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ddle ear Diseas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소아(小兒) 재발성삼출성(再發性渗出性) 중이염(中耳炎)에 가미형개연교탕(加味荊芥連翹湯)이 중이강삼출액내(中耳腔渗出液內) 세포활성물질(細胞活性物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Otitis Media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 of Otolaryngology and Pediatrics)

  • 이은미;박은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70
    • /
    • 1999
  • The author measured IL-2, IL-4, IL-6, TNF-${\alpha}$ and total protein(TP) level of middle ear effusion(MEE) of 24 ears - 13 ears of them had treated by antibiotics, 11 of them by Kami-hyunggyeyungyotang - of pediatric recurr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PROME) using ELISA assay, and compared the level of cytokines(pg/ml)/TP(mg/dl). And investigated the clinical finding in those childre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level of IL-2/TP in Kami-hyunggyeyungyota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ntibiotics group(P〈0.05). 2. The level of IL-4/TP in Kami-hyunggyeyungyota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ntibiotics group(P〈0.0l). 3. The level of IL-6/TP in Kami-hyunggyeyungyota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antibiotics group(P〈0.05). 4. The level of TNF-${\alpha}$/TP in Kami-hyunggyeyungyota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antibiotics group(P〈0.01) 5. 79.1% of children with recurr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ROME) were also complicated to chronic sinusitis. The children's t-test was used to make a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above results, Kami-hyunggyeyungyotang is considered to be used for treatment 'recurr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 by control produce of cytokines which are connected with inflammatory reaction.

  • PDF

Treatment Protocol for Cleft Lip and/or Palate Children in Kyushu University Hospital

  • Suzuki, Akira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9-82
    • /
    • 2012
  • Our Team Approach consists of following five stages; (1) Peri-natal care until lip repair After ultrasound diagnosis, some obstetricians recommend the mother with CL/P fetus to undergo prenatal counseling in our CLP clinic. On the day the CL/P baby was born, our oral surgeon, nurse, and pedodontist visit the maternity clinic, and take counseling and take impression for a feeding plate. The cheiloplasty is performed in three months old. (2) From lip repair to palatal repair At one year of age, Otorhinolaryngologist checks middle-ear disease. Palatoplasty is carried out at 1.5 - 2 years old. (3) In deciduous and early mixed dentitions Speech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social life for the CL/P subjects, therefore the training of velopharyngeal function is essential. Orthodontist monitors dentofacial development from 5 years of age. In the case of severe maxillary under-growth or severe collapse, maxillary protractor or lateral expansion is indicative, respectively. In early mixed dentition, upper central incisor on the cleft area erupts with some torsion, and then the traumatic occlusion with tooth torsion must be corrected. (4) In mixed dentition Right before the eruption of upper canines, secondary bone grafting is performed. One year prior to the operation, maxillary fan-type expansion is carried out to correct the collapse of maxillary segments. Following the surgical operation, the erupted canine will be moved into the transplanted bone to avoid alveolar resorption. (5) In permanent dentition Final tooth alignment is carried out after eruption of second molars. Some cases may require orthognathic surgery after physical maturation. Prosthetic oral rehabilitation including the dental-implant is carried out after age eighteen.

  • PDF

삼출성중이염과 중이내 통기관 유치술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Considerations of Serous Otitis Media and Ventilation Tube)

  • 김영명;박인용;장태영;심형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5
    • /
    • 1982
  • 삼출성 중이염은 이 질환중 가장 많은 도를 차지하는 질환의 하나로서 1869 년 Politzer가 최초로 기술하고 치료법을 소개한 이후로 현재까지 그 병인 및 다양한 치료법이 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이중 중이내 통기관 유치술은 1954년 Armstrong에 의해 성공적으로 시행된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변형 발전되어 최근에 이르러서는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또한 그에 따른 합병증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연자 등은 삼출성중이염의 임상적 측면을 재검토하고 중이내 통기관유치술의 치료효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 하고자 1981. 1. 1부터 1982. 2. 28 까지 1년 2 개월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중이내 통기관유치술을 시행한 환자 97명 (157이)을 대상으로 하여 삼출성중이염의 증상, 연령분포, 동반질환, 고막의 이학적 소견, 청력손실의 정도와 술후의 청력증진,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용한 통기관으로는 Sheehy의 collar button tube와, Per Lee tube였다. 1) 증상의 빈도는 29례중 청력소실 29례(100%) 이명 19례 (65.6%) 자성강청(Autophony), 12례 (44.4%) 이충만감 10례 (34.5%)의 순이었다. 2) 연령분포는 6∼10세가 42례 (43.3%)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20세 이상의 성인도 23례(23.5%)나 있었다. 3) 소아에서는 주로 양측성으로, 성인에서는 일측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4) 동반질환으로는 편도 및 아데노이드비후가 49례 (50.5%). 부비동염 15례 (15.5%), 비알레르기 4례 (4.1%)등의 순이었다. 5) 술전 고막소견은 함몰 62귀 (42.7%), 팽윤 37귀 (23.6%), 변색(21.7%)등의 순이었으며 특별한 병적 소견이 없는 경우고 29귀 (18.5%)나되었다. 6) 삼출액의 특성은 15세이하의 소아에서는 점액성이 84.2%로 많았고 성인에서는 장액성이 62.5%로 많았다. 7) 술전 기골도차는 21∼30dB가 48귀 (30.6%)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25.3dB이었다. 8) 술후 청력증지은 10dB 이상 증가한 경우가 24귀 (72.7%)로서 평균 17.2dB였다. 9)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37귀 (23.6%) 무기화 3귀(1.9%)과립조직의 증식 2귀 (1.3%) 영구천공 2귀 (1.3%)의 순이었다. 10) 술후 감염증이 있었던 37 귀중 수술직후부터 계속되었던 경우가 19 귀(51.4%), 도중에 발생한 경우가 18 귀(48.6%)였으며 이들중 26귀(70.3%)에서는 대증요법으로서 치유되었으며 11귀 (29.7%)에서는 통기관을 제거한 후에야 감염증이 치유되었다.

  • PDF

Oral manifestations and their correlation to baseline CD4 count of HIV/AIDS patients in Ghana

  • Frimpong, Paul;Amponsah, Emmanuel Kofi;Abebrese, Jacob;Kim, S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1호
    • /
    • pp.29-36
    • /
    • 2017
  • Objective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is a disease of the human immune system caused by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People with AIDS are much more vulnerable to infections, including opportunistic infections and tumors, than people with a healthy immune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e oral lesions associated with HIV/AIDS and immunosuppression levels by measuring clusters of differentiation 4 (CD4) cell counts among patients living in the middle western regions of Ghan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0 patients who visited the HIV clinic at the Komfo Anokye Teaching Hospital and the Regional Hospital Sunyani of Ghana were consecutively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Referred patients' baseline CD4 count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each patient received an initial physician assessment. Intraoral diagnoses we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diagnostic criteria of the EEC Clearinghouse, 1993. After the initial assessment, extra- and intraoral tissues from each enrolled patient were examined.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imple proportions,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of significance. Results: Our study included 120 patients, and was comprised of 42 (35.0%) males and 78 (65.0%)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1 to 67 years with sex-specific mean ages of 39.31 years (males) and 39.28 years (females). Patient CD4 count values ranged from 3 to 985 cells/mL with a mean baseline CD4 count of 291.29 cells/mL for males and 325.92 cells/mL for females. The mean baseline CD4 count for the entire sample was 313.80 cells/mL. Of the 120 patients we examined, 99 (82.5%) were observed to have at least one HIV-associated intraoral lesion while 21 (17.5%) had no intraoral lesions. Oral candidiasis, periodontitis, melanotic hyperpigmentation, gingivitis and xerostomia were the most common oral lesions. Conclusion: From a total of nine oral lesions, six lesions that included oral candidiasis, periodontitis, melanotic hyperpigmentation, gingivitis, xerostomia and oral hairy leukoplaki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clining CD4 counts.

중장년 한국 남성의 좌식 시간에 따른 영양, 식이 및 건강행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Study on nutrition, dietary and health status of middle-aged Korean men according to sedentary hours: based on the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다정;이지현;윤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59-375
    • /
    • 2022
  • 성인 남성은 주된 경제활동 인구로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이들의 좌식 시간과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의 좌식 시간과 영양, 식이 및 건강 행태의 차이와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 위험 요인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피험자 (n = 1,068)는 평소 하루 앉아서 보내는 시간 (시간 및 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가장 낮았고 허리둘레가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또한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교육수준과 White collar의 비율이 높았고, 이에 따라 업무 중 고강도와 중강도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 또한 높았다. 최근 1년의 음주 빈도는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좌식 시간이 가장 짧은 그룹과 가장 높은 그룹에서 가장 빈번하였으며, 이는 좌식 시간보다는 평균 근로시간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걷기와 근육 운동 횟수에는 그룹 간 차이가 없었지만, 유산소 운동 실시 비율은 좌식 시간이 긴 그룹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식이습관, 평일 수면시간 및 정신건강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 의사 진단을 받은 사람은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에 가장 많았으나, 골다공증, 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유병 빈도가 미미하였고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요인 중 LDL-콜레스테롤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혈중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가장 높았다.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비타민 B1과 칼슘 섭취량이 가장 적었고, 비타민 C를 EAR보다 적게 섭취한 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성인 남성의 건강 및 영양상태 등이 좌식 시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좌식 시간을 건강 위험요인으로 인지하고 이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안동주변 농촌지역 50세 이상 주민의 식품섭취빈도 및 건강행위에 따른 영양위험 분석 (1) (Nutritional Risks Analysis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 (1))

  • 이혜상;권인숙;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98-1008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 개선을 위한 노인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 1,384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식품섭취빈도에 관한 설문조사 및 식이섭취조사를 수행하였고, 건강관련행위 및 식품섭취빈도와 영양소 섭취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 분포는 $50{\sim}64$세가 60.0%(남자 54.0%, 여자 63.9%), $65{\sim}74$세가 34.4%(남자 38.5%, 여자 31.8%), 75세 이상이 5.6%(남자 7.5%, 여자 4.3%)이었다. 대상자의 흡연율은 남자 78.0%, 여자 4.1%로 남자의 흡연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음주율은 남자 64.5%, 여자 31.8%로 이 지역 조사대상자들의 음주율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나타난 전국 평균보다는 다소 낮았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남자의 9.8%, 여자의 6.7%로서 90% 이상이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를 거의 먹지 않는 사람이 남자는 35.2%, 여자는 65.0%, 생선을 거의 먹지 않는 사람이 남자는 32.1%, 여자는 44.7%로 나타났으며, 과일을 거의 먹지 않는 경우는 15.7%(남자 15.2%, 여자 16.0%)이었다. 김치를 제외한 채소의 경우 42.6%(남자 40.0%, 여자 44.1%)가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 섭취량이 남자 1410.5 kcal, 여자 1279.2 kcal인 점과 에너지 필요추정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92.5%, 여자 88.4%인 것으로 볼 때 이 지역 조사대상자들의 에너지 섭취 부족은 심각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자 53.8 g, 여자 46.9 g이었으며, 남자의 27.8%, 여자의 29.8%가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였다. 비타민 섭취량을 평균필요량과 비교 분석한 결과, 리보플라빈 섭취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남자 92.5%, 여자 89.6%), 다음은 엽산(남자 89.7%, 여자 88.5%), 티아민(남자 76.7%, 여자 77.2%), 그리고 비타민 A(남자 69.9%, 여자 75.6%)의 순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타민 섭취량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무기질 섭취량 분석 결과, 칼슘(남자 78.0%, 여자 85.8%)의 섭취가 가장 부족하였으며, 아연(남자 65.6%, 여자 52.1%)이 칼슘에 이어 부족하게 섭취하는 무기질이었다. 75세 이상 주민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단백질, 비타민 B6, 철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육류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은 육류를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하는 사람보다 단백질과 니아신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생선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단백질, 니아신, 비타민 B6 그리고 아연의 섭취가 낮았으나, 과일과 김치를 제외한 채소에 대한 섭취빈도는 영양위험 수준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로 인한 영양소 섭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여자 노인에서는 일주일에 $1{\sim}2$회 음주자의 영양 섭취 불량 비율이 비음주자 또는 거의 매일 음주하는 사람보다 오히려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대부분의 영양소에 있어서 섭취 부족비율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여자는 인의 섭취 불량 비율이 흡연자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 남녀 모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의 영양 불량 비율이 낮은 경향이었으나, 남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여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에서 에너지,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연의 섭취 불량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은 흡연율이 높고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좋지 않았고, 육류, 생선, 채소 등의 식품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어육류의 섭취빈도는 영양위험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따라서 이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금연교육과 함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채소와 어육류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양중재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