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중년여성의 피로인지여부에 따른 피로 정도 (The Degree of Fatigue According to Subjective Recognition in Middle - Aged Women -)

  • 신은주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degree of fatigue, the degree of fatigue depending on analysis of MMPI and SDNN in middle-aged women. Data were collected from 51 patients, registered at Oriental Medicine Hospital in J-city and K-city respectivel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developed by Belza(1995) and revised by Jung & Kim(1999)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and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SDN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9.0 program using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The degree of fatigue in middle-aged women: the average score 30.61 out of the total score 40. Subdivision of fatigue scores: common fatigue degree 7.71, distress due to fatigue 7.67, degree of daily activity fatigue 7.43, and fatigue frequency in the previous week 7.84. The degree of fatigue according to subjective recognition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t=6.707, p=.000).: group of recognition (33.58), group of ignorance (23.47). The degree of fatigue according to MMPI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 In the group of recognition, scales of Hs, D, Hy, Pt were higher. The degree of fatigue according to SDNN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T=-4.062, P=.000). : group of recognition (33.47ms), group of ignorance (45.70ms). The total fatigue score and scales of Hs, D, Hy in MMPI was correlated positively (r=.576; r=.466; r=.518), and total fatigue score and SDNN was correlated negatively (r=-.576). Conclusively fatigue is one of difficult problems in middle-aged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some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fatigue in its early stages.

  • PDF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과 편집증적 심리특성 (Prejudice toward Minority Groups and Paranoid Characteristics)

  • 홍성원;이인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3호
    • /
    • pp.339-353
    • /
    • 2015
  • 본 연구는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에 내재하는 편집증적 심리 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이 편집성향과 갖는 관계성을 검토하고 이와 더불어 편집증의 인지적 특성으로 밝혀진 변인들의 작용을 평가하였다. 편집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MMPI-2의 편집척도 Pa 및 Harris -Lingoes 순박성 소척도 Pa3를 사용하였고, 인지적 특성으로는 편집증의 핵심변인인 이분법적 사고와 귀인양식을 측정하였다. 소수집단은 이주노동자, 동성애자, 노숙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편견은 인지·정서·행동적 측면을 통합하여 산정하였다. 557명의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 Pa3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이 약하고 이분법적 사고가 높은 집단이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반면 귀인양식에 있어서는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PDF

일부(一部) 자살기도자(自殺企圖者)에 대한 사회정신의학적(社會精神醫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The Socio-Psychiatric Study on Attempted Suicides)

  • 송해룡;염용태;신동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9권1호
    • /
    • pp.46-55
    • /
    • 1984
  • The socio-psychiatric study and personality analysis by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on attempted suicides with drug intoxication in Seonsan-Gun and Cheongdo-Gun of Kyoungsang buk-Do was attempted to identify overall picture of attempted suicides and to detect som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The total of 93 suicide attempted cases which were brought to the local clinics for the past 3 years from February, 1981 to February,1984 were sampled among them. The socio-psychiatric study and MMPI were performed with 45 attempters possible to be interviewed. The personalities of a group which answered "Still have the desire occasionally" or "Don't know about the present attitude toward suicide w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group who answered "Will not do it agag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x ratio of the total attempters (93 cases) were 138.5. The highest rate by age group was found in the 3rd decade to be 27 cases. On the other hand, the sex ratio of interviewed cases were 136.8 and the highest rate was found in the age group of 50-59. 2) Fo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majority other than sex, 55.7% of cases were graduated primary school, and 62.2% were engaged in agriculture. 3) Except the fact that more of the attempted suicides happened during summer, there were no seasonal variation among other seasons. 4) The places selected for the attempted suicides were the houses in majority of cases (98%). Most of cases (53.3%) were found immediately after the attempt and 24.4% within one hour. For the poison taken, 86.7 took a sort of herbicides or insecticides, 55.6% were admitted to local clinics for only one day and 20% for two days. 5) The most common precipitating factors of the attempted suicides were family trouble and financial poverty. 6) The psychodynamic motives of the attempters were impulsive hostility(35.6%), abandonment(33.3%), guilt feeling (11.1%), manipulation and attention seeking (8.9%) and others. 7) In regard to their present attitude toward suicide, 29 cases (64.4%) expressed that they would never do such an act again, 37.8% of cases expressed that they really wanted to die at the time when they attempted. 8) The Psychopathic deviate, Paranoia, Depression, Schizophrenia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tempters group who answered "Don't know" or "Possibly" for the question of "Will you attempt suicide again?" Than the group who answered" will not do it again".

  • PDF

한의치료와 '마음의 방 그리기'를 활용한 공황장애 치험 1례 보고 (A Case Report on Panic Disorder Patient Using the 'MRM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nd Korean Medicine Therapy)

  • 김지수;정문주;이가원;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7-21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improve clinical use after conducting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the main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for a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We conducted a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for 10 sessions on an age 23 female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based on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fter receiving consent from the subject, through chart review, the progress of treatment was observed focusing on the MMPI-2 and CSEI-s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onducted pre- and post-treat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Wonkwang University Sanbon Hospital (WMCSB202007-55). Results: 1. The MMPI-2 clinical scales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showed a 7 (Pt)-1 (Hs)-3 (Hy) profile pre-treatment, but for post-treatment, the scale showed 1 (Hs)-3 (Hy) profile, and the 7 (Pt) scale showed significant decline. In the MMPI-2 reconstructed clinical scales, RC7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nd RC8 (Aberrant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ecline. 2. In the pre- and post-treatment MMPI-2 content scales, Anxiety, Fears, Obsessiveness, Social Discomfort, and Work Interference scores decreased, showing overall positive stability. On the MMPI-2 supplementary scales, the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ores decreased, and the Ego Strength increased, resulting in improved overall psychological adaptation. 3. Pre- and post-treatment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CSEI-s showed significant decline of 恐, 驚, 悲, and 思. So it seems that the emotions caused by Chiljeongsang (七情傷) were more stable than before treatment. Conclusions: As shown above,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rough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 major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MMPI-2 as well as improvement of the subjective symptoms. Thus,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has high clinical use, and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manual for this in the future.

M&L 심리치료가 불안장애를 가진 취약계층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단일증례의 양적, 질적 분석 (The Impact of M&L Psychotherap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Socially Disadvantaged Adolescent with Anxiety Disorders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 Single Case)

  • 신재욱;신혜규;이민주;김동욱;서효원;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5-140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L psychotherapy on an adolescent with anxiety disorders transitioning into adulthood, using a retrospective mixed-method approach. Methods: An adolescent with 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diagnosed anxiety disorders underwent combined treatment with M&L psychotherapy and complex Korean medicine therapy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two years. Patient records tracked the diagnosis, treatments, and progress.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study used a convergent parallel mixed-method approach, integrating quantitative analysis from psychological assessments, including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SEI-s),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with qualitative analys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unseling session notes, interviews, and other qualitative psychological assessments. Results: State anxiety decreased from 40 to 36, and trait anxiety decreased from 42 to 34. MMPI-2 L scale scores decreased slightly to 64T, whereas S scale scores increased to 62T, and FRS scores decreased to 70T from an initial score of 78T.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MMPI-2 Es scale, identified as "subjectivity." Joy (喜) emerged as the highest emotional profile score in the CSEI-S. Scores for anger (怒), thought (思), fear (恐), and fright (驚) decreased, indicating improved negative emotions. Qualitatively, expressions of determination to "move forward" and "strengthen the mind" were noted, suggesting enhanced "lower danjeon (下丹田)." Conclusions: Integrat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M&L psychotherapy for a vulnerable adolescent with anxiety disorders demonstrated efficacy.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substantiate the effectiveness of M&L psychotherapy and advocate for its wider adoption in mainstream practice.

뇌파의 의사 결정 트리 분석과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분석을 통한 우울증 환자의 분류 (EEG Classification for depression patients using decision tree and possibilistic support vector machines)

  • 심우현;이기영;채정호;정재승;이도헌
    •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 /
    • 제1권2호
    • /
    • pp.134-138
    • /
    • 2006
  • 우울증은 가장 유병율이 높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일종으로, 약 20%의 인구가 일생동안 우울증 증상을 한번쯤 경험한다. 이러한 우울증은 크게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로 구분된다. 환자의 질병 분류에 따라 사용되는 약과 의학적 처방이 다르기 때문에, 우울증 환자의 빠르고 정확한 진단 및 분류는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다면성 인성검사(MMPI)와 같은 통계적인 방법이 우울증 환자의 진단을 위해 사용돼 왔으나, 장시간의 집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집중력 저하의 특징을 보이는 우울증 환자들에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빠른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동안 집중력을 요하지 않는 EEC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우울증 환자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EEG 채널 간 정보 흐름에서의 비선형성과 근사 엔트로피(approximate entropy)의 크기를 속성(attribute)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와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머신(possibilistic support vector machines)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30명의 주요 우울장애환자와 24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를 통해 위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의사 결정 트리의 경우 85.19% 의 정확도를 가지며 분류해냈고,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머신의 경우 77.78%의 정확도를 보여줬다. 본 연구는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분석이 우울증 환자는 진단하고 분류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내재화장애 청소년의 평가에서 자기보고용 강점난점척도와 MMPI-A의 상호보완성 : 예비연구 (Complementarity between SDQ-SR and MMPI-A in Assessing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 : A Preliminary Study)

  • 신교정;안정숙;임지영;이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9-18
    • /
    • 2018
  • 연구목적 청소년의 내재화장애는 겉으로 표출되지 않으므로 의료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부모나 교사가 그 증상을 인지하기 어렵고 청소년 자신도 정신의학적 개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치료 기회를 놓치기 쉽다. 본 연구는 내재화장애 청소년의 정신병리를 자기보고식 강점난점설문지(SDQ-SR)와 MMPI-A를 사용하여 조사하고, 이 두 검사도구가 내재화장애를 진단평가하는데 상호보완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청소년 외래환자(13~17세) 91명을 임상진단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내재화장애집단 44명과 그 외 임상진단을 가진 비교집단 47명이 완성한 SDQ-SR과 MMPI-A 자료가 내재화장애 진단을 어느 정도로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SDQ-SR의 정서증상 소척도가 1점 상승할 때 내재화장애의 진단예측력은 2.27배 증가하였다. 또한 ROC 곡선분석에서, SDQ-SR 정서장애 소척도의 절단점수를 4점으로 했을 때 내재화장애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8.94와 78.72로 나타났다. MMPI-A에서는 A-anx 절단점수가 56이었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7.27과 74.47이었다. 그러나 이 두 검사도구 소척도들의 어떠한 조합도 SDQ-SR 정서증상 소척도가 갖는 진단예측력을 더 높이지는 못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재화장애를 진단하는데 SDQ-SR의 정서증상과 MMPI-A의 A-anx, A-aln, A 및 INTR가 중요한 소척도임을 알 수 있었으나 이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정상대조군을 포함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지각된 통제소재 (Locus of Control)가 통증환자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erceived Locus of Control to Patients with Pain)

  • 조선미;진범수;송호정;김찬;한경림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2호
    • /
    • pp.101-109
    • /
    • 2002
  • 연구목적: 통증환자의 인지적 특정은 통증에 대한 지각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각된 통제소재와 같은 인지적 특정이 통증환자의 정서장애나 대처방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증클리닉을 내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통제소재를 알아보는 질문지와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MMPI), 대처방식질문지, 주관적으로 통증의 정도와 시간, 괴로움정도, 통제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여 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분석결과 환자가 지각하는 통제소재가 내부에 있다고 믿을수록 통증에 대한 통제감이나 통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했을 때 감소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 외부통제감이나 우연에 의한 통제감이 높을수록 지각된 통증정도나 통증경험시간, 일상생활 장애정도가 높았다. 또한 내부통제감은 MMPI척도중 자아방어관련척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우울, 불안, 정서억압과 같은 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대처방식 중에서 자기진술 및 감각의 재해석과 같은 방식은 내부통제감를 유의한 정도로 설명하였고 외부통제감과 우연에 의한 통제는 재앙화에 의한 설명변량이 유의한 수준에 이르렀다. 결론: 통증은 비록 신체적 장애이지만 주관적 통증지각이나 일상생활기능정도, 정서적 어려움에는 지각된 통제감과 같은 인지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환자가 통증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통제감을 증가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도록 인지들 수정해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다면적 인성검사(MMPI-2)임상척도와 자기조절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MPI-2 Clinical Scales and SRQ of Brain Quotient)

  • 위현욱;이협의;정철우;최남숙;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85-2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면적 인성검사(MMPI-2)의 임상척도와 뇌기능지수 중 자기조절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는 상담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자원한 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기보고식 검사지인 다면적 인성검사(MMPI-2)를 이용해 검사를 진행했으며, 2채널 뇌파측정기를 이용해 Fp1,과 Fp2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2)의 임상척도인 척도2(D)와 자기조절지수 중 휴식 즉, 알파파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다면적 인성검사(MMPI-2) 척도3(Hy)은 집중력 즉, 저베타파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척도 7(Pt)은 휴식과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상담현장에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2)와 SQR을 상호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첫째, 우울한 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민감하여 대인관계를 맺을 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휴식이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피로도가 상승할 수 있다. 둘째, 지나치게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고 하고 쾌활한 모습을 지닌 사람들은 활동력이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불안과 긴장 상태로 스트레스가 높아진 사람들은 쉽게 지치고 짜증과 불쾌감이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심리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 김진성;배대석;이광헌;서정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44-254
    • /
    • 1999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영남대학교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내원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90명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과 외래 환자 6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다면적 인성검사와 질병행동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면적 인성검사를 통한 비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과 정신과 외래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유사한 성적분포를 보였다. 양군에서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척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질병행동 설문지를 통한 비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이 정신과 외래환자군보다 질병집착심과 정서적 혼란 소척도에서 성적이 낮게 나왔으며, 다른 소척도들은 비슷한 성적분포를 보였다. 다면적 인성검사 성적을 이용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중다변인 군집분석한 결과, 정신과 외래의 신경증환자와 같은 집단<집단 1>, 정상인과 같은 집단<집단 2>, 신경증적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류된 집단들 간의 다면적 인성검사 성적 비교에서, 신경증적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은,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강박증, 정신분열증 등의 소척도 점수가 높게 나왔다(P<.05). 신경증적인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의 질병행동 설문지 결과를 보면 다른 집단들과 정서적 억압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 즉, 건강염려증, 질병집착심, 심리적 대 신체적 관심, 정서적 혼란, 부정, 자극과민성 등의 척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집단 3>처럼 심한 신경증적인 질병행동을 보이는 군은 정신의학적 접근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집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