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thread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성견에서 사다리꼴형 디자인과 미세나사선을 가진 단폭경임플란트의 골유착 평가: 예비연구 (Evaluation of narrow-diameter implant with trapezoid-shape design and microthreads in beagle dogs: A pilot study)

  • 장윤영;윤정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7호
    • /
    • pp.529-540
    • /
    • 2016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sseointegration of narrow-diameter implant with trapezoid-shape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coronal microthreads on trapezoid-shape narrow-diameter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narrow-diameter impl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bsence or presence of coronal microthreads: trapezoid-shape narrow diameter implant (TN group) and trapezoid-shape narrow-diameter implant with microthreads (TNM group). They were installed alternately in bilateral mandible in three dogs. After 8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emoval torque test, and histometric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tatistically higher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were observed in TNM group than in TN group at the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However, significant ISQ values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groups at 8 week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SQ values at 8 weeks, compared to the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moval torque test. Bone-implant contact ratio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otal and coronal par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rapezoid-shape design on narrow-diameter implant showed successful ossointegration, and the microthreads on coronal par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bone-implant contact and biomechanical stability at 8 weeks.

  • PDF

Effect of microthreads on removal torque and bone-to-implant contact: an experimental study in miniature pigs

  • Kwon, Yee-Seo;Namgoong, Hee;Kim, Jung-Hoon;Cho, In Hee;Kim, Myung Duk;Eom, Tae Gwan;Koo, Ki-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1호
    • /
    • pp.41-46
    • /
    • 2013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threads on removal torque and bone-to-implant contact (BIC). Methods: Twelve miniature pigs for each experiment, a total of 24 animals, were used. In the removal torque analysis, each animal received 2 types of implants in each tibia, which were treated with sandblasting and acid etching but with or without microthreads at the marginal por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4, 8, or 12 weeks of healing. Each subgroup consisted of 4 animals, and the tibias were extracted and removal torque was measured. In the BIC analysis, each animal received 3 types of implants. Two types of implants were used for the removal torque test and another type of implant served as the control. The BIC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mandible of the animals. The $P_1-M_1$ teeth were extracted, and after a 4-month healing period, 3 each of the 2 types of implants were placed, with one type on each side of the mandible, for a total of 6 implants per animal.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a 2-, 4-, or 8-week healing period. Each subgroup consisted of 4 animals. The mandibles were extracted, specimens were processed, and BIC was analyz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moval torque value or BIC was found between implants with and without microthreads. The removal torque value increased between 4 and 8 weeks of healing for both types of impla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8 and 12 weeks. The percentage of BIC increased between 2 and 4 weeks for all types of impla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 and 8 weeks. Conclusions: The existence of microthreads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mechanical and histological stability.

두 종의 external hex implant의 변연골 흡수에 관한 연구 :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resorption around two types of external hex implants : preliminary study)

  • 이지은;허성주;곽재영;김성균;한종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9-174
    • /
    • 2008
  • 목적: 치과 임플랜트 주위의 변연골 변화는 임플랜트의 기능적인 유지 뿐만 아니라 심미적 성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변연골의 유지를 위한 임플랜트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이번 예비 연구는 두 종류의 external hex implant 시스템에서 임플랜트의 상부 미세 나사산이 변연골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총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r{{\aa}}nemark$ 임플랜트 식립군 (1군, 거친 표면 임플랜트, 20개)과 원플란트 임플랜트 식립군 (2군, 미세나사산을 가진 거친 표면 임플랜트, 20개)으로 분류하였다. 기준 시점 (임플랜트 부하)과 부하를 가한 1년 뒤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UTHSCSA Image Tool을 이용하여 임플랜트-보철 경계부로부터 변연골 높이 변화량으로 계측하였다. 계측치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hree-level ANCOVA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기준 시점과 비교하여 1년 기능 후, 두 그룹 간의 변연골 소실 변화량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1군의 평균 변연골 높이 변화량은 $0.83{\pm}0.31mm$, 2군에 있어서는 $0.44{\pm}0.36mm$ 이었다. 미세나사산을 가진 거친 표면 임플랜트가 미세나 사산을 가지지 않은 거친 표면 임플랜트 보다 더 적은 변연골 소실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미세나사산을 가진 거친 표면 임플랜트가 기능적 부하 후 변연골 높이를 유지하는데 있어 더 유리한 디자인으로 보인다.

SLA 표면 처리와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the $Implantium^{(R)}$ implant with a SLA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 도레미;문홍석;심준성;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6-147
    • /
    • 2009
  • 연구목적: 골유착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후, 임플란트의 등장은 치과계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상실치아의 수복은 안정된 시술방법으로 시행되어져 왔으며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고 사용 빈도도 급격히 증가해왔다. 이에 따라 국산 임플란트의 사용 빈도도 높아지고 그 종류 또한 증가하였으나 장기간의 임상적, 객관적인 자료를 가진 국산 임플란트의 수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SLA 표면 처리 및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Implantium^{(R)}$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38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106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6개월에서 30개월까지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진료기록부를 통해 성별, 연령, 식립 위치, 식립 부위의 골 상태, 식립된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 2차수술및골이식여부, 대합치의 유형, 임상적 합병증의 유형 및 빈도 등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분포 및 생존율의 차이와 함께 이들 항목이 변연골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사진분석으로 임플란트 식립시, 보철물 장착 후 첫 6개월 내지 1년간, 그 이후 연간 변연골 흡수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총 38명에게 식립된 106개의 임플란트 중 1개가 실패하여 누적 생존율은 99.1%로 나타났다. 2. 보철물 장착 후 최소 6개월 이상 정기검진이 가능했던 96개의 임플란트에서 상악에서의 생존율이 97.0%, 하악에서의 생존율은 100%였고, 구치부에서의 생존율은 98.9%였으며 전치부에서의 생존율은 100%였다. 3.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간의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17 mm 이었으며, 1년 이후의 연간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04 m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차 있게 적은 골소실량을 나타내었다(P<.05). 4.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간 연령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5), 1년 이후의 정기 검진 기간에서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50세 미만의 환자보다 큰 연간 변연골 흡수량을 보였다(P<.05). 5. 성별 간, 악궁 간, 전치부와 구치부위 간,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령을 들 수 있었으며 성별, 악궁 간, 악궁 내 위치,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최대 30개월까지의 기간 동안 SLA 표면 처리 및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의 임상적인 성공률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변연골 흡수량도 임플란트 성공 기준에 부합하였다.

Micro thread를 포함한 GSII RBM임플란트(Osstem)의 후향적 임상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GS II Implant(Osstem) with an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 지영덕;이재환;오상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417-429
    • /
    • 2009
  • 골유착성 임플란트가 소개된 이후로 부분 및 무치악 부위에서 사용되어 높은 성공률과 함께 예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개발된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임상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자료가 불충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31명의 환자에게서 임플란트 경부에 미세나사를 지닌 임플란트 식립 후 평균 21개월의 기간 동안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한 조사를 시행하였고 부하가 가해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12개월 간 변연골의 변화를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하여 측정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총 96개의 임플란트에서 3개의 임플란트가 실패하여 96.9%의 생존율을 보였다. 50대 환자에서 85.7%로 가장 작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생존율 및 변연골 흡수량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악에서는 95.7% 하악에서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골이식 여부, 보철물의 종류, 매식체의 길이 및 직경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능 부하 후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은 단일 금관 보철물이 연결 고정 보철물에 비해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나 임플란트의 직경, 길이, 골이식의 유무, 식립위치에 의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경부에 미세나사를 지닌 임플란트 식립 후에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은 비교적 적게 일어났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관찰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icrogrooves on titanium surface affect peri-implant cell adhesion and soft tissue sealing; an in vitro and in vivo study

  • Lee, Hyo-Jung;Lee, Jaden;Lee, Jung-Tae;Hong, Ji-Soo;Lim, Bum-Soon;Park, Hee-Jung;Kim, Young-Kwang;Kim, Tae-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3호
    • /
    • pp.120-126
    • /
    • 2015
  • Purpose: With the significance of stable adhesion of alveolar bone and peri-implant soft tissue on the surface of titanium for successful dental implantation proced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microgrooves on the titanium surface and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peri-implant cells and tissues. Methods: Three types of commercially pure titanium discs were prepared; machined-surface discs (A),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SLA)-treated discs (B), SLA and microgroove-formed discs (C). After surface topography of the discs was examined by confocal las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ter contact angle and surface energy were meas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s) and murine osteoblastic cells (MC3T3-E1) were seeded onto the titanium discs for immunofluorescence assay of adhesion proteins. Commercially pure titanium implants with microgrooves on the coronal microthreads design were inserted into the edentulous mandible of beagle dogs. After 2 weeks and 6 weeks of implant insertion, the animal subjects were euthanized to confirm peri-implant tissue healing pattern in histologic specimens. Results: Group C presented the lowest water contact angle ($62.89{\pm}5.66{\theta}$), highest surface energy ($45{\pm}1.2mN/m$), and highest surface roughness ($Ra=22.351{\pm}2.766{\mu}m$).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of hGFs and MC3T30E1 cells was prominent in group C. Titanium implants with microgrooves on the coronal portion showed firm adhesion to peri-implant soft tissue. Conclusions: Microgrooves on the titanium surface promoted the adhesion of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ic cells, as well as favorable peri-implant soft tissue se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