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line Shif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탈륨-201 SPECT에서 뇌농양 집적 (Brain Abscess Uptake at TI-201 Brain SPECT)

  • 이원형;한은지;유이령;정용안;손형선;김성훈;정수교;최영진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4호
    • /
    • pp.339-341
    • /
    • 2007
  • A 22-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was hospitalized for headache and vomiting. CT scan showed a well-defined, ring like enhancing mass in the left frontal lobe with surrounding edema and midline shift.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monstrated a round homogeneous mass with a ring of enhancement in the left frontal lobe. Tl-201 brain SPECT showed increased focal uptake coinciding with the CT and MRI abnormality. Aspiration of the lesion performed through a burr hole yielded many neutrophils, a few lymphocytes and histiocytes with some strands of filamentous microorganism-like material. Modified AFB stained negative for norcardia. Gram stain showed a few white blood cells and no microorganism. Antibiotics were started and produced a good clinical response. After one month, CT scan showed markedly reduction in size and extent was observed.

매복된 중절치의 재식 (SURGICAL REPOSITIONING OF AN IMPACTED INCISOR IN MIXED DENTITION)

  • 최수미;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87-692
    • /
    • 2005
  • 매복치는 인접치의 이동 및 치근흡수, 악궁의 공간상실, 치성낭종 형성, 부분맹출에 의한 감염, 전위맹출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복치의 발육상태, 모양 매복된 위치나 각도에 따라 발치,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 재위치 및 치아이식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좌측 중절치의 맹출장애를 주소로 본과에 내원한 환아로, 내원 당시 상악 좌측 중절치는 치조골 내에서 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이탈하여 역위 매복되어 있었다. 역위된 정도를 고려했을 때 외과적 견인 및 노출을 이용한 교정적 처치를 수행하기보다는 재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치아를 발거하여 치근 부위의 치낭이 건전함을 확인하고 정상적인 치조와 내로 재식한 후 resin-wire splint로 1주일간 고정하였다 치아의 생활력이 건전하고 치근형성이 미약하여 치수에 퍼한 처치는 하지 않았으며 그 후 일년 동안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여 치근의 성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매복된 영구치의 매복된 위치나 각도가 정상 범주에서 지나치게 벗어나 예후가 불확실하더라도 무조건 발치하기보다는 환자와 보호자의 심리적인 면, 저작기능,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더욱 보존적인 시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Diagnostic Imaging of Congenital Meningoencephalocele in a Holstein Calf

  • Kwon, Kyunghun;Lee, Byungho;Choi, Sooyoung;Cho, Jongki;Lee, Youngwon;Choi, Hoj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38
    • /
    • 2017
  • A 10-day-old, Holstein calf with facial mass of 10 cm in diameter at the forehead region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mass was soft and fluctuating swelling. It had normal skin and hair hanging forward from frontal region and was thought to contain cerebrospinal fluid. On the skull radiography, cauliflower like-irregular marginated, soft tissue opacity mass was identified craniodorsal to the frontal bone. The mass appeared as a cyst filled with anechoic fluid on ultrasonography. Soft tissue structures considered brain tissues were observed in the deep area of the mass. On the computed tomography, a large skull defect of left side frontal bone was found, and heterogeneous materials were exposed through the defect but exposure of cerebral meninges and brain tissue were not confirmativ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herniated left brain parenchyma showed heterogenous T2 and T1 hyperinsensity. In the intracranium, T2 hyperinstense and T1 hypointense fluid was identified on the left side, instead of left cerebral parenchyma. Also leftward shift of right hemisphere and midline structure, including thalamus and midbrain, were observed. The definitive diagnosis was confirmed as a meningoencephalocele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calf was euthanized and necropsy was performed. On necropsy, both hemisphere were developed unequally with different size. One side hemisphere was grown in the outside through 10 cm hole on the median plane.

손가락 빨기로 인한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MALOCCLUSION, AS RELATED TO FINGER SUCKING : CASE REPORT)

  • 문상진;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
    • /
    • 2004
  • 손가락 빨기는 유아의 심리적인 욕구와 영양적인 욕구에서 유발되어 흔히 $2{\sim}3$세까지는 정상적으로 간주된다. 이 시기까지의 상, 하악골과 교합을 포함하는 치열궁에의 영향은 습관의 중단과 함께 자연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5{\sim}4$세 이후까지 손가락 빨기가 지속된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된 부정교합의 정도가심하고 상, 하악골 발달의 부조화가 현저하며 자연적인 개선을 예측하기 어려울 때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관의 중단 및 습관으로 인한 부정교합과 심한 골격적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Fr\ddot{a}nkel$ appliance는 매우 효과적인 장치이다. 본 증례는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 중 손가락 빨기로 인한 심한 수평피개도와 상, 하악골 발달의 부조화, 심하게 함몰된 안모를 가진 3세 어린이와 정중선 변위, 안면 비대칭, 편측성 구치부 반대 교합을 지닌 4세 어린이에서 습관의 중단과 부정 교합의 치료를 위해 $Fr\ddot{a}nkel$ appliance를 이용해 치료하였다. 환아들은 $Fr\ddot{a}nkel$ appliance를 장착한 이후에 습관이 바로 중단되었으며 증례 1 에서는 심한 수평피개도와 상, 하악골의 부조화가 FR-II 장착 16개월 후 개선되었다. 증례 2 에서는 정중선의 변위, 하악골의 편위, 편측성 구치부 반대교합 안모 비대칭이 FR-III 장착 10개월 후 개선되었다. $Fr\ddot{a}nkel$ appliance는 골격적 부조화의 개선 및 Habit breaker로서 추천할 만한 장치이다. time이 짧았다. 36개월 이상인 환아는 $N_2O/O_2$를 사용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령과 $N_2O/O_2$ 사용시간, $N_2O/O_2$사용과 치료시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 반면, 체중과 $N_2O/O_2$사용시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치료시간 연장, $N_2O/O_2$사용여부와 부작용 발생간에서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 PDF

Compare the Intracranial Pressure Trend after the Decompressive Craniectomy between Massive Intracerebral Hemorrhagic and Major Ischemic Stroke Patients

  • Huh, Joon;Yang, Seo-Yeon;Huh, Han-Yong;Ahn, Jae-Kun;Cho, Kwang-Wook;Kim, Young-Woo;Kim, Sung-Lim;Kim, Jong-Tae;Yoo, Do-Sung;Park, Hae-Kwan;Ji, Cheo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1호
    • /
    • pp.42-50
    • /
    • 2018
  • Objective : Massive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and major infarction (MI) are devastating cerebral vascular diseases. Decompression craniectomy (DC) is a common treatment approach for these diseases and acceptable clinic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Author experienced the postoperative intracranaial pressure (ICP) trend is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 ICH and MI patients.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ICP trend following DC and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 One hundred fo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DC following massive ICH (81 cases) or MI (62 cas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an age was $56.3{\pm}14.3$ (median=57, male : female=89 : 54). DC was applied using consistent criteria in both diseases patients; Glasgow coma scale (GCS) score less than 8 and a midline shift more than 6 mm on brain computed tomography. In all patients, ventricular puncture was done before the DC and ICP trends were monitored during and after the surgery. Outcome comparisons included the ictus to operation time (OP-time), postoperative ICP trend, favorable outcomes and mortality. Results : Initial GCS (p=0.364) and initial ventricular ICP (p=0.783) were similar among the ICH and MI patients. The postoperative ICP of ICH patients were drop rapidly and maintained within physiological range if greater than 80% of the hematoma was removed. While in MI patients, the postoperative ICP were not drop rapidly and maintained above the physiologic range (MI=18.8 vs. ICH=13.6 mmHg, p=0.000). The OP-times were faster in ICH patients (ICH=7.3 vs. MI=40.9 hours, p=0.000) and the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MI patients (MI=37.1% vs. ICH=17.3%, p=0.007).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greater than 80% of the hematoma was removed in ICH patients, the postoperative ICP rarely over the physiologic range. But in MI patients, the postoperative ICP was above the physiologic range for several days after the DC. Authors propose that DC is no need for the massive ICH patient if a significant portion of their hematoma is removed. But DC might be essential to improve the MI patients' outcome and timely treatment decision.

급성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에 따른 급성 교합변화의 증례 (Acute Occlusal Change Following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 Case Report)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05-211
    • /
    • 2012
  • 35세 여자환자가 갑작스런 개구장애와 함께 발생한 급성 교합변화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이전 수년 동안의 관절잡음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절잡음의 소실과 동시에 개구제한이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개구제한과 함께 개구시 우측 악관절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구강내 교합 검사 시 전치부의 개교합과 함께 하악이 우측으로 전위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좌측으로의 측방운동량 또한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악관절에서 비정복성 관절 원판 전방 변위가 관찰되었으며 후방 관절강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는 우측 악관절의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진단되었으며, 급성 교합변화는 변위된 관절원판에 의해 야기된 과두위치의 변화로 초래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처음 3개월간의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와 병행된 안정교합장치요법에서는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그 다음 약 8개월간 사용된 악간견인장치 치료를 통해서 통증 및 교합변화가 해소되었으며 정상적인 개구량으로 회복되었다. 술후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과두가 재형성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변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THE ERUPTION GUIDANCE OF AN IMPACTE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 강근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50-556
    • /
    • 2005
  • 매복치아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구강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의 맹출이 중지된 상태를 말하며, 악궁내의 어떠한 치아도 매복될 수 있으나 가장 흔하게 이환되는 치아는 상, 하악 제 3대구치, 상악 견치, 상, 하악 제 2소구치, 상악 중절치의 순으로 나타난다. 이 중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률은 0.1-0.5% 정도이며 매복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유전치의 외상, 과잉치, 치근단 병소로 인한 매복이 흔하며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에 의한 맹출공간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등의 결과를 유발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방법, 매복치의 맹출로가 정상이며 치근이 미완성일 경우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거나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하는 방법, 치아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상악 중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 상악 중절치의 변위 매복을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페키니즈견의 아교모세포종 증례 (Glioblastoma in a Pekingese)

  • 조현기;유대영;강주연;이권영;황인구;최정훈;정진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44-547
    • /
    • 2015
  • 11살 수컷 페키니즈가 10일간의 발작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15일전 파행으로 지역병원에서 소염제를 처방 받았었고 10일 전 간헐적 전신발작을 시작으로 내원 2일 전에는 실조와 정신둔감이 함께 발생하였다. 혈액검사와 영상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신경계 검사상 위협반사와 동공 빛 반사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원 9시간 후 호흡곤란이 발생하였고 그 후 12시간 후 보호자의 요청으로 안락사를 실시하였다. 부검상 가로 단면에서 확장된 종양으로 인해 현저한 중심선 이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신경아교세포의 거짓 울타리화된 괴사와 미세혈관의 증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염색 결과 종양 부위에서 GFAP, PCNA, Iba-a 에 염색된 세포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교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원발성 두강내 종양은 수의학에서 흔하지 않다. 이번 증례는 페키니즈견에서 아교모세포종의 임상적, 조직학적 발견에 대한 보고이다.

Risk Factors and Preoperative Risk Scoring System for Shunt-Dependent Hydrocephalus Following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Kim, Joo Hyun;Kim, Jae Hoon;Kang, Hee In;Kim, Deok Ryeong;Moon, Byung Gwan;Kim, Joo Se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6호
    • /
    • pp.643-648
    • /
    • 2019
  • Objective : Shunt-dependent hydrocephalus (SdHCP) is a well-known complication of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SAH). The risk factors for SdHCP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but few risk scoring systems have been established to predict SdHCP.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SdHCP and devise a risk scoring system for use before aneurysm obliteration. Methods : We reviewed the data of 301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aneurysm obliteration following SAH from September 2007 to December 2016. The exclusion criteria for this study were previous aneurysm obliteration, previous major cerebral infarction, the presence of a cavum septum pellucidum, a midline shift of >10 mm on initial computed tomography (CT), and in-hospital mortality. We finally recruited 254 patients and analyzed the follow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dHCP : age, sex,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Hunt-Hess grade, Fisher grade, aneurysm size and location, type of treatment, bicaudate index on initial CT, intraventricular hemorrhage, cerebrospinal fluid drainage, vasospasm, and modified Rankin scale score at discharge. Results :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acute HCP (bicaudate index of ${\geq}0.2$) (odds ratio [OR], 6.749; 95% confidence interval [CI], 2.843-16.021; p=0.000), Fisher grade of 4 (OR, 4.108; 95% CI, 1.044-16.169; p=0.043), and an age of ${\geq}50years$ (OR, 3.938; 95% CI, 1.375-11.275; p=0.01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dHCP. The risk scoring system using above parameters of acute HCP, Fisher grade, and age (AFA score) assigned 1 point to each (total score of 0-3 points). SdHCP occurred in 4.3% of patients with a score of 0, 8.5% with a score of 1, 25.5% with a score of 2, and 61.7% with a score of 3 (p=0.000). In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for the risk scoring system was 0.820 (p=0.080; 95% CI, 0.750-0.890). In the internal validation of the risk scoring system, the score reliably predicted SdHCP (AUC, 0.895; p=0.000; 95% CI, 0.847-0.943).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erein-described AFA score i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SdHCP before aneurysm obliteration. Prospective validation is needed.

학대뇌손상 영아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안저소견 (Smartphone Fundus Photography in an Infant with Abusive Head Trauma)

  • 김용현;최신영;이지숙;윤수한;정승아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11호
    • /
    • pp.1313-1316
    • /
    • 2017
  • 목적: 학대뇌손상 영아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안저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생후 8개월 남아가 소파에서 떨어진 후 지속적인 발작과 의식저하를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표면적인 외상이나 두개골과 긴뼈에서 골절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뇌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광범위한 우측 경막하출혈과 혈종, 심한 뇌부종으로 우측 뇌실과 뇌바닥수조가 소실되고 정중선이 좌측으로 치우쳐져 있었다. 두개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즉시 머리뼈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응급수술 직후 시행한 안저검사에서 망막의 여러 층에 걸친 광범위한 다발성 출혈이 양안에서 관찰되었고, 융기되어 있는 망막주름 주변에 체리모양 망막출혈이 있었다. 환아 눈에서부터 5 cm 높이에 20디옵터렌즈를, 15-20 cm 높이에 스마트폰을 두고 동영상촬영방식으로 안저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안저소견은 유리체망막 부착이 강한 영아에서 반복적인 가속-감속력이 안구에 가해지면 발생하는 전형적인 소견이어서, 진단과 가해자의 진술을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결론: 학대뇌손상 진단에서 안저검사는 매우 중요하다. 특별한 장비 없이도 시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안저촬영이 하나의 중요한 법의학적 단서로 사용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