rectangular figure. Later, they sat separately on the right and left side. There are the visual interceptions which were set up between them. As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increased rapidly, a new type of church architecture appeared. It was a 'ㄱ' figure. At that time the entrances were separated by the sexes. Third stage - At this stage, the visual interceptions disappeared as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became weak. As new churches had been constructed by the plan type of rectangular figure, the visual interceptions weren't set up anymore. Fourth stage - At this stage, the separated entrances were unified as one. But the arrangement of their seats didn't change because of the old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Fifth stage - In the final stage, the plan type of the church architecture was not determined by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but social, economical, technological facts and the influence of the foreign architecture. At this stage, new and various kinds of the plan type appeared such as the fan, round, squared, or oval figure as well as the rectangular figure. Men and women were not classified anymore. They started to sit and worship together in the same place. Also, when men and women sat separately from side to side because of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men sat on the right and women sat on the left side of rostrum. It didn't applied Confucian ideas but the idea of protestant church; protestant churches have the idea that the right side is more important but it does not in Confucianism.

  • PDF

우리나라 초기 외국인 선교사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필요성 연구(1800-1910) (The Needs of Digital Archive Development for the Records of Early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1800-1910))

  • 장윤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65-281
    • /
    • 2013
  • 우리나라 초기 개신교 선교사에 대한 역사는 19세기 말 쇄국정치가 막을 내리고 서구문명에 대한 문이 열리면서 외국인 선교사들이 의사 혹은 교사 등의 전문가 신분으로 들어와 활동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선교사들의 기록물은 단순한 종교적인 가치를 넘어 우리나라 근대 역사, 정치, 경제, 사회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 선교사 자료의 역사적인 가치는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책이나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시도는 현재까지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 서적, 정기간행물, 일기, 편지, 사진 등의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는 초기선교사 자료는 현재 이들을 파송한 선교회, 신학대학, 정부기관, 도서관, 박물관, 연구소, 선교사 가족 등에 산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초기 외국인 선교사 자료에 대한 현황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 자료의 아카이브 현황과 향후 체계화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에 개신교 선교사가 처음 들어오기 시작한 1800년대부터 일본강점기 이전 1910년으로 제한하였다.

북미지역에 소장된 내한 의료선교사 편지 기록의 현황과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가능성 (Letters by Medical Missionaries to Korea: Exploring Digital Humanities Approaches)

  • 허경진;한미경;이혜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252
    • /
    • 2018
  • 1884년 한국에 온 최초의 의료선교사 Horace Allen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을 세운 뒤에 John Heron, Oliver Avison 등 외국인 의사들이 선교를 목적으로 차례로 입국하였다. 이들은 병원과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진료와 교육활동을 통하여 근대의학을 보급하고 발전시켰다. 또한 체류기간동안 파송기관과 교회에 공적 기록물을 작성하여 보고하였고 동료, 후원자, 그리고 가족들에게는 개인적인 기록물을 남겼다. 개화기 이후 내한선교사들의 기록, 즉 보고서, 기행문, 편지, 일기, 사진, 구술자료 등은 우리나라 근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사료이다. 특히 일기나 기행문이 자세한 기록이기는 하지만, 일방적인 기록이기 때문에 과장되거나 불확실한 경우가 있는 것에 비해 편지는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기록이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가능하고 회고록처럼 후일의 상황변동에 따라 수정하거나 변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학술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내한 의료선교사들의 1차적인 기록인 편지를 보다 포괄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북미지역 29개 기관에 소장된 49개의 기록물 컬렉션을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또한 이들의 자료적 가치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근대사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국사 최초의 망원경 I. 정두원(鄭斗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 (The First Telescope in the Korean History I. Translation of Jeong's Report)

  • 안상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37-266
    • /
    • 2009
  • 1631년에 명(明)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정두원은 산둥(산동(山東)) 반도의 덩저우(등주(登州))에서 예수회 선교사인 조앙 로드리게스를 만났다. 로드리게스는 정두원에게 많은 다수의 서양 문물을 전해주었다. 정두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는 이 사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료이다. 이 문헌은 고전 한문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어로 역주를 하였고, 그 과정에서 이전 연구자들이 오해한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바로 잡았다. 이 문헌에 따르면, 정두원이 받아온 것은, 중국어로 저술된 서양 서적 네 권, 명(明) 조정에 홍이포(紅夷砲)를 바친 경위에 대한 보고서, 망원경, 수발총, 폴리오트식 기계 시계, 마테오 리치가 그린 세계지도, 천문도, 해시계 등이었다. 우리는 이 물품들이 한국 과학기술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특히 정두원의 서양 문물 전래는 한국 천문학사에서도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가 가져온 망원경이 한국사상 최초의 망원경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의 임금과 관리들은 망원경, 홍이포, 신식 조총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군사적으로 유용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이를 재빨리 수용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지 못했다. 우리는 당시 동아시아 과학기술사의 일반적인 역사에 비추어 보아 그 까닭을 재고해보려한다.

한국과 일본의 교육기본법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Fundamental Act of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정기오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161-183
    • /
    • 2018
  • 이 논문은 1997년 한국교육기본법과 2006 전면개정 일본교육기본법을 비교 교육 비교법 측면에서 비교분석한다. 두 법률을 그 문장론, 법개념과 법리, 교육철학과 교육풍토의 세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한 일 약국 교육기본법의 특징을 도출하고 있다. 첫째, 한국교육기본법은 교육당사자들을 권리 권능의 주체로 명시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권리 권능의 주체에 대해 불분명하다. 둘째, 한국교육기본법은 시민적 권리와 법질서를 지향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공법적 질서를 지향한다. 셋째, 한국교육기본법은 당사자주의 일본교육기본법은 직권주의를 지향한다. 넷째, 한국교육기본법은 교사수권 교육과정을 지향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행정수권교육과 정을 지향한다. 다섯째, 학교의 공공성을 한국교육기본법은 공식교육과정으로 예상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국가독점성으로 상정한다. 여섯째, 한국교육기본법은 교직 전문직관에 기초해 있으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교직 성직관에 입각해 있다. 일곱째, 한국교육기본법은 종교적으로 세속화된 교육을 지향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일본 전통종교와 조화된 교육을 지향한다. 여덟째, 한국교육기본법은 발전도상 시기의 발전교육관을 유지하고 있으나 일본교육기본법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강조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교육기본법은 시민적 교육법제를 위한 기본법을 지향하며 일본교육기본법 공법적 교육법제를 지향하고 있다.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적 보유론에 관한 비평적 고찰: 제(帝), 천(天)개념의 변천사를 중심으로 (Critical Study on Mattheo Ricci's Accommodation and Naturalization Focusing on Changes in the Concepts of Di(Emperor Above) and Tian(Heaven))

  • 김영웅;제해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00-412
    • /
    • 2022
  • 명말청초(明末淸初), 중국에 건너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포교를 위해 『시경(詩經)』 등 여러 중국의 고전을 연구하여 적응주의적 보유론(補儒論)을 주창하였다. 그들이 차용한 '제(帝)'와 '천(天)'은 유교의 핵심 용어들인데 본래 초월적인 신개념을 함유하고 있던 '제'는 주대(周代)에 이르러 정치적 격변 속에서 위상이 격하되었고 물질적인 의미의 '천'은 오히려 위상이 격상되었다. 그러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제'의 종교적 기능을 대체한 '천'의 역할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고 종교적 의미가 탈색되면서 철학적 의미로 고착되었다. 인본주의가 신본주의를 대신하는 역사의 하향적 흐름 속에서 두 용어 모두 종교적 기능을 잃어버린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적 신관을 표현하기 위해 차용된 두 용어는 기독교 신관의 고유성을 충분히 담아낼 수 없었다. 토착화를 위한 도구였던 '제'와 '천'은 고작 유교적 사유의 연장선에 머물고 말았고 결과적으로 기독교는 유교의 부속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성에 치우친 철학적 탐구는 계시로 말미암는 거룩한 가르침과 짝을 이루지 않는 한 중국인들을 진정한 기독교 '신앙'으로 인도함에 있어서 온전한 역할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기독교의 선교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지평을 열 방안들을 발굴하는 연구를 다양하게 시도할 필요가 있다.

루마니아에서의 한국문학번역: 실태와 개선점 및 번역교육에 대한 고찰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Romania)

  • 곽동훈
    • 동유럽발칸연구
    • /
    • 제43권1호
    • /
    • pp.3-30
    • /
    • 2019
  • 세계화 물결이 가져온 다양한 문화적 교류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현상을 바라보고 전달하는 적절한 렌즈(lens)가 필요하다. 어떠한 렌즈를 통해 보느냐에 따라 이해의 폭과 깊이가 매우 상이하다. 번역은 바로 언어의 장벽이 존재하는 세계를 서로 소통시키는 렌즈라고 간주할 수 있겠다. 세상을 바라보고 평가하는 다양한 문화적 잣대 중 문학은 각 사회가 지닌 지적이자 예술적이며 사회의 전체적인 생활 방식이 결합된 일종의 보편적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 복합체인 문학을 전달하는 것, 즉 다른 언어권의 사람들에게 우리 문학의 가치를 소개하며 인식케 하는 것은 올바른 번역에서 시작된다. 번역가는 단순한 전달자가 아닌 문학의 전도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문학의 번역화 과정은 단순한 언어적 능력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번역가의 다양한 재능이 요구되는 고난도의 인문학적 행위라 말할 수 있다. 루마니아에서 올바른 한국문학 번역가는 한국과 루마니아의 문화적 틀 내에서 다양한 재능과 사회화 경험을 갖춘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각 나라마다 번역 환경의 요구 사항이 다르듯이 루마니아가 수용하고자 하는 해외 번역문학의 패러다임도 특징이 매우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인지한 후 한국문학의 가치를 루마니아에 전파해야 하겠다. 번역가는 또 하나의 원작을 창출하는 존재이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루마니아 내 한국학 교육도 올바른 번역가 양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필리핀 지방정치의 역동성: 북부 수리가오 주의 토착 기독교 종교단체 (PBMA) 사례 연구 (The Dynamics of Local Politics in the Philippines: A Case Study on the PBMA in Surigao del Norte Province)

  • 류석춘;왕혜숙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19권2호
    • /
    • pp.1-56
    • /
    • 2009
  •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Philippines politics has achieved a basic soil for democracy at the macro-level by the two incidents of 'People Power' (1986 & 2001). However, in spite of such an achievement, Philippine politics at the micro-level, does not enjoy the same reputation. Institutionalized 'Bossism' or 'patron/clientelism' political culture has been attributed to make such a gap. This paper aims to bridge the gap by a longitudinal observation on local politics of a particular province in the Philippines. Surigao del Norte is the province picked up for the study. The reason why this particular province attracts special concerns is that there appears to come a very dynamic local politics, led by an indigenous Christian organization, the PBMA (Philippines Benevolent Missionary Association), which was founded in the mid 1960s. With the coming of the organization in the province, the political power of the traditional families has been narrowed. On the other hand, new families, not only the leader family of the PBMA but also the family allied with the PBMA, has expanded political influence. Following steps are ado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uch a change. First, institutional frame of Philippine politics and elections will be reviewed. Second, demographic changes will be investigated on Surigao del Norte province to find out how popular the PBMA organization is among the people. Third, local election outcomes will be examined to describe the changing nature of political landscape of the province. This will reveal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families has been developed in the province. Lastly, based on the facts discovered by a longitudinal observation, an attempt to evaluate theories on Philippines politics will be mad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Philippine politics, 'expectations from the below,' or, 'passions of the people,' suggested by Ileto, needs more attention. Furthermore, 'mutual accommodation' between domination and resistance, coined by Abinales, also demands more appreciation. The case of local politics in the Surigao del Norte, with the coming of the PBMA, is sure to show a concrete example of changing politics in the 'changeless land.'

광주구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홀의 변화와 원형추정 연구 (A Study on Process of Change and Assumption of Archetype of Winsborough Hall at Speer Girls' School in Gwangju)

  • 신웅주;성대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7-105
    • /
    • 2012
  • Winsborough Hall built by Martin L. Winehart who was the missiona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America in 1927 was built by Mrs. Winsborough's birthday contribution. Winsborough Hall was clearly divided into the original form built in 1927 and remodelled form by extension. Most of walls were constructed with several kinds of bricks for both sides and opening in the original form and remodelled form. Each room divided by inner wall was kept with original form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odel it on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But,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s that security of opening at some rooms and annexation of rooms through removal of the wall on the 2nd floor which was relatively easy to transform wall compared to the first floor were made. Variability of the wall affected the truss structure of roof and it created rare double truss structure. Architectural value of Winsborough Hall was in its first architectural trial using red brick in Gwangju region since 1920s. It suggested that it was differential architectural trial from Korean-Western mixed building constructed by the missionaries from 1940 to 1910 and buildings made of gray bricks prevailed from 1911 to 1920 and it showed the advancement i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materials.

1876~1945년 한국 근대보건의료시설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process of the Modern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1876~1945 year)

  • 오종희;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5-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o describe the architectural issues of the healthcare facilities in 1876~1945 years. Between 1876~1895 yr, the first western hospital "Jejung-Won" was built in Seoul by the Korean Gov. with the help of the American Missionary Dr. Allen. The special clinic for curing smallpox, Udu-Kuk was built nationally and the hospitals for infection disease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s. In the next stage 1896~1905, 1905~1910 yr, there were many type of facilities such as military hospital, oriental medicine hospital, public hospital for poor people, clinic or hospital for Mission. After being conquered by Japan in 1910~1945, the Japan Healthcare System was directly transferred into Korean system and the healthcare facilities was built by japanese architect. At that time, the Japan healthcare system had been constructed after following the modern European healthcare system. Most healthcare facilities in the age of Japanese imperialist was handed over to the Korean Government in 1950~1960 yr after world war I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