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ally invasive method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8초

심박동하 관상동맥우회로술에서 채혈주머니를 이용해서 수술시야를 개선하는 간단한 방법 (Simple Method for Making Better Field in OPCAB Using Empty Blood Bag)

  • 강경훈;임용택;배윤숙;김병열;이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08-110
    • /
    • 2001
  • 심장박동하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은 이미 보편화되어 널리 시행되고 있는 술식이다, 현재 관심사는 최소한의 혈액역학적 장애를 주며 심장을 최대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좌전하행지를 시야의 정중선으로 옮기는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50 cc 주사기에 연결된 채혈주머니를 좌심실밑에 넣은후 공기를 주입하면 심장이 우측으로 돌면서 심장의 측면이 시야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공기를 주입하는 양에 따라 수술부위를 원하는 곳에 위치하게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문합이 끝나면 단순히 공기를 빼어 허탈시킨후 꺼내면 된다.

  • PDF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 첫 체험 (Initial Experience of Robotic Cardiac Surgery)

  • 조성우;정철현;김경선;주석중;송현;송명근;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66-370
    • /
    • 2005
  • 배경: 일반적으로 심장수술은 정중흉골절개를 통해 행해져 오고 있으며, 과거 십 년간 내시경 장비와 수술 수기의 향상은 작은 절개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의 발전을 이끌었다. 술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내시경을 움직이는 로봇 팔(AESOP 3000, Automated Endoscope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의 등장으로 심장수술은 로봇 시대에 진입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총 78명의 환자들에게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시행하였고 그 중 64명의 환자들에게는 음성명령으로 조절되는 로봇 팔과 대퇴 동정맥관 삽관, 경피적 내경정맥관 삽관, 흉곽을 통한 대동맥 겸자를 사용하여 5cm 우외측 최소개흉으로 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14명의 환자들에게는 AESOP을 이용한 내흉동맥 박리를 통해 최소 침습적 관상동맥 우회술(MIDCAB)을 시행하였다. 결과: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은 승모판막 성형술이 37예, 승모판막 치환술이 10예,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1예, MIDCAB이 14예, 심방중격결손증 수술이 9예, Maze 수술만 시행한 경우가 1예였다. 승모판 수술의 경우 평균 체외순환시간은 $165.3\pm43.1$분이었고 평균대동맥 차단 시간은 $110.4\pm48.2$분이였다. 재원일수의 중간값은 승모판 수술인 경우 6일($3\~30$일), MIDCAB은 4일($2\~7$일), 심방중격결손증 수술은 4일($2\~6$일)이였다. 합병증으로는 술 후 출혈로 재수술한 경우가 3예이였고 사망환자는 없었다. 결론: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시행한 우리의 경험으로 볼 때 많은 심장외과 의사들이 로봇을 이용하여 작은 창상을 통해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이 가능하리라 본다.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이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잘 계획된 연구와 긴밀한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말초 아밀로이드 베타 원천으로서의 혈소판과 알츠하이머병의 혈액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 (Platelets as a Source of Peripheral Aβ Production and Its Potential as a Blood-based Bio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 강재선;최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118-1127
    • /
    • 2020
  • 알츠하이머병은 점진적인 신경세포의 손상과 이로 인해 인지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질병이다. 이 질환은 현재로서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고 진행을 멈추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러나 초기에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므로 초기 진단은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는 아밀로이드 베타(Aβ), 병적인 타우, 그리고 신경퇴화가 있고, Aβ의 축적, 인산화 타우는 뇌척수액이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뇌척수액의 채취는 매우 침습적이고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은 전문적인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 지난 수십년 동안 빠르고 최소한의 침습성을 가진 바이오마커 분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혈액에 기반한 바이오마커 분석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그 중 주목할 만 한 발견이 혈장에서 Aβ의 주요 원천으로 혈소판과의 관련성이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 할 수 있고 정상 상태에서는 뇌와 혈액 간 평형을 이루게 된다. 흥미롭게도, 여러 임상시험 결과 혈장에서 Aβ42/Aβ40 비율이 가벼운 인지장애 질환과 알츠하이머병에서 감소되어 있는 것을 증명하였다. 종합하면, 이러한 최근의 발견들은 침습성을 최소화한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총설에서, 저자들은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 특히 말초에서 Aβ를 생산하는 혈소판의 역할과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로서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Cardiac Surgery Using Minimal Incision)

  • 김광호;김정택;이서원;김혜숙;임현경;이춘수;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3-378
    • /
    • 1999
  •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이후 1998년 11월까지 총 31례의 소절개술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실시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1세에서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흉골좌연종절개술을 실시한 예는 9례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공심폐기의 사용없이 박동상태에서 내유동맥으로 좌전행지관상동맥에 우회술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1례는 내유동맥의 비꼬임으로 술 후 1주일 째 재수술한 경우였다. 흉골우연종절개는 1례로 승모판교련절개술 후 재발된 협착증에 대해 승모판치환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소흉골절개선으로 수술한 예는 21례로, 승모판치환 및 삼첨판성형술이 6례, 승모판치환술 5례, 중복판치환술 2례, 대동맥판치환술 1례, 좌심방점액종 1례, 심방중격결손증 2례, 심실중격결손증 2례, 우심실 자창 1례였다. 처음 5례는 T형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대동맥기저부의 노출이 좋고 흉골 봉합시 안정감이 높은 화살모양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간, 인공심폐 구동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수술 1일까지의 흉관배액양, 흉관 거치기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은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선 예들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 예는 2례였으며 1례는 흉골소절개선으로 승모판치환 수술 1일에 대동맥 삽관부위의 파열로 출혈 사망하였고, 다른 1례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2일에 부정맥으로 사망하였다. 사망의 원인과 수술절개선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합병증은 뇌색전증 1례, 창상의 혈종 1 례가 있었다. 결론: 소절개선으로도 정중흉골절개선과 마찬가지로 심장 수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tracorporeal Anastomosis in Laparoscopic Gastric Cancer Surgery

  • Hosogi, Hisahiro;Kanaya, Seiichir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3호
    • /
    • pp.133-139
    • /
    • 2012
  • Laparoscopic gastrectomy has become widely used as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most surgeons preferred a laparoscopic-assisted approach with a minilaparotomy rather than a totally laparoscopic procedure because of the technical challenges of achieving an intracorporeal anastomosis. Recently, with improved skills and instruments, several surgeons have report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a totally laparoscopic gastrectomy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This review describes the recent technical advances in intracorporeal anastomoses using circular and linear staplers that allow for totally laparoscopic distal, total, and proximal gastrectomies. Data that demonstrate advantages in early surgical outcomes of a total laparoscopic method compared to laparoscopic-assisted operations are also discussed.

척추 골절의 예방적 치료법에 관한 미세 구조해석 (A Microstructural Analysis for Preventive Treatments of Vertebral Fracture)

  • 김형도;탁계래;김한성;이성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6-149
    • /
    • 2002
  • It is report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vertebral trabecular bone depend on the density and the mass of bones. Osteoporosis is a systemic skeletal disease caused by low bone mass and microstructure deterioration of trabecular bone. Silva and Gibson (1997) studied the treatment of age-related bone loss using drug therapy. Vertebroplasty is a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vertebrae. This procedure includes puncturing vertebrae and filling with Polymethylmethacrylate (PMMA). However, the relative effect of drug therapy and bone cement for osteoporosis treatment is not reported yet. In this study, several 2D models of human vertebral trabecular bone are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The mechanical behaviors of the vertebral trabecular bone treated by the drug therapy and the bone cement are compared. This study shows that bone cement treatment is more effective strategy than drug therapy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bone strength.

  • PDF

거골 골연골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 골수 흡인물 농축액 및 기질 유래 연골 형성 (Operative Treatment for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Bone Marrow Aspirate Concentrate and Matrix-induced Chondrogenesis)

  • 김범수;나엽;권원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68
    • /
    • 2020
  • Bone marrow aspirate concentrate and matrix-induced chondrogenesis (BMIC) is an interesting treatment option for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with promising short- to mid-term results. The various terminologies used to describe this surgical method need to be addressed. These include bone marrow-derived cell transplantation, matrix-induced bone marrow aspirate concentrate, and matrix-associated stem cell transplantation. BMIC is a one-stage, minimally invasive surgery performed arthroscopically or using a mini-open arthrotomy approach without a malleolar osteotomy in most cases. The lesion is replaced with hyaline-like cartilage, and treatmentrelated complications are rare. BMIC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in large lesions or lesions with a prior treatment history.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bridges: an alternative method to treat root-fractured teeth

  • Heo, Gun;Lee, Eun-Hye;Kim, Jin-Woo;Cho, Kyung-Mo;Park, Se-He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1호
    • /
    • pp.8.1-8.9
    • /
    • 2020
  • The replacement of missing teeth, especially in the anterior region, is an essential part of dental practice.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bridges are a conserva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fixed dental prostheses or implants. It is a minimally invasive, reversible technique that can be completed in a single visit. The two cases presented herein exemplify the treatment of root-fractured anterior teeth with a natural pontic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Alternative Treatment of Osteoma Using an Endoscopic Holmium-YAG Laser

  • Han, Ba Leun;Shin, Ho Se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422-425
    • /
    • 2012
  • Oste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tumors of the cranial vault and the facial skeleton. For osteoma in the facial region, endoscopic resection is widely used to prevent surgical scarring. Tumors in a total of 14 patients were resected using an endoscopic holmium-doped yttrium aluminium garnet (Ho:YAG) laser with a long flexible fiber. Aside from having the advantage of not leaving a scar due to the use of endoscopy, this procedure allowed resection at any position, was minimally invasive, and caused less postoperative pain. This method yielded excellent cosmetic results, so the endoscopic Ho:YAG laser is expected to emerge as a good treatment option for osteoma.

Effect of the Third and Fourth Chain Sympathicotomy in Axillary Hyperhidrosis Accompanying Osmidrosis

  • Kim, Seok-Won;Lee, Seung-My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5호
    • /
    • pp.354-356
    • /
    • 2005
  • Objective: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is effective in treating not only palmar hyperhidrosis, but also axillary hyperhidrosis. But studies for axillary hyperhidrosis accompanying osmidrosis are few. We report the outcome of six axillary hyperhidrosis with osmidrosis with literatures review. Methods: Using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thoracoscopic T3-4 sympathicotomy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sympathicotomy of third and fourth sympathetic chains of six patients from January 1999 to August 2003 for axillary hyperhidrosis with osmidrosis were reviewed. Results: All patients had a successful outcomes, their profuse sweating ceased. Two patients suffered from compensatory hyperhidrosis. Three patients disappeared or diminished foul odor but three patients complained remained osmidrosis.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axillary hyperhidrosis, the sympathicotomy of T3 and T4 chain is an effective method but osmidrosis must be treated according to its ca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