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product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3초

Bacillus cereus의 농산물 접촉 표면 재질별 생존력 및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 (Survival of Bacillus cereus and Its Transfer from Agricultural Product-Contact Surfaces to Lettuce)

  • 김세리;서민경;김원일;류경열;김병석;류재기;김황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3-259
    • /
    • 2014
  • 본 연구는 polyvinyl chlroride (PVC)와 stainless steel 표면에서 B. cereus의 온 습도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고, B. cereus이 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를 통하여 B. cereus에 오염된 작업대가 상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작업대 재질별 B. cereus의 생존은 온도 $20^{\circ}C$, $30^{\circ}C$, 습도 43%, 69%, 100%에서 각각 노출 시켰을 때, 습도 43%, 69% 조건에서 24시간 이내에 전체 세포수는 약 3.53~4.00 log CFU/coupon이 감소한데 반해 포자수는 약 3.00 log CFU/coupon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한편 온도 $30^{\circ}C$, 상대습도 100%에서는 노출 12시간 후에 포자수가 2.29~2.59 log CFU/coupon정도 증가하였다. 유기물이 작업대 표면에 존재 시, B. cereus의 감소 속도가 느렸다. B. cereus에 오염된 작업대에 상추를 접촉시키고 상추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상추 표면에 수분이 존재할 때 B. cereus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 B. cereus의 이동수준이 상추에 수분이 없을 때 보다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 cereus에 오염된 작업대는 상추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작업 후에 세척, 소독을 통하여 작업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혐기성 PCE 탈염소화 미생물 농화 배양 및 미생물 군집 해석

  • 문부영;이태호;박태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32-336
    • /
    • 2004
  • An anaerobic PCE(tetrachloroethylene) dechlorinating bacterial culture from a landfill soil was enriched and characterized. The enrichment culture could dechlorinate 60$\mu$mol/$m\ell$ of PCE during a month of incubation and cis-DCE(cis-dichloroethylene) was observed as a main product of PCE dechlorination. Microbial analysis of the dechlorinating enrichment culture by rising PCR-DGGE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method showed that at least three microorganisms were related to the anaerobic PCE dechlorination.

  • PDF

New Rearranged Abietane Diterpenoids from the Roots of Salvia aegyptiaca L. Growing in Egypt

  • El-Lakany, Abdalla 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20-222
    • /
    • 2003
  • Two new abietane diterpenes with rearranged skeleton; aegyptinol and aegyptinone C; have been isolated and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anti-microbial petroleum ether extract of the roots of Salvia aegyptiaca L. Their chemical structures have been elucidated by interpretation of the detailed 1D-and 2D-NMR spectra, as well as other spectroscopic tools. In addition, full assignment of $^{13}C-NMR$ of aegyptinone B was also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Production of Shikonin by A Hairy Root Culture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 Seo, Weon-Taek;Park, Young-Hoon;Choe, Tae-B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41-45
    • /
    • 1992
  • Shikonin production was examined in a bubble column bioreactor system with the hairy roots of Lithosphermum erythrorhizon. The volumetric productivity was higher than those obtained from other reactor configurations with free or immobilized cells of the same cell line. The productivities of the bubble column reactor, with and without a product absorption trap, were 7.4 and 4.5 mg of shikonin/l/d, respectively. This indicated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removal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shikonin production system with hairy root culture.

  • PDF

한국 전통 발효유 타락에 관한 연구 고찰 (Studies of Tarak,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Milk Product)

  • 윤진아;신경옥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26-31
    • /
    • 2018
  • Tarak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milk product, which i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rice wine to milk. The major microbial strains found in Tarak are Leuconostoc citreum,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coccus lact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Pichia kudriavzevii. Th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foods of Taraki against the carcinogenic bacteria Helicobacter pylori, Escherichia coli O157:H7, and Cronobacter sakazakii was characterized. Tarak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T-lymphocyte Jurkat (clone E6-1) cells. Tarak also inhibit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induced by an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in pituitary intermediate lobe.

식품의 선도 유지를 위한 액티브 포장 연구 고찰 기능성 방출 조절 포장 중심 (Overview of active packaging to maintain the quality of fresh food products - focusing on controlled release packaging)

  • 이명호;이윤석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2호
    • /
    • pp.27-36
    • /
    • 2017
  • Today, the food packaging industry has a great interest in using active packaging to fresh food product as a solution for the future to positively provide its quality, safety and shelf life. Many researches have extensively studied functional packaging strategies in recently years. Controlled release packaging (CRP) is an innovative packaging technology in the packaging polymer matrix from which can active agents are delivered in a controlled way into the product. CRP technology is well-suited for controlling release of antimicrobial compounds and antioxidants to prevent food degradation reactions such as microbial growth and lipid oxidation. Advances in CRP technology allow food packaging manufacturers to challenge the development of better functional food packaging systems. This overview examines the most recent developments and technologies of active packaging for applying the food industry. The scope of this article has mainly been focused on controlled releasing systems.

Bacillus sp. N32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 단백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roteins produced by Bacillus sp. N32)

  • 이미혜;박인철;여윤수;김수진;윤상홍;이석찬;정태영;구본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65
    • /
    • 2006
  • 작물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000여 길항 균주로부터 Erwinia 및 Pseudomonas등의 세균과 Trichoderma, Colletotrichum 등 곰팡이의 성장을 동시에 억제하는 Bacillus sp. N 32 균주를 선발 동정 하였다. 특히 Bacillus sp. N32 균주는 고추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하여 열에 저항성이 있는 단백질과 열에 민감한 단백질의 2종류의 항균 단백질을 동시에 생산함을 단백질 침전과 활성 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항균 단백질들을 FPLC를 이용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방법으로 분리한 후 SDS-PAGE와 bioautography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항균 단백질의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알려진 그람양성 세균의 대표적인 열 저항성 항균 펩타이드 생합성 유전자 서열을 primer로 이용한 PCR 방법으로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 단편을 분리하고 이 PCR 산물을 이용하여 Bacillus sp. N32 균주의 cosmid library로부터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 cluster중 일부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또한 열에 민감한 항균 단백질 생산 유전자는 이 항균 단백질을 SDS-PAGE 및 electroblotting으로 분리한 뒤 N-terminal 부위의 15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DNA 염기배열로 치환한 다음 probe로 이용하여 ${\lambda}-ZAP$ library로부터 항균 단백질 생산 유전자가 포함된 다수의 clone을 선발하였다.

녹즙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처리의 효과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fety Improvement of Fresh Vegetable Juice)

  • 조재민;권상철;도기;정재현;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2-617
    • /
    • 2009
  • 녹즙 제조 시 미생물 생육 억제를 위한 유일한 공정은 세척처리 공정이므로 비가열 살균기술인 오존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녹즙 원료들의 세척공정(정선 원료, 1차 세척, 오존처리 및 2차 세척) 중 미생물 및 주요 화학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정선 원료의 일반세균수는 $8.2{\times}10^5{\sim}5.0{\times}10^6\;CFU/g$으로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105 CFU/g보다 높은 균수를 보여 위생화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러나 1차 세척 후 오존처리 시 $4.7{\times}10^4{\sim}6.7{\times}10^4\;CFU/g$으로 약 2 log cycle의 감균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2차 세척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녹즙 원료의 대장균군수는 $8.0{\times}10^3{\sim}3.5{\times}10^3\;CFU/g$이었으나 오존처리 시 $1.5{\times}10^2{\times}3.0{\times}10^2\;CFU/g$로 초기에 비하여 약 1 log cycle 정도의 감균 효과를 보였다. 한편 세척공정 중 ascorbic acid, flavonoid 및 polyphenol 화합물, 무기물(카드뮴 및 납)의 함량 변화는 유의적인 함량 변화를 볼 수 없었으며 색상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즙 원료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처리 시 미생물 수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화학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유 타락의 미생물 균총 분석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Tarak, a Fermented Milk Product)

  • 임구상;이경수;장혜진;정진경;임지영;전태훈;한영숙;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09-11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유인 타락 제조의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기초정보를 확보하고자 본타락과 타락에 대하여 pyrosequencing을 통하여 미생물 균총을 분석하였다. 미생물 균총 분석결과 원핵세균의 경우 phylum 수준에서는 타락과 본타락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Firmicutes가 군집의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genus 수준에서는 본타락과 타락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본타락의 경우 Lactobacillus와 Leuconostoc 속이 군집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락의 경우 Lactococcus 속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ecies 수준에서는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나서 본타락의 경우 Leuconostoc citreum이 미생물 군집 비율의 40% 이상으로 나타나 우점균이었으며 이밖에도 Lactobacillus 속의 균주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에 비하여 타락에서는 Lactococcus lactis가 60% 이상을 차지하여 우점균으로 나타났다. 진핵생물은 phylum 수준에서는 타락과 본타락 모두 Ascomycota가 군집의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genus 수준에서는 본 타락의 Saccharomyces 속이 군집의 85% 이상을 차지한 것에 비하여 타락에서는 Issatchenkia 속이 98% 이상을 차지하였다. Species 수준에서는 본타락의 경우 Saccharomyces cerevisiae가 82%를 차지하였으나 타락에서는 Pichia kudriavzevii가 미생물 군집의 95%를 차지하는 우점균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본타락보다 타락이 외관과 조직감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단맛은 유의적 차이는 없으나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맛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미생물 군집에 의해 발효식품의 맛과 향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일정한 품질을 가지는 타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균총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유류오염지역 정화를 위한 슬러핑과 미생물증진법의 효율평가에 관한 현장 적용성 연구 (A Field Study on the Evaluation of Slurping and Bioaugmentation Effect in Petroleum Contaminated Area)

  • 박응렬;이광렬;서창일;조장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3호
    • /
    • pp.32-3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lurping process affecting the variation of free product and VOCs concentration and the bioaugmentation effect on bioremediation process. Free products and soil gas were extracted from 30 extraction wells installed in a petroleum contaminated area. The extraction system was operated for 10 hours per day with 1 hour on-and-off mode. The thickness of free product in extraction well was decreased from 11.7 cm to 4.5 cm and the VOC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10.37 ppm to 30.78 ppm during the operation period. After the slurping process for 2 months, contaminated soil was treated with bioremediation process in 2 cells, $15{\times}40$ m, biologically enhanced with adjusting oxygen, moisture and nutrients concentration. Total 1,400 L of microbial inoculant, Naturesys. (Dong Myung Ent. Co.) was added to the pile B, which has an outstanding ability for degrading petroleum hydrocarbons. The results showed that bioremediaton effect in soil with the microorganisms solution is 33% higher than that in soil with only residual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