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coccus varian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6초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crococcus varians, Staphylococcus carnosus and Staphylococcus xylosus and Their Growth on Chinese-Style Beaker Sausage

  • Guo, H.L.;Chen, M.T.;Liu, D.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376-380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tein and carbohydrate utilization of Micrococcus varians, Staphylococcus carnosus and Staphylococcus xylosus. Sensitivity to pH, sodium chloride,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nitrite of these strains was also determined. In Chinese-style beaker sausage manufacturing, the growth rate of these strains during the curing period ($20^{\circ}C$ and $30^{\circ}C$) was evalu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 strains could hydrolyze azo-casein and sarcoplasmic protein and only S. xylosus could hydrolyze gelatin at $30^{\circ}C$. All of these strains could oxidize and ferment fructose and mannitol. S. carnosus and S. xylosus could slightly oxidize lactose and utilize citrate. Arabinose was oxidized by S. xylosus and sorbitol was oxidized by S. carnosus. Growth of M. varians was restricted at pH 5.0 and S. carnosus and S. xylosus were restricted at pH 4.5. S. xylosus and S. carnosus were able to grow with 0.1~0.5% potassium sorbate, 50~200 ppm sodium nitrite or 1~15% sodium chloride. S. xylosus had a higher growth rate than the other strains. Staphylococcus species grew well during curing period of Chinese-style beaker sausage then followed by Micrococcaceae.

저염 오징어젓갈 제조 방법 및 향미 성분 2. 온도, 염도 및 pH가 저염 오징어젓갈 숙성 세균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Processing Conditions of Low-Salt Fermented Squid and Its Flavor Components 2.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H on the Growth of Bacteria from Isolated Low Salt Fermented Squid)

  • 김영만;이원재;정윤미;허성호;최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31-635
    • /
    • 1995
  •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manufacturing method and to improve quality of low-salt fermented squid(10% of table sal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H on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xylosus, Micrococcus varians, Pseudomonas diminuta and Pseudomonas D2 isolated from of low-salt fermented squid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se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were elucidated. All bacteria showed good growth during the process of low-salt fermented squid(pH 6~7 ; concentration of NaCl, 7~10% ; temperature, 7~1$0^{\circ}C$) and their cell numbers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ceeded under the same fermentation condition.

  • PDF

식품(食品)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 시판(市販)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분포(分布) - (Microbiological Studies of Foods - Microbial Load and Microflora of Dried File Fish Fillet -)

  • 유진영;정동효;김준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85
  • 시판(市販)되고 있는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오염도(汚染度)를 조사(調査)하고 流通中(유통중) 衛生管理(위생관리)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3회(回)에 걸쳐 수집한 후 오염지표균(汚染指標菌) 및 유해세균(有害細菌)의 존재(存在)를 검사(檢査)하고 microflora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 일반대장균군(一般大腸菌群), 분별성 대장균군(大腸菌群), Enterobacteriaceae 및 분변성 Streptococci의 오염도(汚染度)가 각각(各各) $3.5{\times}10^3{\sim}1.1{\times}10^8CFU/g$, $2.3{\sim}4.6{\times}10^5MPN/g$, $2.3{\sim}1.1{\times}10^5MPN/g$, $3.0{\times}10{\sim}4.4{\times}10^5CFU/g$$1.6{\times}10^2{\sim}7.6{\times}10^6CFU/g$이었다. microflora에 있어서는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의 경우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hemolyticus, Micrococcus varians, M. luteus 및 Streptococcus cremoris가, Enterobacteriaceae의 경우 E. coli와 Proteus rettgeri, 분변성 Streptococci는 Sc. faecium과 S. avium이 구성 미생물(微生物)이었다.

  • PDF

고추가루중 미생물(微生物)의 분리(分離) 및 방사선 감수성(感受性)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rom Red Pepper Powder and their Radiosensitivity)

  • 최언호;김영배;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5-210
    • /
    • 1977
  • 시판(市販) 고추가루에서 13종의 곰팡이(Aspergillus amstelodami, Asp. clavatus, Asp. flavus, Asp. chevalieri, Asp. janus var. effusus, Asp. oryzae, Asp, oryzae var. brevis, Asp. repens, Asp. sydowi, Asp. thomii, Asp. tubingensis, Penicillium thomii, Scopulariopsis brevicaulis와 5종의 세균(Bacillus pumilus, Bac. subtilis, Micrococcus luteus, M. varians, Staphylococcus aureus)이 분리(分離), 동정(同定)되었다. 이들 미생물의 방사선 감수성(感受性)($D_{10}$ 값)을 보면 곰팡이는 $14{\sim}41\;krad$, 세균은 영양세포(營養細胞)가 $11{\sim}24\;krad$, 포자(胞子)가 $190{\sim}250\;krad$이었다. 햇 고추가루 중의 곰팡이 수는 1 g당 $2{\sim}3{\times}10^2$개, 세균은 $3{\sim}6{\times}10^7$개 이므로 200 krad의 방사선 조사(照射)로서 세균의 영양세포와 곰팡이 포자는 충분히 사멸(死滅)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서울시내 중학생의 손오염에 관한 세균학적 연구 (Bacterial Contamination on the hand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 이명원;정태화;문광희;민경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3권1호
    • /
    • pp.19-26
    • /
    • 1988
  • 활동성이 강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남$\cdot$여, 학생에 따른 세균 오염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중학생의 보건 교육에 관심을 높이고자 하여 1985년 2월 4일부터 2월 15일까지 서울 시내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양손으로 부터의 세균을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손에 오염된 평균 세균수는 1학년 남학생 $3.08\times10^4$개 여학생$2.48\times10^4$개, 2학년 남학생 $3.32\times10^4$, 여학생 $1.64\times10^4$개로 2학년 여학생에 있어 특히 적은 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2. 중학생 손에서 검출된 세균의 속명은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Micrococcus, Bacillus, Neisseria spp., Branhamella, Acinetobacter, Moraxella, Chromobacterim, Alcaligenes, Flavobacterium, Pseudomonas, Actinobacillus, Pasteurella, Vibrio, Enterobacteria와 Plesiomonas로 17속으로 나타났다. 3. 속명이 밝혀진 균주 중 종명까지 밝혀진 것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midis, Micrococcus varians, Branhamella catarrhalis, Acinetobacter anitratus, Moraxella bovis, Moraxella urethralis, Pseudomonas aeruginosa와 plesiomonas shigelloid로 9종이 밝혀졌다. 4. Genus 중 전체 학생중 나타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Staphylococcus $(96.6\%)$이었고 그 다음 Enterobacterial $(14.4\%)$ Bacillus$(20.7\%)$, Branhamella$(17.2\%)$순으로 나타났다.

  • PDF

Nitrate Reduction and Pigment Formation of Chinese-Style Sausage Mixes Caused by Micrococcaceae

  • Guo, H.L.;Chen, M.T.;Liu, D.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173-1177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itrate reduction ability of Micrococcaceae on pigment formation in Chinese- style sausage. One hundred ppm sodium nitrite and 150 ppm sodium nitrate was added asepticly to ground pork which was then inoculated with $10^7CFU/g$ of either Micrococcus varians, Staphylococcus carnosus or Staphylococcus xylosus. All samples were cured at $20{^{\circ}C}$ or $30{^{\circ}C}$ for 3 days and then color, residue nitrite, nitrosyl pigment and residue nitrate were deter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amples inoculated with S. xylosus had higher a- and b- values due to nitrate reduction and pigment production after 3 days curing and these values were higher at the higher curing temperature. The nitrosyl pigment of the samples with S. xylosus had highest values after 3 days curing at both $20{^{\circ}C}$ and $30{^{\circ}C}$. However, sample inoculated with S. carnosus and S. xylosus had lower nitrate contents than the sample inoculated with M. varians. At $30{^{\circ}C}$ as well as S. carnosus and M. varians had a stronger decreasing in nitrate concentration during curing at $20{^{\circ}C}$. Moreover, samples inoculated with S. xylosus and S. carnosus had a higher residual nitrite content during curing at $20{^{\circ}C}$ or $30{^{\circ}C}$. In conclusion, two Staphylococci strains tested were most optimum starter cultures for improving pigment formation during Chinese-style sausage curing.

감마선 조사된 저염 오징어젓갈 발효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and Low-Salted Fermented Squid)

  • 김동호;김재훈;육홍선;안현주;김정옥;손천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19-1627
    • /
    • 1999
  • 염 농도와 감마선 조사 선량을 달리한 오징어젓갈의 미생물 균총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균, Lactobacillus spp., Staphylococcus spp.는 발효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장하여 발효 40일째에 염도 5%와 10%에서는 $10^8\;CFU/mL$까지, 염도 20%에서는 $10^7\;CFU/mL$까지 생장하였으며 5 kGy 이상 감마선 조사구는 초기 균수 감소로 발효 후기의 미생물 밀도가 낮아졌다. 염도가 증가할수록 감마선 조사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오징어젓갈 관련 발효 미생물의 생장억제는 염도 10%에 10 kGy의 감마선 조사 조건이 적합하였다. 발효미생물의 동정 결과, L. plantarum이 전 실험구에 걸쳐 가장 일반적인 발효균으로 분리되었으며 Lactobacillus sp. 2, Mic. varians, Streptococcus sp. 1 등은 염도 5%의 실험구에만, Mic. morrhuae 등은 20%의 염농도에서만 분리되어 염도에 따른 microflora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L. brevis, Ped. halophilus, Pse. diminuta 등은 방사선 감수성이 큰 미생물군이었으며, L. plantarum, Mic. morrhuae, Pseudomonas sp. 3 등은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염도 20% 실험구에서의 분리 미생물이 15종으로 가장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염도가 낮아질수록,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종의 다양성은 낮았다.

  • PDF

염지경과에 따른 Loin Ham의 세균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acteriological Properties of Loin Ham during Curing Period)

  • 정영건;현인환;양성호;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3-68
    • /
    • 1986
  • Loin햄의 염지기간중의 육과 염지액으로부터 관련 세균을 분리 동정하고 염지 경과에 따른 대장균군, 저온균 및 내염균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세균은 총96주로 Gram양성균이 88주이었고, Gram음성균이 8주이었으며, staphylococcus속이 24주로 가장 많았으며 Bacillus속(21) streptococcus 속(16), Micrococcus 속 (13), Lactobacillus 속(10)의 순서로 검출 되었고, Coryneform 속과 Microbacterium 속이 각 2주로 분리되었다. 2. Micrococcus 속은 M. varians가 10주 M. luteus가 3주로 분리되었고, streptococcus 속은 S. faecium이 14주 S. lactis가 2주이었고, Lactobacillus속은 L. plantarum이 4주, L. brevis와 L. viridesence가 각2주, L. casei가 1주로 분리되었다. 3. 염지 경과중 염지육에서의 세균수 변화는 대장균군과 저온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내염균은 10일까지 증가한 다음 감소하였다. 4. 염지액에서의 세균수 변화는 대장균군은 염지경과 10일째가 가장 검출율이 높았으며, 저온균수는 4일까지 증가한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내염균은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