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oc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 개발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특허출원: 10-2005-0110051)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국내외에서 수집한 한국잔디류중 우수계통 MJ8를 선발 한 후, 인공자식을 통하여 변이를 확대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계통(MJ8S-9)을 선발한 것이다. 신품종 '밀록'은 밀도가 기존의 한국잔디류와 비교해 가장 높았고, 또한 녹색도가 높아 우수한 잔디 품질을 보이며, 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형태적 특성으로 엽폭은 4.2rnm로 중엽형이며, 잎 각도는 52.5도로 넓어 광합성 효율이 높다.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1.9cm로 짧아 낮게 깎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밀록'은 지상 포복경의 색이 황록색이며, RAPD 분석에서 특이밴드를 갖고 있어 다른 잔디류와 식별성이 높은 영양 번식형 신품종이다.

Optimum Application Amount, Timing, and Frequency of Slurry Composted and Biofiltered Liquid Fertilizer for Zoysia japonica 'Millock'

  • Park, Suejin;Lee, Seung Youn;Ryu, Ju Hyun;Jung, Hyun Hwan;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35-641
    • /
    • 2012
  • In Korea, slurry composted and biofiltered (SCB) liquid fertilizer is produced through the composting and biofiltering of animal waste. An appropriate guidelines involving proper treatment of SCB liquid fertilizer on turfgrass should be considere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pplication amount, timing, and frequency of SCB liquid fertilizer for Zoysia japonica 'Millock'. The SCB liquid fertilizer was applied in low, medium, and high amount (N at 15, 25, and 40 $g{\cdot}m^{-2}$ per year in 2010, and 10, 20, and 40 $g{\cdot}m^{-2}$ per year in 2011, respectively) and trea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r dormancy period. During the growing season, SCB liquid fertilizer was applied twice or four times.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urf quality for both years was in SCB plots applied four times with N at 40 $g{\cdot}m^{-2}$ per year during the growing season (SH4). This treatment exhibited turf color retention in the fall, and enhanced clipping yield during the growing and fall seasons. SCB plots with four times during the growing season (SL4, SM4, and SH4) exhibited higher shoot density relative to the same amount of other SCB treatments. Plots treated during the dormancy period also showed a high turf color index during the next growing season in 2011. The results indicate that SCB with high amount up to N at 40 $g{\cdot}m^{-2}$ per year applied four times during the growing season and dormant application produced high turf quality and growth, and could be recommended as an optimum application guide.

국내 자생 한국잔디류의 내한성 및 내염성 조사 (Low temperature and Salt Tolerances of Native Zoysiagrass (Zoysia spp.) Collected in South Korea)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8-14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자생 잔디 중 내염성 계통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재료는 국내에서 수집된 자생 한국잔디(Zoysia spp.)류 및 버뮤다그래스와 시쇼파스팔룸(seashore paspalum) 등 82 개체 였다. 염 처리는 바닷물과 수돗물을 혼합하여 전기전도도가 $2-3dS{\cdot}m^{-1}$ 수준이 되는 물에 시험포트를 침지처리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는 염 처리 전 동해, 염 처리 후 염해, 그리고 염 처리 후 토양의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월동 후 피해조사에서는 대부분 Z. japonica 형이 피해 없이 천안지역에서 월동이 되었으며, 비단잔디, 금잔디, 갯잔디 등은 대부분 고사하였다. NaCl 농도 0.51% 수준에서 염해가 관찰 되었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ECe)는 $170dS{\cdot}m^{-1}$ 수준까지 높게 나타났다. 82개 개체 중 30% 수준으로 염해를 낮게 받는 초종은 Z. tenuifolia 형인 Z5034, Z. matrella 형은 'Konhee', Z4109, 'Semill' 등, 그리고 Z. japonica 형은 Z1055, Z1040, Z1008, 'Zenith', 'Millock'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지류 중에서는 Z6096, Z6118, Z6021, Z6074 등으로 나타났다. 상기 방법은 앞으로 내염성 유전자원 평가를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염해지에서 모세관수 차단층 설치 유무에 따른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류의 생육 (Effects of Capillary Water Interruption Layer on the Growth of Zoysiagrasses and Cool-season Turfgrasses in Reclaimed Land)

  • 김준범;양근모;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44
    • /
    • 2009
  • 본 연구는 해안가 매립지인 간척지에서 염분이 포함된 물을 관수하면서 한지형잔디와 난지형 잔디 총 8종의 생육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사용된 관개용수의 전기전도도(ECw)는 $0.28{\sim}3.3\;dS{\cdot}m^{-1}$)의 범위였다. 토양은 모세관수 차단층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각각 비교하였다. 모세관수 차단층 처리구의 전기전도도는 $0.55{\sim}4.29\;dS{\cdot}m^{-1}$의 범위를 보였고, 모세관수 차단층을 설치하지 않은 시험구에서는 $1.8{\sim}9.4\;dS{\sim}m^{-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파종 후 관행적인 관리 하에서 잔디의 피복률, 엽색, 품질, 밀도, 생육랑 등을 조사하였다. 간척지 염해지 조건에서 피복률이 90% 이상을 보이며 양호한 생육을 보인 초종은 '중지', 크리핑 벤트그래스, '세녹', '밀록' 등 4개 초종이었다. 켄터키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켄터키+라이그리스 혼합 및 종자형 한극잔디 '제니스' 등 4 초종은 염해 피해를 받아 조성율이 7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모세판수 차단층 설치지역에서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이 무설치구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난지형 잔디류는 모세관수 차단층 설치유무에 따른 피복률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뿌리길이는 모세관수 차단층 설치구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자료는 간척지에 건설되고 있는 골프장에서 염류 모세관수 차단층 설치 유무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조건을 구명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Zoysiagrass의 종 및 품종의 분포, 분류와 육종 현황 (Distribution, Classification, Breeding, and Current Use of Zoysiagrass Species and Cultivars in Korea)

  • 최준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83-291
    • /
    • 2017
  • Zoysiagrass has been used in Korea as a native grass. Informations on distributions, classifications, breeding efforts and outputs, current production and uses of zoysiagrasses in Korea are summarized. During past a few decades, collection of naturally growing zoysiagrass ecotypes has been continued, followed by evaluation, selection and cross-pollination. Classification efforts using important morphological, biochemical traits and DNA polymorphisms resulted in the several suggestions of grouping zoysiagrass species and varieties. Zoysia japonica consistently form separate group, while Zoysia sinica and Zoysia macrostackya have been separately or inter-mixed. Z. matrella with some variations frequently grouped separately but with some similarity with Z. tenuifolia, which was recently renamed as Z. pacifica. Hybrid types of zoysiagrasses were frequently found in Korea. New varieties such as 'Kunhee' and 'Green Ever' etc. were bred by ecotype selections, while 'Senock', 'Semil', 'Millock' were bred through pollination. Molecular approaches were also used to introduce beneficial genes into zoysiagrasses with no practical outputs by legal regulations. Currently popular varieties are inter-specific hybrid types such as 'Anyang' and other local zoysiagrasses as well as comm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Production area in Korea was estimated as 2,947 ha with increasing problems of mixed or contaminated species and var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