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life stres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1초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 김세원;신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16-227
    • /
    • 2015
  • 본 연구는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지역의 군 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45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군 병사의 계급과 병과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군 생활적응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군 생활스트레스가 높으면 대인관계능력은 낮아지고 군 생활적응도 힘들어지며, 군 병사의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군 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를 조절하여 군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인관계능력 중 개방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공군 병사의 자아탄력성, 정적 정서, 부적 정서가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on military life stress in ROK air force soldiers)

  • 김은심;공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235-2243
    • /
    • 2014
  • 본 연구는 공군병사의 자아탄력성, 정적 정서, 부적 정서가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조사 연구로 공군 병사 3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평균점수는 3.11점, 정적 정서 평균점수는 3.46점, 부적 정서 평균 점수는 2.26점, 군 생활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1.94점이었다. 자아탄력성과 정적 정서는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부적 정서 및 군 생활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군 생활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는 군 생활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고, 정적 정서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적 정서 및 군 생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군인부인과 일반부인의 스트레스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ess Level between Military Wives and Civilian Wies)

  • 박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8-80
    • /
    • 1995
  • Housewif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aintaining a health family life. If she can not function adequately due to high stress, it will affect quality of life of the household members. It also interferes with the normal process of family development. Futhermore, dysfunctional family will have effects on morale of the servicemen in military.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vel and types of stress between a group of military wives and a group of civilian wives and provide a data which can be used to develop a stress management program. Sample consist with 250 military wives and 250 civilian wives residing in metro Seoul area.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October 4, 1994-November 30, 1994. Stress was measured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cronbach's ${\alpha}$ score of the instrument was .91.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The stress score was 47.09 for military wives, 36.56 for civilian wives. The range of score was 0-192. The stress level of military wives was greater than civilian wives. (t=4.80, P<.000) 2. The rank order of stressors of military wives were 1) move 2) residential environment 3) purchase of house 4) holidays. The rank order of stressors of civilian wives were 1) husband late return after work 2) arguments with husband 3) holidays 4) husband's drinking problem. The result shows that the main stressors of military wives are frequent moves, residential environment, uncertainty of the future, unsafe work environment of husband, and the lack of private life which are all associated with the military.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distribute this facts through military journ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ess of military wives, and to develope appropriate health care program to lessen the stress.

  • PDF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 김종임;윤혜선;한선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7-39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and self-esteem in auxiliary police. Method: This quazi 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07.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er recruited 120 auxiliary police and randomly assigned each to eithe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8-week program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esults: Anxiety,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nd to identify the long-term maintenance effects of the program.

  • PDF

군인의 직업특성과 군인아내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련성: 부정적 인식과 군인가족 자부심의 매개효과 (Military Personnel'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Life among Military Wives with Preschool Children: Underlying Processes)

  • 박지수;이재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27-40
    • /
    • 2019
  •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how military personnel'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e., long and unspecified work hours, frequent moving) is associated with their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e focused on whether the wives' perception toward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ccupation and the wives' military family pride mediated the associ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23 women married to professional active-duty military husbands, had at least one preschool child, and lived with the husband and chil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the wives' perception of militar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family prid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usband's work hours and the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is serial multiple mediation indicated that the longer and more unspecified the husband's work hours were, the more negative the wife's perceptions were towards his military occupation, which led to lower marital satisfaction and higher parenting stress.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perceptions was also significant. Frequent moving was indirectly related to the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rough only the wives' negative perceptions toward militar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is result indicates that military spouses who experienced frequent moves are likely to have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military occupation, which leads to lower marital satisfactions and highe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militar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wives' family life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negative perceptions and military family pride.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 (Effects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to Military Life on Soldiers Adjusting: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 이주희 ;김정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3호
    • /
    • pp.299-315
    • /
    • 2015
  • 본 연구는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요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구조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군 적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 육군 소속 이병에서 병장까지의 현역 병사 44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군 적응이 측정되었다. 신뢰도 검사를 통해 각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기존중감, 내적 통제와 같은 내적 특성이 각각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가 군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통제, 자기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를 통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 방식이 내적 특성과 군 적응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함을 밝힌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 특성과 적응 간의 연구들에 제한점을 주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립이나 대처 행동 훈련과 같은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PDF

군사훈련 소음이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litary Training Noise on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Living Near Military Facilities)

  • 김욱;조영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97-505
    • /
    • 2022
  • 이 연구는 군사훈련으로 발생하는 소음이 군사시설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7년 군사시설 주변에 거주하는 성인 주민 9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3.17점 수준으로 선행연구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로 삶의 만족도,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신체적 피해 경험 요인, 그리고 정신적 피해 경험 요인을 선정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월평균 가구소득(coef.=0.09, p<0.001), 정신적 피해 경험 요인으로는 정서불안(coef.=-0.34, p<0.001)과 스트레스(coef.=-0.05, p<0.001)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군사시설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입대 동기가 육군 병사와 해병대원의 군 생활과 미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nlistment-Motivation on the South Korean Military Life)

  • 송경재;한민 ;배준성 ;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4호
    • /
    • pp.469-485
    • /
    • 2010
  • 본 연구는 현역 병사들의 입대 동기가 군 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육군 병사와 해병대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입대 동기란 군 복무를 하고자 하는 동기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외재적 입대 동기와 내재적 입대 동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입대 동기에 따라 군 생활 만족도와 군 조직 이미지에 대한 평가, 그리고 군 복무 경험이 앞으로의 삶에 미칠 영향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육군 병사들의 입대 동기는 외재적 동기가 더 높았으며, 해병대원들의 입대 동기는 내재적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입대 동기수준이 높을수록 군 생활 만족도가 높고, 군 조직에 대한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의 삶에 군 생활 경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외재적 입대 동기수준이 높을수록 군 조직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병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의 삶에 군 생활 경험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징병제 여부에 관계없이 입대를 결정한 집단과 징병제가 아니면 군대를 오지 않을 집단을 비교한 결과 군 생활 영향 평가, 군 조직 이미지 평가, 병영 스트레스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입대 전 입대 동기 유발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인과지도 분석을 통한 이주가 직업군인의 복무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 and Volition of Soldier's Service Using Causal Loop)

  • 고성필;이정동;최정환;정의영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69-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location and volition of soldier's service based on system thinking perspective using a causal loop analysis. Research adopting system dynamics concerning on the volition of soldier's service and relocation has not been studied yet. Causal loops are analyzed and evaluated by focusing on soldier's military performance, stress of family members and family members' welfare servic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soldier's periodical movement is indispensable factor maintaining military life. Most of the married soldier's life conditions are worse than ordinary people. As the number of relocation is increasing family of soldier's stress is increased by anxiety for welfare conditions is supposed to relocate. The number of movement to another place of soldier's children is more than two times and the result of learning achievement is worse than ordinary students. This kind of stress can influence the married soldier's military performance and stress. So the welfare service should be expanded to an official residence, education, facility, district network service and so on.

  • PDF

육군 병사들의 커플관계에 관한 연구 : 군 생활 스트레스, 커플관계 탄력성, 그리고 군 생활 적응의 관계 (Study on the Couple Relationships in Military : Relationship among Military life Stress,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and Military Adjustment)

  • 전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7-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플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군 내 병사들의 커플관계 탄력성, 군 생활 스트레스, 군 생활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방 1개 사단, 후방 1개 사단에서 병사들을 대상으로 총 23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커플관계탄력성은 군 생활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군생활 적응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커플관계 탄력성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커플관계 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커플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병사들의 군 생활 부적응 현상의 하나인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커플관계의 역경과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에서 성장 가능성을 찾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