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과배란유도시 GnRH Antagonist (Cetrorelix)를 병합한 Minimal Stimulation Protocol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linical Efficacy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for Polycystic Ovaian Syndrome)

  • 박성대;이상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4호
    • /
    • pp.251-258
    • /
    • 200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GnRH antagonist (Cetrotide)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comparing with GnRH agonist combined long step down stimulation protocol in PCOS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 From Apr 2001 to May 2002, 22 patients (22 cycles) were performed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using by GnRH antagonist and GnRH agonist for PCOS patients. GnRH antagonist (Cetrotide) combined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was administered in 10 patients (10 cycles, Study Group) and GnRH agonist long step down stimulation protocol was administered in 12 patients (12 cycles, Control Group). We compared the pregnancy rate/cycle, total FSH (A)/cycle, Retrieved oocyte/cycle, the incidence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multiple pregnanc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Student-t test were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Group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produced fewer oocytes (6.4 versus 16.3 oocytes/cycle) using a lower dose of FSH (22.2 versus 36.1 Ample/cycle) and none developed OHSS and multiple pregnancy. Although the trends were in favour of the GnRH antagonist (Cetrorelix) protocol, the differenc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was probably due to small sample size. Conclusion: The use of GnRH antagonist reduce the risk of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multiple pregnancy. We suggest that GnRH antagonist might be alternative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method, especially in PCOS patients who will be ovarian high response.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for IVF Treated Patients of Advanced Age)

  • 김소라;김정훈;이진경;전균호;김성훈;채희동;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1호
    • /
    • pp.63-70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전향적 무작위 배정법 연구로 40세 이상의 불임여성의 자연주기에서 소량의 재조합난포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크리닉을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75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군은 최소자극법으로 37명, 대조군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으로 38명의 환자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았다. 주기 취소율, 난포자극호르몬 종 사용량과 일수, 성숙난자의 수, 이식된 배아의 수,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 착상율 등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방법은 평균값의 비교를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를 위하여 ${\chi}^2$ 검정,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대상 환자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rhFSH의 투여기간과 총용량에서 연구군의 경우 4.5${\pm}$1.2일, 632.2${\pm}$123.7 IU로 대조군에서의 11.3${\pm}$2.7일, 3124.6${\pm}$452.1 IU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주기 취소율은 연구군에서 16.2%, 대조군에서 5.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회수된 난자의 수, 성숙한 제 2감수분열 중기 상태의 난자의 수 및 수정된 난자의 수, 양질의 배아수, 배아이식된 배아의 수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서 연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배란유도를 시작한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과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임신율은 연구군의 경우 각각 10.8%와 13.4%로 대조군에서 13.2%와 13.9%에 비하여 다소 낮긴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착상율, 자연유산율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40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서 체외수정술을 시행하고자 할 때 배란유도의 방법으로 GnRH antagonist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하여 임신율이 감소하지 않으며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마취제가 개의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esthetics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s) in Dogs)

  • Hong, Yeon-Jung;Jeong, Seong-Mok;Nam, Tchi-Chou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7-282
    • /
    • 2002
  • 본 실험은 각각의 마취방법이 체성감각유발전위 (SEPs) 파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EP의 측정에 적절한 마취방법을 찾고자 시행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하고 크기와 나이가 비슷한 다섯 마리의 잡종견을 대상으로 SEPs를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값을 분석하였다. SEPs측정을 위해 후 경골신경을 자극하였고 요추 5-6번 사이에서 channel 1의 LP1과 LN1, 흉추 11-12사이에서 channel 2의 TP1, TN1을 기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마취방법 중. Acepromazine + Thiopental Na + Isoflurane, Acepromazine + Propofol + Isoflurane, Diazepam + Xylazine, Xylazine + Ketamine, Acepromazine + Propofol infusion, 및 Propofol infusion등의 방법만이 SEPs측정이 가능하였고, 파형은 명확하였으며, 측정에 요구되어지는 일정 시간인 25분 이상 동안 마취 유지가 가능하였다. 또한 각 마취군에서의 SEPs 파형을 Acepromazine + Thiopental Na + Isoflurane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latency의 경우, Acepromazine + Propofol + Isoflurane군의 ST(stimulating point)-LN1, SP-TP1, Diazepam + Xylazine 군의 Chl-Ch2, Xylazine + Ketamine군의 Chl-Ch2, Acepromazine + Propofol infusion군의 ST-LP1와 Chl-Ch2에서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차가 있었다. Conduction velocity의 경우, Acepromazine + Propofol + Isoflurane군의 ST-LN1, Diazepam + Xylazine군의 Chl-Ch2, Xylazine + Ketamine군의 Chl-Ch2, Acepromazine + Propofol infusion군의 ST-LP1, 그리고 Propofol infusion군의 ST-LN1의 측정값에서 유의적인 차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전체적인 파형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SEPs 측정시 흡입마취로는 Acepromazine + Thiopental + Isoflurane과 Acepromazine + Propofol + Isoflurane, 주사마취로는 Diazepam + Xylazine과 Xylazine + Ketamine, 점적마취로는 Acepromazine + Propofol infusion과 Propofol infusion 방법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