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재치료 폐결핵환자의 임상적 세균학적 특성 (Clinical and Bacteriologic Characteristics of Retreated Tuberculosis Patients)

  • 오승준;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19-24
    • /
    • 1995
  • 연구배경: 폐결핵은 처음 발병하였을 때 표준처방에 의하여 적절히 치료하면 대부분 완치할 수 있는 질환이나 실제로 상당수의 환자들이 부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악화되고 장기적인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약제 내성이 발생할 경우 초치료 약제보다 항균력이 약한 약제들로 치료하게 됨으로써 치료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할 정도로 심한 장애를 초래하거나 사망하는 경우까지도 있다. 방법: 저자등은 초치료에 실패하거나 재발한 폐결핵 환자들의 특성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1986년 3월부터 90년 2월까지 입원하여 치료한 폐결핵환자 484명 가운데 94명의 재치료 환자들의 기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총 재치료환자 94명중 남자 62명, 여자 32명이며 평균연령은 남자 $51.43{\pm}15.56$, 여자 $45.00{\pm}18.40$세 이었다. 2) 흉부엑스선상 경증이 10명(11.1%), 중등도가 31명(33.3%), 중증이 52명(55.6%)이었다. 3) 객담내 균양성환자가 73명 이었다. 4) 약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한 42명중 1제 내성자가 9명(20.5%), 2제 내성자가 18명(40.8%), 3제이상 내성자가 14명(31.8%)이었다. 5) 표준처방에 의한 초치료를 완료하지 못하였던 경우가 41명(43.6%)이었으며 재치료시 완치한 환자는 24명(25.5%)에 불과한 반면 도중에 환자가 치료를 포기한 경우가 39명(41.6%)나 되었다. 결론: 재치료시 중요한 치료실패 원인은 환자의 중도탈락 이었으며, 따라서 초치료 및 재치료시 철저한 환자관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Schedule-Dependent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with Paclitaxel on H460 Cells

  • Park, Sunghoon;Kim, Joo-Hee;Hwang, Yong Il;Jung, Ki-Suck;Jang, Young Sook;Jang, Seung H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3호
    • /
    • pp.114-119
    • /
    • 2014
  • Background: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 major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 of green tea, has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and animal models. We investigated the schedule-dependent effect of EGCG and paclitaxel on growth of NCI-H460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Method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 of EGCG (E) and paclitaxel (P), combination indices (CIs) were calculated, and cell cycl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effect on cell apoptosis, western blot analysis was also performed. Results: CI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concurrent and sequential E ${\rightarrow}$ P treatments had antagonistic effects (CIs >1.0), but sequential P ${\rightarrow}$ E had synergistic effects (CIs <1.0), on the growth inhibition of NCI-H460 cells. In the cell cycle analysis, although paclitaxel induced $G_2/M$ cell cycle arrest and increased the sub-G1 fraction, concurrent EGCG and paclitaxel treatments did not have any additive or synergistic effects compared with the paclitaxel treatment alone. However,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quential P ${\rightarrow}$ E treatment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and procaspase-3 and increased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cleavage; while minimal effects were seen with concurrent or sequential E ${\rightarrow}$ P treatments. Conclusion: Concurrent or sequential E ${\rightarrow}$ P treatment had opposite effects to P ${\rightarrow}$ E treatment, where P ${\rightarrow}$ E treatment showed a synergistic effect on growth inhibition of NCI-H460 cells by inducing apoptosis. Thus, the efficacy of EGCG and paclitaxel combination treatment seems to be schedule-dependent.

실험적 급성 폐색전증에서 폐동맥혈역학 및 폐혈관저항의 변화 (Change of Pulmonary Artery Hemodynamics an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in Experimental Pulmonary Embolism)

  • 정희순;이재호;김철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913-922
    • /
    • 1995
  • 연구배경: 혈류의 누가현상이 일어나는 폐혈관계의 압력을 유효유출압($P_I$), 심박출량의 변화분에 대한 폐동맥압의 변화분을 폐혈관저항증분(IR)이라고 정의할때에 $P_I$ 및 IR과 폐혈관저항을 비교해보면 폐혈관저항의 문제점이 발견된다. 즉 폐혈관상이 감소하는 폐색전증에서는 이론상 IR이 주로 증가해야 하는데, 여러 연구에 의하여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어있고 폐혈관저항과 $P_I$, IR간에는 상위점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폐혈관저항을 폐혈관계의 유효유출압($P_I$)과 폐혈관저항증분(IR)으로 세분할때 폐색전증의 유발 및 치료시 아들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여 이러한 새로운 지표들의 의미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혈관저항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전에 동정맥루를 만든후 10~15분 간격으로 조직하여, 동정맥루가 모두 폐쇄된 상태, 하나의 동정맥루가 개방된 상태, 그리고 두개의 동정맥루가 모두 개방된 상태의 3가지 경우로 심박출량올 변화시키면서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된 자가혈병으로 대량의 폐색전증을 유발시킨후의 평균폐동맥압을 측정하여 폐혈관계의 유효유출압과 폐혈관저항증분을 계산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특이 치료를 하지않고, 제 1 치료군은 15분 동안, 제 2치료군은 3시간에 걸쳐서 재조합형의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체를 체중당 1mg씩 정맥주입하면서 유효유출압과 폐혈관저항증분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곁과: 1) 폐혈관저항은 폐동맥압의 변화양상과 유사하게 변화했는데, 세군 모두 폐혈관저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제 1 치료군 및 제 2 치료군에서는 치료후 폐혈관저항이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제 1 치료군의 감소속도가 제 2 치료군보다 유의하게 빨랐다. 2) 최소자승법으로 산출한 심박출량과 폐동맥압과의 직선관계는 절편($P_I$) 및 기울기(IR)가 유의하였다. 3) $P_I$(폐혈관계의 유효유출압)는 폐혈관저항과 동일한 양상으로 변화한 반면에, 이론상 폐혈관저항과 가까운 IR(폐혈관저항증분)에서는 세군간의 유의한 차이나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체 투여후의 의미있는 변화는 거의 없었다. 결론: 폐색전증에서는 폐혈관계의 실제저항을 의미하는 폐혈관저항증분과 폐색전증에 대한 이차적 혈관 수축때문에 생기는 폐혈관계의 유효유출압의 변화가 동시에 반영된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자가 호기말 양압(auto-PEEP)을 보인 환자에서 원인질환에 따른 PEEP적용 효과의 차이 (Different PEEP Effects on Lung Volume According to Underlying Lung Disease in Patients with Auto-PEEP)

  • 손장원;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567-572
    • /
    • 2004
  • 배 경 : 인공 호흡기 치료 중 auto-PEEP을 보이는 환자에게 PEEP을 적용할 경우에 폐 용적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하지 않다. COPD와 같이 동적 호기류 제한이 있는 경우에 auto-PEEP 수치의 85%에 해당하는 PEEP까지는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동적 호기류 제한이 없으면 낮은 PEEP에서도 폐 용적의 증가가 나타난다. 이에 저자들은 auto-PEEP이 있는 환자에서 임상진단에 의한 질환별로 PEEP적용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공 호흡 중 auto-PEEP을 보인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병력, 임상 증상 및 흉부방사선 소견을 기준으로 천식, COPD, 결핵성 변화군 등 3가지 환자 군으로 분 류한 뒤 각각 auto-PEEP 수치의 25, 50, 75, 100%에 해당하는 PEEP을 적용하고 포획 가스용적을 측정하여 폐 용적의 증가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천식 환자 군에서는 75% PEEP부터 폐 용적의 증가가 의미 있게 나타났다. COPD 군에서는 100% PEEP에서 폐 용적이 증가 하였다. 결핵성 변화 군에서는 낮은 PEEP에서도 폐 용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는 100% PEEP에서만 나타났다. 결 론 : Auto-PEEP을 보이는 환자에서 폐 용적에 대한 PEEP의 효과는 폐의 병리 상태에 따라 달랐다. 천식 환자 군에서는 auto-PEEP 수치의 50%이상에 해당하는 PEEP 적용은 포획 가스 용적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종격동경 검사: 18례 보고 (Mediastinoscopy: 18 Cases)

  • 이남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0권2호
    • /
    • pp.349-354
    • /
    • 1977
  • Mediastinoscopy is a surgical endoscopic technique used mainly for examination and biopsy of lesions of the superior and posterior middle mediastinum. It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diseases that primarily or secondary involve the paratracheal and parabronchial lymphatics. A total of 18 cases of mediastinoscopy are presented with a detailed analysis of indications and results. Of these mediastinoscopy was positive in i0 [56%] and negative in 8 [44%]. The 10 positive mediastinoscopies were diagnostic in 4 patients with malignant lymphoma, 5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lung, one patient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Of 8 negative mediastinoscopies, one was inoperable due to recurrent laryngeal nerve involvement, 7 patients were subjected to radical resection. Complications of mediastinoscopy were developed in 2 cases, one was minimal degree of subcutaneous emphysema on anterior chest wall, and the other was widening of right mediastinal border due to hematoma. Two complications were completely absorbed after 7 days.

  • PDF

한국인 폐결핵 환자에서 HLA-DRB1 및 -DQB1 유전자의 다형성에 관한 연구 (Polymorphisms of HLA-DRB1 and -DQB1 Genes in Korea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박명희;송은영;권성연;박혜진;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367-377
    • /
    • 2003
  • 연구배경 : 결핵균에 감염된 사람 중 약 10%만이 임상적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보아 결핵의 발병 감수성에 숙주의 유전적 인자가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저자들은 한국인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HLA 형별검사를 이용한 대립유전자 수준의 HLA-DR 및 DQ 유전자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이전 결핵 치료력이 없는 결핵 환자 67명(약제감수성군 38명, 다제내성군 29명)과 20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HLA-DRB1 형별검사는 reverse SSO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와 PCR-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방법으로, DQB1 형별검사는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SSCP 및 PCR-SSP (sequence specific primer)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결 과 : 결핵환자군 중 다제내성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DRB1*0701과 *08032의 빈도가 약 2배 정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들 대립유전자와 연관된 DQB1*0202와 *0601(15.5% vs 34.5%, p=0.01)이 증가되었다. DQB1*0609는 결핵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4.0% vs 14.9%, p=0.004), 약제감수성군과 다제내성군에서 유사한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폐병변의 중증도와 HLA의 연관성을 보면 덜 진행된 군(약제감수성군의 경증, 다제내성군의 중등증)에 비해 더 진행된 군(약제감수성군의 중등증+중증, 다제내성군의 중증)에서 DRB1*08032(4.2% vs 32.6%, p=0.007)와 DQB1*0601(12.5% vs 34.9%, p=0.047)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DQB1*0609는 다제내성군에서는 중증군에서, 약제감수성군에서는 경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DRB1*0701과 DQB1*0202는 다제내성군의 중등증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어 이들 대립유전자는 폐병변의 중증도와 일정한 연관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 론 : HLA-DRB1*08032 및 DQB1*0601 대립유전자는 한국인에서 다제내성 결핵의 유전적 감수성인자로 생각되며 질환의 중증도와도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 기침에서 스테로이드 흡입제의 역할 (The Role of Inhaled Corticosteroid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Cough)

  • 이경훈;장승훈;이정화;엄광석;반준우;김동규;신태림;박상면;이명구;김철홍;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221-227
    • /
    • 2006
  • 연구배경 : 만성 기침은 정밀 검사를 추가하여도 진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확진은 특이적 치료에 반응할 때에만 가능하다. 스테로이드는 비특이적 항염증 작용을 가지므로 만성 기침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 진단에 대한 진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만성 기침에 대한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3주 이상의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 내원하였을 때 객담 호산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 부비동 방사선촬영 등의 기본적인 객관적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budesonide turbuhaler $800{\mu}g/day$를 10일간 투여하고 추적 방문토록 하였다. 추적 방문일에 환자 증상의 개선도에 따라 흡입 스테로이드 반응군과 불응군으로 분류하였고 검사의 진단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각 진단에 따른 스테로이드 반응률을 알아보았다. 결 과 : 총 69명의 만성 기침 환자가 최종 분석되었고, 흡입 스테로이드의 투여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79.7%였다. 진단된 질환에 따른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은 차이가 없었다. 투여 기간 동안 부작용은 거의 관찰되지 않아서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다. 결 론 : 만성 기침 환자를 진료할 때 기본 검사를 시행하는 동시에 흡입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투여하는 것은 매우 안전하며, 검사의 진단적 한계를 극복하고 초기에 진료 지침을 세우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부대학생(一部大學生)의 신체발육(身體發育)과 체격지수(體格指數)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in University Students)

  • 황진주;빈순덕;최전도;김용진;임규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1호
    • /
    • pp.53-69
    • /
    • 1973
  • For the purpose of ascertaining the status of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 intensiv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authors towards a total of 2,197 (male: 1,694, female: 503) who passed the written enterance examination at the Korea University in 1972. The items included the measurements on physical growth, various physical indices, status of visual distourbance and pulmonary infiltration. The findings an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hysical growth: The average of body height by sex were 167.2 cm in male and 156.0cm in female, body weight 59.3kg and 51.9kg, chest-girth 86.7cm and 81.2cm, sitting height 91.7cm and 85.8cm, respectively. 2. Various indices about physical growth & development; Relative body weight by sex were 35.47 and 33.27, relative chest girth 51.85 and 52.05, relative sitting height 54.84 and 55.00, respectively. $R{\ddot{a}}here$ index was 1,269 in males and 1,367 in females, Kaup index 2,121 and 2,133, Verveck index 87.32 and 85.32, respectively. 3. Status of visual distaurbance: The vision of the students under 0.9 with Han's testing chart was 52.83% and 55.27% in left eye and 53.60% and 54.87% in right eye, respectively. 4. Pulmonary infiltration Among the total 58 students were diagncsed as pulmonary infiltration (tuberculosis), of whom 43 were minimal case, 12 were moderately advanced cases and 3 were far advanced cases.

  • PDF

압력보조 환기법으로 기계호흡 이탈시 최소압력보조(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의 결정 (Determination of Minimal Pressure Support Level During Weaning from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80-387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법은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시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인공환기법으로 적절한 압력보조 수준이 이탈 과정에 중요하며 특히 최소압력보조 (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에서 환자의 환기 상태가 적절하면 치료자는 인공 호흡기로 부터 여탈 및 기관내 관을 발관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최소압력 보조 수준의 적용은 환기 이탈 기간의 장기화나 이탈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탈기 환자들이 최소압력보조 치의 범위를 알아보고 또한 최대 흡기유량과 총환기계 저항의 곱으로 구한 최소압력보조치의 계산값과 환자의 기관내 관 끝에서 실측한 값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유도식으로 계산된 최소압력 보조 값의 임상적 유용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폐 감시기 (CP-100 pulmonary monitor, Bicore, USA)를 이용하여 부가된 호흡일을 구한 후 최소압력보조의 수준을 직접 측정하였고, 이들 중 9예에서는 또한 유도식 (peak inspiratory flow rate$\times$total ventilatory system resistance=minimal pressure support)을 이용하여 최소합력보조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16명중 14명에서 측정한 최소압력보조의 실측치는 4~12.5 cm$H_2O$로써 환자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각각 15, 21 cm$H_2O$로써 높게 측정되었으나 기관내 관을 발관 후 내강이 기도 분비물로 심한 폐쇄가 발견되었다. 실측치를 측정한 16명중 9명에서 유도식을 이용하여 최소압력 보조의 계산치를 구하였으며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는 평균 0.81로 실측치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측치와 계산치의 상관 계수는 0.88(p=0.00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 시도시 최소압력보조 수준의 결정은 유도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적용하는 것이 치료자가 임의적으로 일정한 값을 적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심한 저산소혈증 환자에서 기관지폐포세척술 시 안면마스크를 이용한 지속성 기도양압의 유용성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uring Bronchoalveolar Lavage in Patients with Severe Hypoxemia)

  • 안창혁;임성용;서지영;박계영;박정웅;정성환;임시영;위미숙;고원중;정만표;김호중;권오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1호
    • /
    • pp.71-79
    • /
    • 2003
  • 연구배경 : 원인 미상의 미만성 폐침윤이 있는 경우,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olar lavage; BAL)이 진단에 유용하나, 심한 저산소혈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수기 중 저산소혈증의 악화에 대한 우려로 BAL을 시행하지 못하거나 기관내삽관 후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들은 심한 저산소혈증 환자에서 BAL 시행 시 안면마스크를 통한 지속성 기도양압(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을 시행하여, 이 방법의 유용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 2000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진단적 BAL이 필요하면서 심한 저산소혈증(안면마스크로 산소 10 L/min 공급 시 $PaO_2/F_IO_2\;ratio{\leq}200$)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인공호흡기와 안면마스크를 이용하여 흡입산소분율 1.0로 CPAP $5{\sim}6cmH_2O$를 BAL 시행 10분 전부터 BAL 종료 30분 후까지 적용하였다. 기관지내시경은 T-튜브를 통해 구강으로 삽입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BAL을 시행하였다. 수기 전, 직후, 수기 후 30분, 90분과 24시간에 여러 생리학적 지표와 가스교환지표들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총 7명(남:여=4:3)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중앙값은 56세였다. (2) CPAP 적용 전 $PaO_2$$78{\pm}16mmHg$였으며 CPAP 적용 후 $269{\pm}116mmH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8) BAL시행 후와 30분 후 $PaO_2$의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기 중 $SpO_2$가 90% 미만으로 감소한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3) 수기 직후 $PaCO_2$의 유의한 증가, pH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수기 후 30분만에 회복되었다. (5) 시행 중 출혈, 기흉, 감염, 혈역학적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세명의 환자(43%)에서 수기와 무관하게 기저 질환의 진행으로 기관내삽관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 심한 저산소혈증 환자에서 안면마스크를 이용한 CPAP을 적용하여 BAL을 시행하면, 수기 시 저산소혈증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