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or violenc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근교 농촌부부의 갈등표출행동에 관한 연구 (Conflict Resolution Acts of Rural Spouses)

  • 이정화;최은숙;한경혜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54
    • /
    • 199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rital conflict resolution acts (CRA) of rural spous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A and several important factors : socio-demographic, marital relation and drinking pattern facto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50 rural women who are married and live with their husband. A modification of the Conflict Tactics Scale is used to measure the CRA of four levels, reasoning, verbal aggression, minor physical violence, and heavy physical violenc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ies of each type of the CRA-reasoning, verbal aggression, minor physical violence and heavy physical violence-are 12.1%, 57.9%, 17.1% and 12.9% respectively. Therefore, the verbal aggression is the most prevalent type of the CRA Second, the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shows that the conflict from husband's whoring, husband's drinking capacity and family type have a meaningful impact on husband's physical violence.

  • PDF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과 함의 (A Review and Implication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ct Revision)

  • 성문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1-126
    • /
    • 2020
  • 본 논문은 학교폭력의 실태를 고찰하고, 2019년 개정된 학교폭력대책 및 예방에 관한 법률(학폭법) 내용을 소개하여 학폭법의 더 나은 개선책을 모색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학교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의 성과로 2004년 학폭법이 도입되었지만 학교폭력자치위원회의 비전문성 문제, 학폭 관련 업무 가중 문제, 학교의 재심 기관 이원화로 인한 심의 일관성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2019년 개정된 학폭법은 이런 부분을 대폭 개선하여 경미한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장 재량권을 도입하는 등 교육현장의 피로도를 해결하고, 학교폭력심의기구를 일선 학교단위에서 교육청 전문심의위원회로 상향 조정하는 등 그동안 간과되었던 학교폭력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함의하는 바가 크다. 향후 학폭법의 과제는 기존의 사법적 접근 중심에서 교육적 접근을 더 확대하는 과제가 남았다고 할 수 있다.

Conjugal Violence and Mental Health of Korean Elderly Women

  • Kim Jae-Yop;Yang Hae-Won;Kim Hee-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2호
    • /
    • pp.11-23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conjugal violence among elderly wom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jugal violence and the mental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largest proportion (44.9%) of elderly women experienced verbal violence, followed by minor physical violence (35.5%), severe physical violence (13.1%), and sexual violence (5.6%); (2) the mental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who have been exposed to violence was worse than that of elderly women who have not. In conclusion, this article argues that interventions for better marital relationships among elderly couples are needed and comprehensive programs for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re also needed for elderly women in general.

미국 학교폭력에 대한 무관용정책의 변화와 시사점 (Major Principles and Changes of Zero Tolerance Policy on School Violence in USA)

  • 정일환;김영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5-49
    • /
    • 2012
  • 미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학교폭력, 무기사용, 마약복용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관용정책(zero tolerance)을 시행하고 있다. 학교폭력이나 비행이 발생한 경우 미리 예정된 정학 또는 퇴학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학교의 안전과 학습 분위기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실제로 학교폭력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사소한 비행에 대해서도 엄격한 처벌을 함으로써 비행이 더 악화되며, 효용성도 증명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안으로 무관용정책의 대원칙은 유지하면서도 폭력의 정도에 따라 처벌의 정도를 달리하자는 등급징계제도 또는 조기반응모형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폭력이 사회적 이슈로 강하게 부각됨에 따라 정부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등 범부처 차원에서 대응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소한 괴롭힘도 '범죄'라는 인식하에 철저히 대응하는 정부의 방침의 타당성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한 무관용 정책의 주요 내용과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아내 학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mily Violence -On the Basis of the wife Abuse-)

  • 김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6권1호
    • /
    • pp.71-93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the husband's violence, to develop a scale to identify women who are victims of wife abuse and to provide evidence of the scale's validity. The Instrument entitled the Wife Abuse Inventory (WAI) and conflict Tactics Scale(CTS), are administered to 511 women who lives in Taegu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TS analysis shows the 42.5% of the sampled house wives are suffered minor violence and 9/0% are suffered violence form husband. 2) The WAI is factor analyzed to examine factor components within the scale. An examination of the rotated solutions suggested that WAI is composed 10 factors. These factor is labeled men's conception of supremency and aggression propensity, communication, economic difficulties and frustration, social activities, jealousy, children rearing, intimacy, family relationships in laws , affection, difference of culture. 3) an analysis of variance show the group mean score of the violence group and the mean score of the non-violence group on the WAI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P<.001). A discriminant analysis produce a significant discriminant function (P<.001). Using WAI scores as the discriminating variable, 81,15% of the violence and non-violence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their appropriate group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WAI is a reliable device for screening violence and nonviolence group.

  • PDF

남편의 성장기 폭력경험, 심리적 특성 및 부부간 상호작용이 아내폭력에 미치는 영향 - 폭력의 연속성 가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usbands' Experience of Violence suffered in their Growing Ages,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of the Couple on the Husband-to-Wife Violence - Focused on the Continuum of Violence Assumption -)

  • 김예정;김득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6호
    • /
    • pp.53-67
    • /
    • 200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assumption that the husband-to-wife violence lies upon a continuum of severity and to study how the premarital violence experience of husbands, along with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marital interactions, can be the cause of husbands' violence against their wives.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aims at constructing a causal model of the husband-to-wife violenc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surveyed 242 husbands residing in Pusan and another 50 husbands as violent assaulters in major cities of Kore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research can verify the two assumptions that “the group which has once inflicted a severe form of violence can easily inflict minor violences” an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violence play a far greater role in severe violences than in weaker violences.” As a result,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study of a regular household violence can be based on the continuum of violence assumption. Secondly, In the husbands' experience of violence, dating violence and their experienced childhood abuse from their parents, i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emper control ability and their patriarchal sex role attitude, and finally in marital interactions, marital conflicts and distractor of communication played great role in their influence on the husband-to-wife violence. Thirdly, as the various factors which contribute to the violence against the wife have cause-and-effect rule, we shall be able to make a model which can be conceptualized.

노인부부의 가정폭력실태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ior couple's domestic violence and its effect on mental health)

  • 박상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01-109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 부부간의 폭력실태를 피해와 가해를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부부폭력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부폭력은 정서적폭력, 경미한 신체폭력, 심각한 신체폭력, 성적폭력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하였다. 정신건강은 우울, 스트레스, 공격성, 자존감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폭력 피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9.9%로 가장 높았고, 신체폭력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 가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5.4%이고, 신체폭력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 분석결과 피해의 경우는 폭력유형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우울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해의 경우는 공격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부부폭력은 폭력유형과 가해와 피해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부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서 부부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활성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가정폭력 실태와 사회계층 변인과의 관계 연구 (Spousal Abuse and Social Class in Korean National Family Violence Survey)

  • 김재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33-155
    • /
    • 1998
  •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가정폭력관련 방지법이 지난 7월부터 시행되면서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 전반의 가정폭력의 실태와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가정폭력의 실태 및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전국 규모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사회계층적 변인과 아내구타와 관계를 집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가정폭력실태는 전체가정의 31.4%가 1년간 부부폭력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 수치를 전국가정수에 환산하여 추정하면 약 400만 가구가 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우리사회의 가정폭력의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 향후 우리 문화와 현실에 적절한 사회복지개입방법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요양보호사의 폭력 경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Emotional Labor on Depression among Caregivers)

  • 이은정;박보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8-6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emotional labor on depression among caregiv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7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rom August 20 to October 31, 2021.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using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14.5% complained of minor or severe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depending on whether caregivers experienced unfair situations from the organizations they belonged to. Emotional labor was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depression by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A campaign to improve social awareness to prevent caregivers' emotional labor experience leading to depression should be strengthen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motional capacity building intervention program to effectively cope with caregivers'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The effects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 meta-analytic review)

  • 신선인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153-182
    • /
    • 2008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가정폭력경험과 아동 청소년의 비행의 상관관계에 관한 101편의 연구물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통계치가 제시되어 있는 45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정폭력 경험여부가 아동 청소년들의 비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균효과크기의 비교에 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의 특성변인에 따라서 평균효과크기가 어떻게 드러나는 지를 평가하였다. 메타분석결과, 총 125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며, 가정폭력을 목격하거나 직접 폭력을 당하거나, 아동학대를 경험한 아동들이 비행행위를 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아동들에 비해서 16.8% 높게 나타났다. 폭력경험 유형별로는 각각 14%, 17.8%, 17.2% 더 높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가정폭력경험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차이는 비행, 폭력행위, 공격성의 비행유형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가정폭력경험이 비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학생, 초등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발생확률이 높았다. 논문의 발표년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는 최근일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연구물 종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메타분석결과를 통하여 가정폭력이 아동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아동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대한 사회환경의 책임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