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dful self-compass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Mindful Self-Compassion Training on Anxiety, De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 Kim, Sunghwan;Song, Yungsook;Lee, Kyoung-Uk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6
    • /
    • 2022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mindful self-compassion (MSC)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self-compassion and emotion regulation. Methods : A total of 29 subjects (mean age 27.5±6.5 years, 15 males and 14 females) participated in a standardized 8-week MSC program.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age- and sex-matched twenty participants (mean age 26.0±2.9 years, 11 males and 9 females). All subjec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ments at two weeks before and after the MSC program. Results : MSC training improved self-compassion as demonstrated by the significant group x time interaction effects on the total Self-Compassion Scale scores (F[1, 47]=8.324, p<0.01). Regarding the subscale score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kindness, isolation and mindfulness components of self-compassion was observed after MSC training. A significant group x time interaction was observed on the self-kindness subscale (F[1, 47]=4.664, p<0.05), with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ime (F[1, 47]=23.723, p<0.001). The isolation subscale showed a significant group x time interaction (F[1, 47]=8.698, p<0.001). For the mindfulness sub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x time interaction (F[1, 47]=6.611, p<0.05) and main effect of time (F[1, 47]=6.611, p<0.05). MSC training also improved the acceptanc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s demonstrated by the significant group x time interaction in the acceptance subscale scores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F[1, 47]=6.845, p<0.05). Conclusion : MSC training showed efficacy in fostering self-compassion and improving emotion regulation. Thus, this program might be applicable to improve mental health.

심리 전문가의 마음챙김과 자비심에 대한 군집비교: 직무소진, 정서노동 수행방식, 정서강도, 정서명료성의 차이 (Cluster Comparison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Differences in Burnout, Emotional Labor Strategies, Affect Intensity, Emotional Clarity)

  • 송영미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1호
    • /
    • pp.91-11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과 자비심 수준 조합에 따른 직무소진, 정서노동 수행방식, 정서강도, 정서명료성에서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137명의 심리 전문가가 참여하였고, 마음챙김과 자비심 수준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네 집단으로 분류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경력을 통제한 다변량공분산분석 또는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마음챙김과 자비심이 모두 높은 집단은 긍정 정서강도, 자기와 타인의 정서명료성, 진심표현이 가장 높았고, 부정 정서강도, 표면행동, 직무소진이 가장 낮았다. 마음챙김과 자비심 중 어느 하나의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집단은 마음챙김과 자비심이 모두 높은 집단과 비교해서 긍정 및 부정 정서강도를 모두 높은 수준으로 경험하거나 모두 낮은 수준으로 경험하고, 자기 및 타인의 정서에 대한 명료성과 진심표현은 상대적으로 더 낮았으며, 표면행동과 직무소진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마음챙김과 자비심이 모두 낮은 집단은 긍정 정서강도는 낮게, 부정정서강도는 높게 경험하고, 자기 및 타인 정서명료성, 진심표현이 가장 낮았으며, 표면행동과 직무소진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 전문가를 비롯한 휴먼서비스 전문가의 직무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마음챙김과 자비심의 균형 있는 계발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