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Term Conditions Optimiz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비선형 내점법을 이용한 최적 조속기 응동 조류계산 (Optimal Governor Response Power Flow with Nonlinear Interior Point Method)

  • 김태균;이병준;송화창;차준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9호
    • /
    • pp.1527-1534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optimal governor-response power flow (OGPF) to obtain an optimal set of control parameters when the systems are in mid-term conditions after disturbances, ignoring the system dynamics. The idea of GOPF simply comes from the attempt to find an optimal solution of the governor-response power flow (GPF), which is a pre-exiting tool that is used to get power flow solutions that would exist several seconds after an event is applied. GPF incorporates the simplified model of governors in the systems into the power flow equations. This paper explains the concept of OGPF and depicts the OGPF formulation and application of a nonlinear interior point method as the solution technique. Also, this paper includes an example with New England 39-bus test system to illustrate the effectiveness of GOPF.

마의 수확후 처리 및 저장 온도 최적화 (Optimization of Curing Treatment and Storage Temperature of Chinese Yam)

  • 이동석;박윤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89-298
    • /
    • 2013
  • 마의 수확 후 관리기술 최적화 일환으로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치유 처리 및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마 괴근은 11월 초 중순에 수확하였고 수확후처리로서 상온과 $29^{\circ}C$ 열풍 조건에 따라 기간을 달리하는 치유과정을 거쳤다. 치유처리 후 저장온도는 저온장해 발생여부 판단과 저장 기간 최적화를 위해 $0.5-7.5^{\circ}C$ 범위에서 검증과정을 거쳤고 저장기간은 4개월에서 7개월까지 점진적으로 연장하였다. 저장 후 유통품질 유지를 위한 처리로는 단시간 $60^{\circ}C$ 열풍처리 후 $20^{\circ}C$ 상온유통과 $7^{\circ}C$ 저온유통 효과를 비교하였다. 수확 후 치유처리는 마의 호흡속도를 감소시켰고 상온치유보다는 3-5일 열풍치유가 장기저장 후 경도를 유지하고 중량감소를 낮춤으로써 품질유지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다양한 저장온도를 설정한 장기 저장 실험결과, $0.5^{\circ}C$에 저장된 마는 유통과정에서 저온장해 현상으로 판단되는 호흡속도의 증가와 조직붕괴 및 연화현상으로 인한 상품성의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적정 저장온도로는 저온장해 현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3-4^{\circ}C$ 범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기저장 후 유통과정에서는 발근과 부패 억제 등 품질유지를 위해 저온유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는 수확 후 열풍치유와 $3-4^{\circ}C$ 저장 및 저장 후 저온유통 과정으로 구성되는 최적화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7개월 이상 저장 후까지 품질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