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monospora sp.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Micromonospora sp. SA-246 균주가 생산하는 Isochromanequinone계 항생물질

  • 여운형;윤봉식;황경숙;이정옥;유승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1-326
    • /
    • 1996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new bioactive compounds from oligotrophs in soil, a microorganism, designated as SA-246 and now identified as Micromonospora sp., has been shown to produce a strong antibacterial compound. The active compound was purified from broth filtrate by ethyl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HPLC, and was identified as crisamicin A based on mass and NMR spectral data. The compound SA- 246 exhibited not on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but also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lung), SK-OV-3 (ovarian),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ous system) and HCT15 (colon).

  • PDF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Micromonospora sp.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monospora sp. Showing Nematocidal Activity Against Pine Wood Nematode)

  • 박동진;이재찬;김판경;김창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7-101
    • /
    • 2008
  •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방선균의 탐색 및 동정을 위하여 2000여개의 방선균배양액 라이브러리로부터 살선충 활성을 탐색하였다. 현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되고 있는 Streptomyces avermitilis 균주 배양액의 살선충 활성과 비교하여 선발한 결과, 강력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AW050027을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군주에 대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 분석 및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한 결과 선발군주는 Micromonospora coriariae $NAR01^T$ 균주와 98.9%의 상동성을 가진 균주로 동정되었다.

Micromonospora sp. AW050027 균주의 배지최적화 및 미생물제제 처리에 의한 소나무재선충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Micromonospora sp. AW050027 by Media Optimization and Microbial Treatment Against Pine Wood Nematode)

  • 박동진;이재찬;장용하;김창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8-147
    • /
    • 2010
  •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Micromonospora sp. AW050027 균주를 최적의 배지에서 배양한 미생물배양액을 제제하여 포트 및 포장에서 살선충 효과를 확인하였다. 최적화된 배지조성은 리터당 glycerol 10 g, soybean meal 10 g, NaCl 1 g, $CaCO_3$ 2 g, $K_2HPO_4$ 0.125 g 이었으며, 활성균주를 배양하여 농축한 후 액상 및 분말 미생물제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에는 소나무재선충 공생미생물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kanamyci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포트시험, 예비포장 시험 및 본포장 시험을 통하여 소나무재선충 방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액상제제를 수간수사하여 처리한 경우 1회처리시 고사율 53%, 5회 분할처리시 28%로 분할처리가 1회처리보다 2배 가량 효과적이었고, 배양농축액을 분할처리한 경우에서는 대조구의 고사율 100%에 대하여 고사율 10% 이내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nti-Melanogenic Dipeptides from a Cretaceous Jinju Formation Derived from Micromonospora sp.

  • Rui Jiang;Soohyun Um;Hyeongju Jeong;Jeongwon Seo;Min Huh;Young Ran Kim;yuho M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59-66
    • /
    • 2023
  • The anti-melanogenic activity of 259 actinomycete strains was tested, an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the reduction in melanin content, Micromonospora sp. JCS1 and JCS7 were selected as the strains with the highest anti-melanogenic potential. The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extracts from JCS1 and JCS7 led to the isolation of the dipeptides cyclo(ʟ-Phenyl alanine (Phe)-ʟ-Proline (Pro)) (1) and cyclo(ʟ-Tryptophan (Trp)-ʟ-Proline (Pro)) (2). These two compounds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monitoring ʟ-DOPA levels and melanin production. Cyclo(ʟ-Phe-ʟ-Pro) (1) and cyclo(ʟ-Trp-ʟ-Pro) (2) were thus confirmed to have the potential for use in functional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actinomycete-derived secondary metabolites.

실내배양에서 생계분, 톱밥 및 왕겨 첨가가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wl Dropping, Saw Dust and Rice Hull on Soil Microflora in vitro)

  • 양창술;공혜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59
    • /
    • 1996
  • 토양중에서 서식하는 미생물(微生物) flora의 구성과 미생물의 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양 및 유기물 자재를 달리 처리하여 $28{\pm}2^{\circ}C$에서 항온시키면서 84일에 걸쳐 경시적으로 각종 미생물(微生物)의 활성과 미생물상(微生物相)의 구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상균 전세균, 그램음성세균 그리고 방선균의 활성도는 배양 21일째에, 그리고 포자형성세균은 배양 42일째에 가장 높은 수를 나타내었다. 사상균과 그램음성세균의 수는 계분+톱밥 처리구(F+S), 포자형성세균수와 방선균은 토양+계분+톱밥처리구(S+F+S), 그리고 전세균수는 토양+화학비료 처리구(S+C.F.)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계분+왕겨(F+R)만의 처리구에서는 사상균을 제외한 모든 토양미생물수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토양세균군의 조성 비율중에서 순수분리과정동안 배양되지 않고 죽은 사균(死菌)은 토양+계분+왕겨 (S+F+R)처리구와 계분+왕겨(F+R)처리구에서 각각 70%, 40%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방선균은 토양+계분(S+F)처리구, 그리고 토양+계분+톱밥 (S+F+S)처리구에서 Streptomyces속(屬), Saccharomonospora속(屬), Nocardia속(屬), Micromonospora속(屬) 그리고 Actinomadura속(屬)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