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ichthys miiu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서남해 민어(Miichthys miiuy)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 이승환;정상덕;김영혜;유준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6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민어의 성숙과 산란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민어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우리나라 서해 남부 연안에서 안강망으로 어획되어 양육된 것으로 총 453개체 중, 암컷 229개체, 수컷 211개체를 사용하였다. 성숙도와 생식소숙도지수의 월 변화 결과 민어의 산란기는 8~10월, 주산란기는 9월로 추정되었다. 50% 이상 개체가 생식 가능한 군성숙도를 살펴본 결과 암컷의 군성숙전장은 54.8 cm, 수컷은 49.0 cm로 조사되었다.

디지털 색채 분석을 이용한 민어(Miichthys miiuy) 생식소의 성숙도 판정 (Determining of Maturity Gonads for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Using Digital Color Analysis)

  • 정재묵;김영혜;문경진;최석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53-261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gital color profil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maturity stages and levels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Maturity stages were determined using photomicrographs of ovarian developmental phases, which were compared with digital color values. Brown croaker specimens ranged from 24 to 81 cm in standard length; mature ovaries were predominantly observed in specimens that exceed 40 cm in length. Monthly ovary color values were primarily concentrated in the 1st and 4th quadrants, with both a* and b* values falling within a range of ±15 centered on the origin. Similarly, the testes color values were predominantly situated in the 4th quadrant, with a* and b* values ranging from -5 to 15 and 10 to 14, respectively. While the color values of the mature and spawning stages overlapped within a narrow range, distinguishing between them required both the color value and monthly color value distribution to be considered. Thus, this study underscores the efficacy of digital color measurements for assessing brown croaker gonad maturity, and provides more quantitative insights compared to subjective visual assessments by humans.

자연산 및 양식산 민어, Miichthys miiuy의 체성분 및 탄력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Elasticity between Wild and Cultured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 윤호섭;서대철;안윤근;최상덕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79-185
    • /
    • 2006
  • 자연산 및 양식산 민어, Miichthys miiuy의 체성분 및 탄력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민어육에 대하여 수분, 조단백질, 지방, 회분 및 아미노산 조성을 자연산과 양식으로 구분하고 아울러 비교 분석하였다. 양식산 민어는 천연산에 비해 수분함량이 다소 많은 반면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약간 적었으나 대체로 성분조성이 비슷하였다. 아미노산 함유량의 경우 전체적으로 자연산이 양식산 민어육보다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수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비에서도 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필수아미노산과 전체 아미노산의 비는 자연산과 양식산 모두 같거나 비교적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불포화지방산인 EPA (Eicosapentaenoic Acid)와 DHA (Docosahexaenoic Acid) 조성은 자연산보다 양식산에서 높게 나타났다. 민어육의 탄력을 나타낸 gel strength, max weight 및 hardness는 자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었다.

한국 서남해 민어(Miichthys miiuy)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 이승환;정상덕;유준택;김영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민어의 이석을 이용하여 민어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민어의 이석은 2015년 8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서해 남부 연안에서 안강망으로 어획되어 양육된 것으로 총 339개체 중,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327미였다. 연령은 민어는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지점을 윤문으로 간주하였으며, 윤문형성시기는 3~6월(주형성시기 6월), 산란기는 9~10월 (주산란기 9월)로 추정되어 초륜이 형성되기까지의 기간은 0.75년으로 나타났다. 최고 연령은 암컷 11세, 수컷 9세로 추정되었으며, 윤문이 형성될 시기의 평균 전장을 바탕으로 비선형 회귀방법으로 추정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182.4(1-e^{-0.067(t+1.754)})$($R^2=0.96$)이었다.

양식 민어의 두부형질에 의한 전장 예측 (Total Length Estimation from Head Dimensions of Artificially Propagated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 박인석;김영자;최희정;오승용;노충환;이승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8-131
    • /
    • 2007
  • 전장 3.0~650.0 mm의 민어, Miichthys miiuy 209 개체의 두장, 문장, 안와후연장 및 안경을 계측하였다. 측정된 개체들의 모든 두부형질은 전장에 대해 회귀하였고, 머리의 상대크기에 선형으로 증가하였다. 결정계수($r^2$)는 0.9823~0.9916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01). 본 연구에서 사용된 두부형질들은 민어의 성공적인 사육을 위한 개체 및 집단성장사 및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시판 반염건 민어(Miichthys miiuy)의 영양 및 맛 특성 (Nutritional and Taste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Salted Semi-dried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 박권현;강상인;김용중;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857-863
    • /
    • 2015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nutrition and taste of commercial salted semi-dried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SSD-BC). The mean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commercial SSD-BC was $19.8{\pm}1.7%$ (range, 17.7-23.2%), and the mean crude lipid content was $0.6{\pm}0.3%$ (range, 0.3-1.1%).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ranged from 17.08 to 18.56 g/100 g, except for sample code 5, which was 22.24 mg/100 g and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other samples.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commercial SSD-BC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e. In the commercial SSD-BC, the calcium ranged from 11.1-21.4 mg/100 g, phosphorus from 148.4-209.2 mg/100 g, and magnesium from 12.2-48.2 mg/100 g. Monoenoic acid (37.1-40.3%) was the most common fatty acid, followed by saturated acid (33.9-36.3%) and polyenoic acid (25.1-29.2%). The prominent fatty acids in the commercial SSD-BC were 16:0 (23.9-26.5%), 16:1n-7 (11.3-13.0%), 18:1n-9 (19.7-21.5%), and 22:6n-3 (6.9-10.7%). The mean trichloroacetic acidsoluble nitrogen content was 248.1 (range, 137.2-334.2) mg/100 g. The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the commercial SSD-BC is rich in nutrition and taste.

서해안 민어, Miichthys miiuy의 산란 특성과 부화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Hatching and Spawning Characteristics of Miichthys miiuy in the Western of Korea)

  • 윤호섭;서대철;최상덕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6
  • 본 연구는 민어의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산란 특성과 부화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미는 5년동안 자연산 암컷 39마리, 수컷 24마리로서, 암컷의 크기는 평균 전장 $72.3\sim89.6\;cm$, 평균 체중의 경우 $3,736\sim8,818\;g$이었으며, 수컷의 크기는 평균 전장 $47.1\sim81.2\;cm$, 평균 체중은 $716.6\sim6,853\;g$이었다. 안정적인 채란을 위한 민어친어의 적정크기는 전장 $97.9\sim110.2\;cm$, 체중 $9,657\sim13,200\;g$였다. 유구는 $1\sim5$ 개가 존재하며, 유구수가 1개일때 가장 높은 부화율(96.7%)을 나타내었다. 염분농도별 부화율은 30.0 ppt일때 87.0%로 가장 높았으며, 부화시간의 경우 28.0 ppt일때 17시간 24분으로 가장 짧았다.

New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in the Korean mi-iuy croaker, $Miichthys$ $miiuy$,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genetic characterization of wild and farmed populations

  • An, Hye-Suck;Kim, Eun-Mi;Lee, Jang-Wook;Kim, Dae-Jung;Kim, Yi-Cheo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41-49
    • /
    • 2012
  • Eighteen new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were developed for the Korean mi-iuy croaker ($Miichthys$ $miiuy$, Perciformes, Sciaenidae), and allelic variability was compared between a wild population in Mokpo, Korea, and a hatchery population in Tongyeong, Korea. All loci were amplified readily and demonstrated allelic variability, with the number of alleles ranging from 5 to 37 in the wild population, and from 4 to 12 in the farmed population. The average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were estimated, respectively, to be 0.74 and 0.78 in the hatchery population samples, and 0.79 and 0.86 in the wild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lower genetic variability in the hatchery population compared with the wild population, and significant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the wild population and the hatchery samples ($F_{ST}$=0.058, P<0.001). These microsatellite loci may be valuable for future population genetic studies, monitoring changes in the genetic variation within stocks in a commercial breeding program, conservation genetics, and molecular assisted selective breeding of the mi-iuy croaker in the future.

민어(Miichthys miiuy)의 난발생과정 및 자치어 형태 발달

  • 한경호;조영현;서대철;오성현;진동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69-570
    • /
    • 2001
  • 민어(Miichthys miiuy)는 농어 목 (Perciformes), 민어과(Sciaenidae), 민어 屬(Miichthys)에 속하고, 우리나라 서남해, 황해, 발해, 일본의 중부이남 및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어류이다(Chyung, 1998; 김 등, 1994; Lee and Park, 1992). 민어 과에 대한 연구로는 동갈민어(Nibea mitsukurii)의 자치어 형태발달(Kinoshita and Fujita. 1988), 한국산 민어 科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Lee and Park, 1992), 수조기(Nibea albiflora)의 초기생활사(Takita, 1974), 동지나해의 조기(Pseudosciaena manchurica)와 부세(Pseudosciaena croea)의 자치어 형태발달(Yamada, 1973) 등의 보고가 있지만 민어의 난 발생과정 및 자치어의 발달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없다. (중략)

  • PDF

민어, Miichthys miiuy의 초기 형태 발달: 지느러미 분화, 두부 계측 및 비늘 도포 (Early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Basilewsky): Fin Differentiation, Head Dimensions, and Squamation)

  • 박인석;김영자;구인본;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5-130
    • /
    • 2012
  • 민어, Miichthys miiuy (Basilewsky)에서의 지느러미 분화, 두부 계측 및 비늘 도포 양상의 초기 형태학적 발달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12일(전장 4.2 mm 미만)에, 어체 주위로 fin-fold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및 가슴지느러미의 기조 형성은 부화 후 12일에 거의 완전히 이루어진 반면, 지느러미 분절은 부화 후 26일과 29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꼬리지느러미 중간 기조의 신장은 부화 후 32일에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37일에 현저하였다. 부화 후 68일에 꼬리지느러미가 뾰족해지기 시작하였다(전장 70.7 mm). 비늘의 발달은 전장이 9.1mm(부화 후 28일)일 때 미병의 측선부위로부터 시작되어 결국 아가미덮개 전체를 도포하였다(전장 22.1 mm, 부화 후 44일). 두부 계측치들은 전장이 12 mm 이상(부화 후 30일)에서 거의 안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