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ed Rice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초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에 의한 쌀빵의 특성 비교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 이명희;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86-890
    • /
    • 2006
  • 제분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쌀빵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습식제분 쌀가루의 제조 시 쌀의 수침온도를 $25^{\circ}C$$55^{\circ}C$로 하였으며 반습식 처리로서 쌀을 살수처리한 후 제분하였다. 쌀가루에 밀가루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분에 활성 글루텐을 첨가한 후 mixograph로 반죽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습식제분한 쌀가루에서 반죽시간과 안정성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쌀빵이 건식제분과 반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쌀빵에 비해 빵의 체적이 증가했으며, 특히 수침온도에 있어 $55^{\circ}C$의 가온 수침처리가 쌀전분에 변화를 초래하여 상온에서 수침한 쌀가루에 비해 쌀빵의 체적을 향상시켰다. 쌀빵의 저장중 경도의 변화에서 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빵이 가장 낮은 증가폭을 보여주었다.

Changes in Water Content Affect the Post-Milling Quality of Paddy Rice Stored at Low Temperature

  • Kim, Young-Keun;Hong, Seong-Gi;Lee, Sun-Ho;Park, Jong-Ryul;Choe, Jung-Seob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4호
    • /
    • pp.336-344
    • /
    • 2014
  •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illing on paddy rice stored at low temperature, the changes in grain temperature of bulk storage bags exposed at room temperature, the post-milling water content of paddy rice, the whiteness of rice, and the rate of pest incidence were investigated and data were analyzed. Methods: Changes in temperature inside the bulk storage bags kept at low temperature and grain temperature after exposure to room temperature were measur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identifying the reasons of post-milling quality changes in paddy rice stored at low temperature.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a short-term increase of water content in paddy rice was directly related to surface condensation, and that rice should be milled at least 72 h after removal from low-temperature storage, in order to completely eliminate surface condensation of paddy rice kept in bulk storage bags. It was observed that post-milling quality of rice changed, but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at high levels for more than 18 d in rice that was milled when condensation occurred, regardless of paper or vinyl packaging. Rice whiteness rapidly decreased in rice that was milled when condensation occurred, regardless of packaging, while rice that was milled 72 h or more after removal from low temperature stor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whiteness. No pest incidence was observed up to 12 d after removal from low temperature storage, regardless of packaging. Starting at 18 d, after removal from low temperature storage, rice that was milled when condensation occurred, was affected by pests, while 24 d after removal from low temperature storage, all portions of rice were affected by pest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hanges in post-milling quality of rice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by exposing paddy rice to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72 h before milling, in order to allow the increase of grain temperature and prevent surface condensation.

대두유 첨가 도정 쌀의 특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ies and Storability of Soybean Oil-Added Milled Rice)

  • 이병영;김영배;손종록;윤인화;한판주;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8-250
    • /
    • 1991
  • 대두유 첨가 도정쌀의 품질과 저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백과정 중 도정이 거의 완료된 마지막 순환 도정단계에 대두유를 0.07 및 0.10% 첨가 도정하여 생산된 쌀에 대한 지방함량, 취반특성, 외관(색) 및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대두유 첨가 도정쌀의 지방함량은 무첨가가 0.65%인데 비하여 첨가 도정쌀은 $0.70{\sim}0.72%$였으며, 취반특성 즉 가열흡수율, 팽창용적, 용출고형물 및 요오드 정색도는 첨가 도정쌀이 무첨가 도정쌀 보다 낮았다. 그리고 색 즉 Hunter L, a, b값 및 백도는 무첨가 도정쌀에 비해 첨가 도정쌀이 낮아 ${\Delta}E$값이 높았다. 대두유 첨가 도정쌀의 저장 중 지방산도는 증가하였으나 첨가 및 무첨가 간에 큰 차가 없었다.

  • PDF

벼의 함수율에 따른 도정수율의 변화 (Milled Rice Recovery Rate of Paddy with Various Moisture Contents)

  • 하유신;박경규;김혁주;홍동혁;나규동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2호
    • /
    • pp.125-132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f paddy for milling process, a series of tests were conducted by examining the recovery rate and whiteness of milled rice in relation with the various moisture content. Hwabong-byeo and Dongjin-byeo varieties which were major paddies cultivated in Korea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he test was performed with small experimental milling machines. In order to minimize the unexpected factors, environment conditions were kept in constant during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recovery rate of milled rice were varied as the changes in milling time and degree of whiteness. However, the recovery rate of milled rice increases as its moisture content increases untill a certain point of moisture content and decreases slowly afterward. This certain point can be called optimum moisture content for rice milling. Also, it has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variety. In this experiment, optimum moisture content of Hwabong-byeo and Dongjin-byeo were considered around 14.8% and 15.3%, respectively. It is not sure that these optimum moisture contents for the two varieties would assume the same values irrespective of harvest year and place. However,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for rice milling is around 15%(w.b.) for Hwabong-byeo and 15.5%(w.b.) for Dongjin-byeo, respectively.

불균일도정이 저장 중 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Uniform Milling on Quality of Milled Rice during Storage)

  • 김훈;이현정;김의웅;이세은;윤두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75-68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쌀의 불균일도정 조건이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불균일도정 2수준, 균일도 정 1수준에 대하여 저장온도 5, $25^{\circ}C$ 수준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함수율, 중량, 지방산가, 동할율, 백도, b값 등 품질특성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도정과정에서 불균일도정은 과도정이 발생하면서 균일도정에 비해 함수율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저장과정에서 함수율 변화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초기함수율 차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함수율 및 중량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저장온도가 높거나 불균일도정이 심할수록 지방산가는 크게 증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할증가율은 저장온도 및 불균일도정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저장온도가 높고 불균일도정이 발생할수록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백도는 감소하고 b값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불균일도정 정도가 가장심한 불균일도정 I의 경우저장 전 관능검사에서 균일도정 및 불균일도정II에 비해 낮은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하여도 동일한 결과이었다.

분무수세한 쌀로 제분한 쌀가루의 저장중 특성 변화 (Properties of Rice Flour Milled from Spray-Washed Rice During Storage)

  • 최소연;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15-920
    • /
    • 2007
  • 쌀을 분무수세한 후 제분하여 제조한 쌀가루를 건식제분 쌀가루와 함께 $5^{\circ}C$, $20^{\circ}C$, $35^{\circ}C$의 저장온도에서 4개월간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중에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온도가 $5^{\circ}C$에서 $35^{\circ}C$로 높아짐에 따라 수분의 감소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무수세한 쌀가루의 색은 저장 중 L값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건식제분 쌀가루와 비교할 때 L값이 높아 보다 밝게 나타났다. 분무수세 쌀가루의 RVA 호화양상을 측정한 결과 건식제분 쌀가루에 비해 저장중의 최고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5^{\circ}C$에서 저장한 쌀가루의 최고점도가 가장 낮은 반면에 $20^{\circ}C$, $35^{\circ}C$로 저장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고 점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분무수세 쌀가루의 저장중 최종점도는 건식제분 쌀가루에 비해 낮게 나타나 setback 점도는 분무수세한 쌀가루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5^{\circ}C$에서 저장한 쌀가루의 RVA 점도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가루의 저장 중 총균수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저장 4개월에 $10^{3}$정도였으며 분무수세 쌀가루의 총균수가 건식제분 쌀가루에 비해 지속적으로 낮아 분무수세 쌀가루의 미생물의 오염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일형과 일반형 쌀의 형태적특성연구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ongil and Japonica Type of Rice Grains)

  • 이병영;김영배;송창호;죽생신치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4-389
    • /
    • 1989
  • 한국산 미곡 통일형과 자포니카형의 형태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에 3개 작물시험장(수원, 밀양 및 이리)에서 생산된 통일형 13품종과 자포니카형 10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천입중은 벼, 현미, 백미 모두 두 형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벼와 현미의 무게 차 즉 왕겨층의 무게와 현미와 백미의 무게 차 즉 미강층의 무게에서는 각각 P<2.859** 및 4.316***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왕겨층은 통일형이 미강층은 자포니카형이 컸다. 벼, 현미 및 백미의 입폭은 두 형간에 각각 P<5.189***, 5.289*** 및 5.988*** 그리고 입장은 각각 P<3.016**, 4.419*** 및 5.492***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입폭과 입두께는 자포니카형이 통일형보다 두꺼웠고, 입장은 통일형이 길었다. 입폭/입두께의 비에서 벼는 두 형간에 P<2.396*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나 현미와 백미는 유의성이 없었다. 입장/입폭비는 벼 : P<5.525***, 현미 : P<5.495***, 백미 : P<5.863***, 입장/입두께 비는 벼 : P<4.734***, 현미 : P<6.863***, 백미 P<8.425***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이들 비는 모두 통일형이 컸다.

  • PDF

Extraction and Electrophoretic Characterization of Rice Proteins

  • Kim, Mee-sook;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37-441
    • /
    • 2002
  • Rice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brown and milled rice of five varieties: Kwanganbyeo, Daeanbyeo, Daejinbyeo, Surabyeo, Hwaseongbyeo; and their electrophoretic patterns were analyzed by SDS-PAGE. Albumin was extracted with water, globulin with 5% NaCl, prolamin with 70% ethanol, and glutelin with 0.2 M sodium borate buffer (pH 10.0) containing 0.5% SDS, 0.6% $\beta$-mercaptoethanol. The ratios of albumin : globulin : prolamin : glutelin in the brown rice were 10.8~14.1 : 12.4~16.4 : 3.6~5.3 : 68.6~72.8, and in milled rice were 4.4~5.6 : 10.6~12.0 : 3.9~5.4 : 75.7~79.8. In albumin seven major bands were observed with molecular weights ranging from 14.g~96.8 kDa, in globulin four bands with molecular weights in the range of 14.4~56.9 kDa, prolamin had only one ban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4.4 kDa, and glutelin had four bands with molecular weights of 14.4 ~ 57.4 kD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lectrophoretic patterns between rice varieties or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냉각저장방식에 따른 백미의 냉각 및 저장특성 (Cooling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Milled Rice by Different Cooling Storage Methods)

  • 김의웅;김훈;임태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8-4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열전반도체를 사용한 강제송풍식과 기계식냉동시스템을 사용한 정지공기식 냉각저장고를 이용하여 냉각방식에 따른 백미의 냉각특성과, 저장중 백미의 품질특성을 구명하였다. 강제송풍식과 정지공기식에서 냉각속도는 각각 $0.30^{\circ}C/hr,\;0.21^{\circ}C/hr$으로 강제송풍식이 빨랐으나, 냉각공기의 편차와 저장고 각 위치별로 백미의 온도편차가 정지공기식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낮게 나타났다. 14주간의 백미저장실험 결과, 강제풍통식에 저장한 백미의 함수율은 저하하였지만 백미의 지방산가, b값과 밥의 관능적 품질은 정지공기식에 저장한 경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강제송풍식의 경우 냉각공기 편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구로서 $25^{\circ}C$ 상온챔버에 저장한 경우는 냉각저장구에 비해 백미의 함수율, b값 및 지방산가와 밥의 관능적품질에서 현저하게 빨리 품질이 저하하였다. 특히, 지방산가는 저장 6주 이후에 안전저장한계인 20 mL KOH/100g-dry matter를 초과하였으며, 밥의 관능적 품질도 저장 4주후부터 냉각저장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탄수화물급원의 차이가 흰쥐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Carbohydrate Sources on Lipid Metabolism in Cholesterol Fed Rats)

  • 하태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2호
    • /
    • pp.199-205
    • /
    • 1996
  • The effects of several carbohydrate sources on plasma, liver and fecal lipid contents of rats fed diet containing sucrose, corn starch, brown rice, milled rice or wheat flour with 0.3% cholesterol for four weeks were investigated.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rol increased significntly in sucrose group,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milled rice group compared to other thre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sma lipid contents among corn starch, brown rice and wheat flour groups. The contents of liver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brown ric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re four groups. Fecal excretion of total cholesterol in rice and wheat flour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ucrose and corn starch groups. The contents of fecal bile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in milled rice and brown rice groups compared to other three groups. Fecal bile acid content of wheat flour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sucrose and corn starch grou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ice has a possibility of hypolipidemic effect in cholesterol fed r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