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worker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지역 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재해조사를 통한 저감방안 고찰 (Measur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by Investigating them a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in Rural Area)

  • 김병윤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5-102
    • /
    • 2014
  •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 victi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s for 1/3 of those in the entire industries and about 30% of the total compensation costs are sp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such,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typical industry causing numerous safety acci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to build maximum five-story buildings by examining statistical data for the past five years, investigating those construction site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workers. This study also seeks the causes of and measures f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comparison with relevant syste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o reduce hazard rate, shap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fety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physically weak classes of the middle aged and the aging are urgently required, because 62.9% of the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red to those who are 50 years of age or older. (2) The hazard rate a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10 construction workers accounts for 55% of that of the entire industries. The government, in this context, needs to support finance or technology and improve system by selecting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industrial accidents occur frequently. (3) Because the hazard rate of unskilled workers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 accounts for 90.95% of the total,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concentrated on those unskilled workers. (4) The relevant standards need to be segmented and revised and bolstered, given that 64.79% of death disast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s in the temporary structures including scaffolds and ladders.

COVID-19로 인한 소득변화를 경험한 중년남성 근로자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 비교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Status of Middle-Aged Male Workers Who Experienced Income Changes Due to COVID-19: A Analysis of Self-employed individuals and Wage Workers)

  • 김주혜;허경화;정진욱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9-4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changes in inco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ve affected th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elf-employed individuals. Methods: We compared th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status of regular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individuals with no change in income, with that of self-employed individuals with reduced incom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Results: Smoking status, average amount of smoking per day, changes in the amount of smoking and drinking due to COVID-19, drinking frequency per year, monthly binge drinking experiences, subjective stress, and suicidal thoughts experienced by self-employed individuals with decreased income were not only higher than those of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individuals with maintained income, but their happiness index was also lower than the latter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nge in total household income due to COVID-19 adversely affects th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elf-employed individuals. However, COVID-19-related policies focus only on economic loss compensation, and th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for self-employed individuals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of self-employed individuals.

30~50대 중장년층 남성의 생활과 샴푸 습관이 지루성 두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무직 군무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w lifestyle and shampoo habits affect middle-aged men with seborrheic Scalp - especially office workers)

  • 이종열;유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01-707
    • /
    • 2016
  • 본 연구는 지루성 두피염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30~50대 남성 150명을 대상으로 생활 습관과 샴푸 습관이 지루성 두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루성 두피의 주요 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두피 가려움증과 과다 유분, 두피 뾰루지, 두피 붉은 증상에 대하여 샴푸 시기와 잦은 피로감은 모든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샴푸 시기, 잦은 피로감, 규칙적인 출 퇴근, 스트레스 민감, 헤어스타일 제품사용 유 무와 같은 생활과 샴푸 습관은 지루성 두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사무직 군무 종사자들의 생활과 샴푸 습관이 지루성 두피의 발생원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특히 샴푸 습관과 샴푸의 불완전한 세정 및 모발 건조에 의한 습진이 지루성 두피 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이 되고, 불규칙적인 출 퇴근과 잦은 피로감, 만성 스트레스가 지루성 두피의 이차적 악화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건설재해감소를 위한 중고령근로자 안전에 관한 연구 (The Safety of Old-aged and Middle-aged Workers for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Disasters)

  • 신승우;양승진;윤영환;신성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4-235
    • /
    • 2023
  • 대한민국은 노인인구 증가와 출생율 감소로 인해 생산인구가 고령화되고 있으며 청장년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심리적으로 산업재해에 취약한 중고령 근로자의 안전은 재해율을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건강검진을 표본으로 하여 신체기능의 특징과 심신기능 변화에 따른 중대재해 원인을 파악하고 재해예방 3E 이론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여 건설현장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예방 방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추락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난간,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수직비계 등의 개발을 통해 위험 작업을 간소화하여 재해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을 도출하고 관리적 측면에서 재해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한 재해정보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적인 방법으로는 중고령 근로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특별교육과 감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한다면 건설재해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피부건강 웰니스 프로그램이 웰니스지수 및 피부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kin Anti-Aging Wellness Program on Factors Related to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 김현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3-230
    • /
    • 2019
  • Purpose : Wellness tourism is defined as travel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physical, psychological, or spiritual activities.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comprehensive wellness program for health care for worke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lness and skin health effects of skin health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high-value health care servic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5 middle-aged women who understood the research and volunteered and participated in the two-day skin health wellness program. Participant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ir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twi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llness index measures include comprehensive wellness, physical wellness, ment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social/cultural wellness, financial wellness, and environmental wellness. Skin health measurement items consisted of skin oil, skin water, skin pore, skin elasticity, skin wrinkle, and skin pigment. The skin wellness program included aerobic exercise, endurance exercise, functional food, cosmetics, herbal tea, massages, spa treatments, meditation, and marine leisure sports. The t-tes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measurement item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 Among the wellness index items, the comprehensive wellness index (p<.05), mental wellness index (p<.05) and environmental wellness index (p<.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kin health items, skin oil (p<.05), skin elasticity (p<.01) and skin wrinkle (p<.01)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social/cultural wellness, financial wellness, skin water, skin pore and skin pigment.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wo-day complex wellness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for some items of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실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학부모, 교사 등 관계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the Realization of Right to Learn of Youth Migrants in Korea: Focusing on Parents, Teachers and Experts)

  • 김현진;노기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33-538
    • /
    • 2021
  •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보장과 관련하여 교육 관련 종사자와 학부모의 인식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교육기회와 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정착, 기본권으로서 사회보장 지원, 학습권 보장, 심리지원의 4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둘째, 학교 부적응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셋째, 개별 맞춤형 지원 제도 수립, 넷째, 정보제공 등 지원 제도의 적극적인 홍보, 마지막,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제도의 다변화를 제안하였다.

중년여성 근로자의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Middle Age Women Workers)

  • 최준영;전미양;서영미;최소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37-145
    • /
    • 2017
  • 본 연구는 중년 여성 근로자의 뇌심혈관 질환 발병위험도를 평가하고 발병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일개 조선소에 근무하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년 여성 근로자의 1,340명의 건강검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상 혈압을 가진 대상자는 1234명이고 그중 발병인자가 없는 건강군은 1,078명(80.4%), 저위험군 45명(3.4%), 중등도 위험군 150명(11.2), 고위험군 67명(5.0%)으로 나타났다. 건강군과 위험군 간에 연령,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흡연 유무, 뇌졸중 가족력, 심장질환 가족력, 고혈압 가족력, 당뇨 가족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한 뇌심혈관 질환 발병위험 영향요인은 연령,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흡연, 뇌졸중 가족력, 고혈압 가족력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추후 중년 여성의 뇌심혈관 질환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운동부하 심전도를 이용한 중년 남성들의 걷기 운동이 ST/HR 경사 및 QRS 벡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alking Exercise on ST/HR Slope and QRS Vector in the Middle-Aged Men)

  • 김덕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6
    • /
    • 2010
  • 본 연구는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3년간 1년에 1회씩 3차례에 걸쳐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여 야외 및 트레드밀 걷기 운동 참여 여부에 따라 부하 심전도의 변화에 어떠한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안정 시 신체조성 분석,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다. 안정 시 신체조성 분석은 체지방율과 BMI를 측정하였고, 안정 시 및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은 ST/HR 경사 및 QRS 벡터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T/HR 경사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 6분부터 통제 집단은 감소하기 시작하여 운동 9분과 peak시에 $2.4\;{\mu}V/bpm$ 이하로 감소하여 허혈 증상이 나타났다. 2. QRS 벡터의 축 각도에 있어서 안정 시 전면 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제 집단이 우측으로 유의하게 편향되었고, 안정 시 수평면 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제 집단이 등 쪽으로 유의하게 향하였다. 안정 시 수평면 파고의 길이에 있어서 통제 집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걷기 운동 집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 활동의 중년 남성들은 운동 중 심근 허혈 유발, QRS 벡터의 편향 등이 현저하게 나타난 반면, 규칙적인 야외 및 트레드밀 걷기 활동에 참여한 중년 남성들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의 감소로 심장기능이 향상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금융이해력과 노후금융준비에 대한 경로분석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mong Middle Aged North Korea Defectors: Using a Path Analysis)

  • 김정근;김효주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291-308
    • /
    • 2018
  • 본 연구는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노후금융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금융이해력'과 '금융포용성'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대상자는 경기도 하안동과 노원구 공릉동 부근에 거주하는 40~60세 북한이탈주민들로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인 목적적 표본추출법(purposive sampling)을 통해 선정했다. 총 100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분석방법은 경로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노후금융준비는 금융이해력 증가에 양(+)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부트스트랩방법에 의하면 금융포용성은 금융이해력과 노후금융준비관계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금융이해력이 노후금융준비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저소득 집단은 금융이해력과 노후금융준비의 관계에서 금융포용성의 매개효과만이, 평균소득이상 집단에서는 금융이해력과 노후금융준비간의 직접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 결과에 근거하여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소득수준별 맞춤형 금융교육의 필요성, 노후금융상품의 개발, 금융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 등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족 중년여성 근로자의 심혈관질환 예방 교육자료 개발 및 평가: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ssessment Tool for Printable Materials (PEMAT-P) 이용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Materials for Middle-aged Korean-Chinese Female Workers: Applying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ssessment Tool for Printable Materials (PEMAT-P))

  • 이현경;김정희;유리;이자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4-29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quality (understandability and actionability) of health education materials for Korean-Chinese (KC) female migrant workers, using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ssessment Tool for Printable Materials (PEMAT-P). Methods: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3 focus groups with 20 KC women and a focus group with 4 community stakeholder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was evaluated by 3 experts and a community stakeholder, followed by a survey with 15 KC women using 17 items for understandability and 7 items for actionability by means of a Korean version PEMAT-P. Results: The health educational calendar consists of 12 subjects out of 9 topics related to healthy lifestyles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The overall mean understandability score was 98.8% and the overall mean actionability was 100%. Conclusion: Involvement of KC women and community stakeholder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increasing understandability and actionabi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KC female migrant worker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e PEMAT-P is a useful evaluation tool, emphasizing the actionability of education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