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yield per milk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Exploring indicators of genetic selection using the sniffer method to reduce methane emissions from Holstein cows

  • Yoshinobu Uemoto;Tomohisa Tomaru;Masahiro Masuda;Kota Uchisawa;Kenji Hashiba;Yuki Nishikawa;Kohei Suzuki;Takatoshi Kojima;Tomoyuki Suzuki;Fuminori Terada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73-183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he methane (CH4) to carbon dioxide (CO2) ratio (CH4/CO2) and methane-related traits obtained by the sniffer method can be used as indicators for genetic selection of Holstein cows with lower CH4 emissions. Methods: The sniffer method was used to simultaneously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CH4 and CO2 during milking in each milking box of the automatic milking system to obtain CH4/CO2. Methane-related traits, which included CH4 emissions, CH4 per energy-corrected milk, methane conversion factor (MCF), and residual CH4, were calculated. First,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model with and without body weight (BW) on the lactation stage and parity for predicting methane-related traits using a first on-farm dataset (Farm 1; 400 records for 74 Holstein cows). Second, we estimated the genetic parameters for CH4/CO2 and methane-related traits using a second on-farm dataset (Farm 2; 520 records for 182 Holstein cows). Third, we compared the repeatability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these traits in both farm datasets. Results: The data from Farm 1 revealed that MCF can be reliably evaluated during the lactation stage and parity, even when BW is excluded from the model. Farm 2 data revealed low heritability and moderate repeatability for CH4/CO2 (0.12 and 0.46, respectively) and MCF (0.13 and 0.38,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stimated genetic correlation of milk yield with CH4/CO2 was low (0.07) and that with MCF was moderate (-0.53). The on-farm data indicated that CH4/CO2 and MCF could be evaluated consistently during the lactation stage and parity with moderate repeatability on both farm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on-farm applicability of the sniffer method for selecting cows with low CH4 emissions.

유용(乳用) 반추수(反芻獸)의 뇨(尿) Keton체(體)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rine-keton Bodies of Dairy Cattle and Dairy Goats)

  • 김상근;김교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46-156
    • /
    • 1977
  • 대전시(大田市) 근교(近郊)에서 사육중(飼育中)인 유우(乳牛) 104두(頭)와 유산양(乳山羊) 107두(頭)에 대(對)한 연령(年令), 산차(産次), 유량(乳量), 뇨(尿) pH 및 사양관리별(飼養管理別)로 뇨중(尿中) keton체(體)를 검출(檢出)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유우(乳牛)의 뇨(尿) keton체(體) 검출율(檢出率)은 정상치(正常値) 76.8%, 이상치(異常値)는 23.1%였고, 유산양(乳山羊)에서는 정상치(正常値) 60.7%, 이상치(異常値)는 39.3%였다. 2. 연령별(年令別) 뇨(尿) keton체(體) 조사성적(調査成績)은 유우(乳牛)의 4~11세(歲)에서 높은 검출율(檢出率)을 보였고, 1~3세(歲)에서는 모두 낮은 성적(成績)을 나타냈으며, 유산양(乳山羊)에서는 3~6세(歲)가 높았으나 1~2에서는 가장 낮은 성적(成績)을 나타냈다. 3. 산차별(産次別) 뇨(尿) keton체(體) 조사성적(調査成績)은 3산(産)에서 가장높았으며 1산(産)과 9산(産)에서 가장 낮은 성적(成績)을 나타냈다. 4. 유량별(乳量別) 뇨(尿) keton체(體) 조사성적(調査成績)은 유량(乳量) 20kg이상군(以上群)에서 가장 높았고, 10kg이하군(以下群)과 미경산우군(未經産牛群)에서는 가장 낮은 성적(成績)을 나타냈으며, 유산양(乳山羊)에서는 유량(乳量) 3~4kg군(群)에서 가장 높았고, 1~2kg군(群)에서 가장 낮은 성적(成績)을 나타냈다. 5. 뇨(尿)의 pH별(別) keton체(體) 조사성적(調査成績)에서는 유우(乳牛)나 유산양(乳山羊) 다같이 혈액내(血液內)에서 생성(生成)된 keton체(體)가 뇨중(尿中)에 증가(增加)하게 되므로 뇨(尿)pH뇨(尿)가 산성화(酸性化)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6. 사양조건(飼養條件)에 따른 뇨(尿) keton 체조사성적(體調査成績)은 유우(乳牛)나 유산양(乳山羊) 다같이 임신(姙娠), 분만(分娩)과 필유중(泌乳中)에 불합리(不合理)한 사양조건하(飼養條件下)에서는 keton체(體)가 증가(增加)하게 되며 keton-emia가 일나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acao bean husk: an applicable bedding material in dairy free-stall barns

  • Yajima, Akira;Owada, Hisashi;Kobayashi, Suguru;Komatsu, Natsumi;Takehara, Kazuaki;Ito, Maria;Matsuda, Kazuhide;Sato, Kan;Itabashi, Hisao;Sugimura, Satoshi;Kanda, Shuhe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1048-1053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the effect of cacao bean husk as bedding material in free-stall barn on the behavior, productivity, and udder health of dairy cattle, and on the ammonia concentrations in the barn. Methods: Four different stall surfaces (no bedding, cacao bean husk, sawdust, and chopped wheat straw) were each continuously tested for a period of 1 week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nine lactating Holstein cows housed in the free-stall barn with rubber matting. The lying time and the milk yield were measured between d 4 and d 7. Blood samples for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 and teat swabs for bacterial counts were obtained prior to morning milking on d 7. The time-averaged gas-phase ammonia concentrations in the barn were measured between d 2 and d 7. Results: The cows spent approximately 2 h more per day lying in the stalls when bedding was available than without bedding. The milk yield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periods when cows had access to bedding materials as compared to the period without bedding. The lying ti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ilk yield. Bacterial counts on the teat ends recorded for cows housed on cacao bean hus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recorded for cows housed without bedding. Ammonia concentration under cacao bean husk bedding decreased by 6%, 15%, and 21% as compared to no bedding, sawdust, and chopped wheat straw, respectively. The cortisol concentration was lowest in the period when cacao bean husk bedding was used. We observ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mmonia concentrations in the barn and the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s. Conclusion: Cacao bean husk is a potential alternative of conventional bedding material, such as sawdust or chopped wheat straw, with beneficial effects on udder health and ammonia concentrations in the barns.

Liver-Fluke의 기생(寄生)이 산양(山羊)의 번식장해(繁殖障害)와 유육생산(乳肉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s of Liver-Fluke Infection on the Reproductive Disorder and Milk and Meat Production in Korean Native Goat)

  • 김교준;전창기;김용국;김상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33-44
    • /
    • 1979
  • 간질(肝蛭)의 기생(寄生)이 재래산양(在來山羊)의 번식장해(繁殖障害) 및 유육생산(乳肉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하여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충남(忠南) 일원(一圓)에서 사육중(飼育中)인 재래산양(在來山羊) 474두(頭)를 임의(任意)로 선정(選定)하여 감염실태(感染實態)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임상관찰(臨床觀察), 간질충체성분(肝蛭蟲體成分)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번식장해(繁殖障害) 발생시험(發生試驗), 양성산양(陽性山羊)에 대(對)한 유(乳) 육생산성(肉生産性) 조사(調査) 및 경제성조사(經濟性調査)를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보고(報告)한다. 1. 감염실태(感染實態) 조사(調査)에서 피내반응법(皮內反應法)에 의한 양성율(陽性率)은 71.3%였으며 년령별(年齡別)로는 3~4세(歲)에서 81.4%로서 가장 높았었다. 2. 추출물(抽出物)에 의하여 발육(發育)과 증체(增體)가 정상(停上) 내지 감퇴(減退)되었고, 번식장해(繁殖障害)를 야기(惹起)할 수 있었으며 임신양(姙娠羊)에서는 임신유지(姙娠維持)에 적응성(適應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3.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혈액상(血液像)의 변화(變化)는 특(特)히 호산구(好酸球)의 증다(增多)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4. 추출물(抽出物)은 중독성(中毒性), 간기능장해성(肝機能障害性) 및 번식장해(繁殖障害)의 병원성(病原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5. 양성산양(陽性山羊)은 유육생산성(乳肉生産性)과 품질(品質)이 현저(顯著)하게 저하(低下)되었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양성산양(陽性山羊)은 소득면(所得面)에서 1/2정도(程度)의 저하(低下)를 보였고 순이익면(純利益面)에서는 더 큰 손실(損失)을 보였다.

  • PDF

관목지 목초본류의 사료가치에 관한 평가 (Estimate Feed Value of Herbage from Shrubby Area)

  • 김용국;전창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64-170
    • /
    • 1981
  • 젖소등 초식 가축의 사료 자원개발을 위하여 국내 산지에 다량으로 자생되고 있는 관목류 및 초류중 비교적 가축 사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어 보이는 수종의 관목초류를 택하여 시기별로 사료성분을 분석하고 젖소에 대한 일부 급여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관목초류의 건물 함량은 평균 25~45%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중 청미례와 댕댕이덩쿨이 각각 26.25%와 26.36%로 가장 낮았고 졸참나무가 47.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단백질 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대부분 10% 이상으로 나타났고 이중 칙과 자귀나무가 평균 20%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억새와 새는 평균 1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3. 조섬유 함량은 평균 20~30% 뱅위로 타나났으며 개암나무와 청미례가 20% 정도로 가장 낮았고 억새와 새는 3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대부분 관옥 사초류는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줄어 들고, 조섬유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건물량이 증가되였다. 5. 관목초본류를 볏짚 대용으로 1일 두당 5kg을 급여한 결과 체중과 유량 및 무지고형분 함량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