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pesticid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43초

토마토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유해미생물 오염 및 추출물에서 미생물 증식 (Analyse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ubution Stage of Tomato and Evaluation of Microbial Growth in Tomato Extract)

  • 윤혜정;박경훈;류경열;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위해 미생물 오염도 정도를 파악하고 유통과정 중 외부 손상으로 인해 과즙 유출시 미생물의 증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을 토마토 추출물 함량(0.1, 1.0, 10%) 및 다양한 배양온도(5, 15, 25, $3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수확단계에서는 APC 작업 종사자의 장갑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7.77 lo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양 양액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가 각각 0.33 log 검출되었다. 수확 후 처리과정으로 APC 과정을 거친 토마토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S. aureus, Salmonella spp. 는 검출되지 않았다. 재배방법에 따른 일반, 유기농, 무기농 토마토에서의 미생물 분포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포장 방법 중 봉지 포장제품이 박스 포장제품에 비해 대장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척에 의한 미생물 저감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 추출물 함량이 높을수록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토마토 추출물 10%인 경우 $5^{\circ}C$ 조건에서 가장 낮았고, 15, 25, $35^{\circ}C$에서 72시간 배양시 각각 7.33~8.51, 7.73~8.60 log CFU/g으로 증식하였다.

시판 23종 꽃차의 유해세균, 중금속 및 잔류농약 평가 (Monitoring of Pathogenic Bacteria,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Edible Dry Flowers)

  • 이윤서;이동희;황은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38-446
    • /
    • 2022
  • 꽃은 특유한 모양, 색, 향, 맛으로 인한 시각적, 후각적 관능성이 우수하다. 최근에는 식용 꽃을 건조한 후 열수로 우려내는 침출차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으며, 식용꽃을 이용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건조꽃차의 유해 미생물, 중금속 및 잔류농약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으며 농산물과 달리 건조꽃차에 대한 안전성 규격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건조꽃차의 유해 미생물, 중금속 및 잔류농약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유해 미생물 오염도 평가에서 23종 꽃차 시료 모두에서 대장균군 및 리스테리아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갈화, 캐모마일꽃, 아카시아꽃, 진달래꽃, 달맞이꽃, 유채꽃, 벚꽃의 경우 3.24~3.85 Log CFU/g의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도 23종 꽃차 중 11종에서 검출되었다. 살모넬라균 역시 23종 꽃차 중에서 8종에서 검출되어 시판 꽃차의 유해 미생물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대부분의 꽃차에서는 Pb, Cd, Co, Cr, Cu, Ni 및 As 유해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원추리꽃차에서만 0.08 ppm의 Pb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시판 꽃차에서 별도의 중금속 위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꽃차의 경우 일부 꽃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극미량(0.01~0.08 ppm)으로 유해성은 없으리라 판단되었으며, 다만 국화꽃차에서 검출된 chlorpyrifos (0.215 ppm)의 경우 잠재적 위해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건조꽃차의 잔류농약기준 설정이 필요하며, 식용꽃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식용꽃차와 농약 사용이 허용되는 관상용 꽃의 엄격한 재배 구분이 필요하며, 꽃의 수확, 가공, 유통 단계에서 미생물적 오염 방지 노력도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미생물농약과 유기합성 살균제 혼용에 따른 고추 역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Mixing Application of Microbial and Chemical fungicide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f red-pepper)

  • 홍성준;김정현;김용기;지형진;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구형진;최광영;윤종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60-467
    • /
    • 2013
  • 본 연구는 고추 역병 방제시 유기합성 살균제의 사용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추 역병 방제를 위하여 두 개의 미생물농약과 두 개의 살균제의 혼용처리 효과를 실내, 온실, 포장에서 확인하였다. 미생물농약과 살균제를 혼용하여 토양 관주 시 추천사용농도의 절반농도로 희석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온실 포트검정 결과 B. pumilus QST2808와 De (dimethomorph + ethaboxam) 혼용처리조합이 2개의 미생물농약(B. pumilus QST2808, P. polymyxa AC-1)과 2개의 살균제(De, Mo) 혼용조합으로 이루어진 총 4개의 혼용처리 조합 중 역병 억제효과가 가장 좋았다. 또한 B. pumilus QST2808와 De 혼용조합은 살균제 De나 Mo 단독처리와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는 역병 방제를 위하여 미생물농약(B. pumilus QST2808, P. polymyxa AC-1)과 유기합성 살균제 De (dimethomorph + ethaboxam)을 혼용하여 7-10일 간격 4회 처리시 78.8%-82.0%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살균제(De, Mo) 각각을 단독처리 하였을 경우에는 65.7%-85.8%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화학농약의 사용량 절감을 위해 미생물농약과 화학농약의 혼용 처리는 가능한 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미생물 농약과 유기합성 살균제 혼용에 따른 고추 흰가루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Mixed Application of Microbial and Chemical fungicides against Powdery mildew of red-pepper)

  • 홍성준;김정현;김용기;지형진;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구형진;최광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9-416
    • /
    • 2014
  • 본 연구는 고추 흰가루병 방제시 유기합성 살균제의 사용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3종의 미생물 농약과 6종의 살균제의 혼용처리 효과를 실내, 포트, 포장에서 확인하였다. 실내시험에서 6종의 화학농약 중 Azoxystrobin+Chlorothalonil이 고추 흰가루병에 등록된 3종의 미생물 농약(Bacillus subtilis Y1336, Bacillus subtilis DBB1501, Bacillus subtilis QST-713)의 유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 시켰다. 포트검정 결과 9개의 혼용처리구 중 B. subtilis DBB1501+Trifloxystrobin, B. subtilis QST713+Trifloxystrobin 처리구 조합이 흰가루병에 대해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 subtilis QST713+Trifloxystrobin 혼용처리조합은 3종의 화학농약(Myclobutanil, Trifloxystrobin, Hexaconazole) 단독처리와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미생물 농약(B. subtilis DBB1501, B. subtilis QST713)과 유기합성 살균제(Trifloxystrobin)을 혼용하여 7일 간격 4회 엽면살포 시 70.3%~70.9%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Trifloxystrobin을 단독처리 하였을 경우에는 72.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미생물 농약과 화학농약의 혼용은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미생물제 처리에 의한 토마토의 잿빛곰팡이병과 흰가루병의 방제효과 (Effect of Microbial Agent on Control of Tomato Gray mold and Powdery mildew)

  • 김택수;고민정;이세원;한지희;박경석;박진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4-368
    • /
    • 2012
  • 미생물제제의 토마토의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10~2011년에 걸쳐 공주의 친환경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현장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친환경 미생물제제로 시판되는 EXTN-1 액상수화제 등 2종의 미생물제제와 농과원에서 개발 중인 2종의 미생물을 토마토 정식시 점적관수 및 뿌리 관주처리와 착화 초기 4회 경엽처리한 후 생육과 병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2010년에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해 정식 3주 후 1주일 간격으로 EXTN-1 액상 수화제와 씰러스 액상수화제를 4회 처리한 경우 방제가가 59.6%, 50.5%로 가장 높았으며, 정식 4주 후 1주일 간격으로 EXTN-1 액상수화제를 3회 처리한 경우의 방제가는 55.4%였지만 모든 처리구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효과는 저조하였다. 2011년에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해 EXTN-1과 Bacillus subtilis strain B17을 정식시 점적관수와 2주 간격 관주처리 2회 및 착화 초부터 경엽처리 4회를 한 결과 방제가가 57.0%와 55.1%로 가장 높았으며, 흰가루병에 대해서는 EXTN-1과 Bacillus subtilis strain B4 및 B17을 잿빛곰팡이병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한 경우 방제가가 50.5, 51.3, 52.5%로 가장 높았다.

지반 조성과 관리방법에 따른 골프장 토양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Method and Maintenance Practise on Soil Profile in Golf Courses)

  • 문경희;김기동;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9-228
    • /
    • 2009
  • 골프장은 인공적으로 건설되어 지고 관리되므로 당연히 환경의 변화가 생성된 곳이므로 건설방식이나 관리 방법에 따라 코스 내 토양 미생물 군집 구조의 특이성이 있을 것이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농약 용탈 저감방안으로 골프코스 그린지반구조에 농약 흡착층을 설치하고 그 재료로 흡착성능이 우수한 입상 활성탄 1등급을 사용할 것을 환경 영향평가서에 명시하고 있다. 본 실험은 활성탄이 처리된 제주도 A, B 골프장을 대상으로 토양에서의 화학적 특성변화와 미생물 군락변화를 분석하였다. 2007년 4월, 6월, 8월 10월에 걸쳐서 총 박테리아 수, 총 곰팡이 수, 수분함량 및 토양 이화학성(pH, EC, NO3-,NH4+ 및 P2O5)의 변화를 그린과 페어웨이에서 깊이별(표토:0-15cm, 심토: 15-30cm)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활성탄의 시용이 수분 보유 능력, 토양산도, 전기전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GAC의 물질의 수착 능력에 의하여 유효 양분들을 많이 보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가용성 질산과 암모늄, 및 인산의 농도를 높이는 효과는 없었다. 토양 미생물 실험에 있어서는 총 박테리아 및 총 곰팡이의 시기적 변화가 다양성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농약의 시용에 따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총 곰팡이/총 박테리아 비(F/B ration) 는 활성탄을 혼합한 토양 심토(15-30cm)에서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GAC 토양층의 설치 방법이나 시비와 시약 등이 미생물군집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이는 농약의 시용이 잔디관리에 큰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미생물 컨소시엄에 의한 시판 페녹시계 제초제 2,4-D의 생물분해 (Biodegradation of the Commercial Phenoxy Herbicide 2,4-D by Microbial Consortium)

  • 오계헌;김용석
    • KSBB Journal
    • /
    • 제9권5호
    • /
    • pp.469-474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시판 퍼l녹시계 제초제 2,4-D의 생물학적 처리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시판 페녹시계 제초제는 2,4-0 아민염 으로셔 2,4-0( 40%)와 용제 (60 % )로 구성 되었다. 2,4-D에서 농화배양에 의해 얻어진 미생물 컨소시염은 탄소원 빛 에너지원으로서 2,4-0를 이용하였다. 이 설험에서 2,4-D분해의 최적 pH 와 기 질농도는 각각 7.0과 54mg/ E 였다. Yeast extract와 ascorbic acid의 첨가는 2,4-0의 분해 와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시켰다. 2,4-0를 정량하기 위해 HPLC가 사용되었으며 그 과정에셔 중간대사물질로셔 2,4-0CP가 분리되었다. GC MS는 2,4-0CP를 입증하기 위하여 사용되였다. 배양중의 UV scans 결과, 2,4-0의 최대흡광치는 배양이 진행되는 동안 감소되었으나, spectral 및 peak 변화는 보여주지 않았다.

  • PDF

The effect of Glomus intraradices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and on rhizospheric microbial diversity

  • Tian, Lei;Shi, Shaohua;Ma, Lina;Zhou, Xue;Luo, Shasha;Zhang, Jianfeng;Lu, Baohui;Tian, Chunji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77-85
    • /
    • 2019
  • Background: Glomus intraradices is a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that, as an obligate endomycorrhiza, can form mutually beneficial associations with plants. Panax ginseng is a popula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owever, problems associated with ginseng planting, such as pesticide residues, reduce the ginseng quality. Methods: In this experiment, we studied the effect of inoculating G. intraradices on several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ginseng. UV-Visible Spectrum method was used to detect physical properties.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microbial communitie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oculation with G. intraradices can improve the colonization rate of lateral ginseng roots, increase the levels of monomeric and total ginsenosides, and improve root activity as well as polyphenol 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 also studied the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ginseng rhizospheric soil. In our study, G. intraradices inoculation improved the abundance and Shannon diversity of bacteria, whereas fungi showed a reciprocal effect. Furthermore, we found that G. intraradices inoculation might increase some beneficial bacterial species and decreased pathogenic fungi in rhizospheric soil of ginseng.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G. intraradices can benefit ginseng planting which may have some instructive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planting ginseng in farmland.

Streptomyces Showing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 KIM, BUM-JOON;MOONJAE CHO;JIN-CHEOL KIM;KWANG YUN CHO;GYUNG JA CHO;CHUL-HOON LEE;YOONGHO L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1120-1123
    • /
    • 2001
  • Screening tests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were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biopesticides. Actinomycetes were used to discriminate Bacillus thuringiensis for wide use as a microbial pesticide. From more than 100 actinomycetes tested, twelve strains showed potent antifungal activities. We report in vivo screening results from fermentation broths of these twelve strains and identification of the strain taxa.

  • PDF

Genetic studies of Baculovirus used as a microbial pesticide

  • Lee, Hyung-Ho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9년도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48.1-248
    • /
    • 1979
  • Sixteen temperature-sensitive mutants of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were isolated. Several interesting phenotypes were observed. A large proportion of the mutants were un-able to form polyhedral occlusion bodies at the nonpermissive temperature (32.5C). At 32.5C, one mutant formed plaques in which the cells lacked polyhedra. Another mutant type was defective in the production of progeny extracellular nonoccluded virus and produced a plaque consisting of only a single cell containing polyhedra at 32.5C. One mutant was defective in plaque formation, progeny nonocluded virus formation, and polyhedra formation at 32.5C. Several mutants produced nonocluded virus but failed to produce plaques or polyhedra at 32.5C. Other phenotypes were also distinguished. Complementation analyses, performed by either measuring the increase in extracellular non-ocludedvirus formation or by oberving polyhedra formation in mixed infections at 32.5C, indicated the presence of 15 complementation groups. A high frequency of recombination was observed. Four of the mutants were found to be host dependent in their temperature sensitivity for polyhedra 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