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onidazol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5초

Cecocolic Intussusception Caused by Ancylostoma caninum Infection in a Dog

  • Ko, Hui-Yeon;Kim, Joonyoung;Geum, Migyeong;Suh, Guk-Hyun;Shin, SungShik;Kim, Ha-J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6-108
    • /
    • 2020
  • An eight-month-old, outdoor, intact male English Pointer dog weighing 23.5 kg presented to the hospital with signs of hematochezia, soft stools, and weight-loss. There were no remarkable findings on physical examination, complete blood count, serum biochemistry, electrolyte and gas analysis, and radiography. The serologic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sts for canine parvovirus were negative. A fecal smear examination showed rod-shaped, sporeforming bacteria. Additionally, a fecal flotation test showed ova of Ancylostoma spp. The size of ova was 60 × 40 ㎛, and it was identified as Ancylostoma caninum using light microscopy. The PCR test indicated a Clostridial perfringens infection and the presence of C. perfringens alpha toxin. The diagnosis given was C. perfringens enterotoxicosis with ancylostomiasis. Treatment included antibiotics (metronidazol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anthelmintics (afoxolaner, milbemycin oxime). After two weeks, the clostridial infection resolved, but ancylostomiasis persisted for six weeks. The anthelmintic was changed to Drontalâ plus (praziquantel/pyrantel pamoate/febantel). After four weeks, there were no remarkable findings in the fecal samples, but the patient still presented with watery stools and hematochezia. Survey of abdominal ultrasound had performed, and a target-like sign with multiple rings was seen in the cecocolic regio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caninum-induced cecocolic intussusception from the history and clinical signs. After a surgery, he recovered fully. This is the first clinical case report of Ancylostoma caninum parasitizing from the small intestine and causing an intussusception in the large intestine.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reuteri BCLR-42 and Lactobacillus plantarum BCLP-51 as novel dog probiotics with innate immune enhancing properties

  • Kim, Eun Jin;Kang, Yeong Im;Bang, Tae Il;Lee, Myoung Han;Lee, Sang Won;Choi, In Soo;Song, Chang Seon;Lee, Joong Bok;Park, Seung Yo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75-84
    • /
    • 2016
  • Probiotics that are able to provide beneficial effects on animal health have become important ingredients of dog f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probiotic potentials of two strains, Lactobacillus reuteri BCLR-42 and Lactobacillus plantarum BCLP-51, that were derived from feces of healthy dogs and evaluated based on tolerance to low pH and bile acid, antimicrobial activities, enzyme profiles, sensitivity to antibiotics, and innate immune enhancing potentials. Both strains showed survival of more than 90% at pH 3 and 0.2% bile acid and exhibited broa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indicator bacteria. Moreover, both strains showed high sensitivity to antibiotics, except vancomycin, metronidazole, and gentamicin. The alkaline phosphatase was negligible (score 0), whereas they showed strong beta galactosidase activity (score range 5 or 3, respectively). The phagocytosis and oxidative burst activities of canine granulocyt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response to both strains. These results show that both strains have the capability to act as probiotics and the potential for application as ingredients in dog foods.

Retention of BioAggregate and MTA as coronal plugs after intracanal medication for regenerative endodontic procedures: an ex vivo study

  • Amin, Suzan Abdul Wanees;Gawdat, Shaimaa Ismai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3호
    • /
    • pp.18.1-18.1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retention of BioAggregate (BA; Innovative BioCeramix)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Angelus) as coronal plugs after applying different intracanal medications (ICMs) used in regenerative endodontic. Materials and Methods: One-hundred human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used. The canals were enlarged to a diameter of 1.7 mm. Specimen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 = 20) according to the ICM used: calcium hydroxide (CH), 2% chlorhexidine (CHX), triple-antibiotic paste (TAP), double-antibiotic paste (DAP), and no ICM (control; CON). After 3 weeks of application, ICMs were removed and BA or MTA were placed as the plug material (n = 10). The push-out bond strength and the mode of failure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the Tukey's test, and the ${\chi}^2$ test; p values < 0.05 indic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type of ICM and the type of plug material significantly affected bond strength (p < 0.01). Regardless of the type of ICM, BA showed a lower bond strength than MTA (p < 0.05). For MTA, CH showed a higher bond strength than CON, TAP and DAP; CHX showed a higher bond strength than DAP (p < 0.01). For BA, CH showed a higher bond strength than DAP (p < 0.05). The mode of failure was predominantly cohesive for BA (p < 0.05). Conclusions: MTA may show better retention than BA. The mode of bond failure with BA can be predominantly cohesive. BA retention may be less affected by ICM type than MTA reten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odontogenic maxillofacial infection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an institutional study

  • Kamat, Rahul D.;Dhupar, Vikas;Akkara, Francis;Shetye, Omkar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4호
    • /
    • pp.176-180
    • /
    • 2015
  • Objectives: The increased preval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is an outcome of evolution. Most patients presenting with odontogenic space infections also have associated systemic co-morbidities such as diabetes mellitus resulting in impaired host defense.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the odontogenic spaces involve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length of hospital stay, and the influence of systemic comorbidities on treatment outcome in diabeti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2-year prospective study from January 2012 to January 2014 was conducted on patients with odontogenic maxillofacial space infection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glycemic levels. The data were compil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A total of 18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at underwent surgical incision and drainage, removal of infection source, specimen collection for culture-sensitivity, and evaluation of diabetic status. Sixty-one out of 188 patients were found to be diabetic. The submandibular space was the most commonly involved space, and the most prevalent microorganism was Klebsiella pneumoniae in diabetics and group D Streptococcus in the nondiabetic group. Conclusion: The submandibular space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involved space, irrespective of glycemic control. Empiric antibiotic therapy with amoxicillin plus clavulanic acid combined with metronidazole with optimal glycemic control and surgical drainage of infection led to resolution of infection in diabetic as well as nondiabetic patients.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nger in diabetic individuals.

Potential Probiotic Characteristics and Safety Assessment of Lactobacillus rhamnosus SKG34 Isolated from Sumbawa Mare's Milk

  • Sujaya, I Nengah;Suwardana, Gede Ngurah Rsi;Gotoh, Kazuyoshi;Sumardika, I Wayan;Nocianitri, Komang Ayu;Sriwidyani, Ni Putu;Putra, I Wayan Gede Artawan Eka;Sakaguchi, Masakiyo;Fatmawati, Ni Nengah Dw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1-62
    • /
    • 2022
  • Lactobacillus rhamnosus SKG34 (LrSKG34), a potential probiotic strain, was successfully isolated from Sumbawa Mare's milk. Our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strain is resistant to gastrointestinal conditions, possesses antioxidant activity, and lowers blood cholesterol levels. Further clarification of the potential probiotic characteristics and safety assessment are necessar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dhesion of LrSKG34 to Caco-2 cell monolayers and its effect on mucosal integrity in vitro. We also examined the LrSKG34 safety profile based 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haemolytic activity determination, Caco-2 cell monolayer translocation evaluation, and in vivo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LrSKG34 on the physiology, biochemical markers, and histopathological appearance of major organs in an animal model. LrSKG34 attached to Caco-2 cell monolayers and maintained mucosal integrity in vitro. The typical resistance of lactobacilli to ciprofloxacin, gentamicin, vanco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metronidazole was confirmed for LrSKG34. No haemolytic activity was observed on blood agar plates, and no LrSKG34 translocation was observed in Caco-2 cell monolayers. Administration of LrSKG34 to Sprague-Dawley rats did not adversely affect body weight. No abnormalities in hematological parameters, serum biochemistry levels, or histopathological structures of major organs were observed in LrSKG34-treated rats. Collectively, the results implicate LrSKG34 as a promising and potentially safe probiotic candidate for further development.

소아에서 4제요법 후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 대변 항원 검출법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Role of enzyme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in Confirming Eradication After Quadruple Therapy in Children)

  • 양혜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153-162
    • /
    • 2004
  • 목적: H. pylori 대변항원(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HpSA) 검사는 H. pylori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이용되는 비침습적 검사이지만, 소아에서 제균요법 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H. pylori의 제균 여부를 확인하는 데 있어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HpSA 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146명의 소아(평균 연령 $9.3{\pm}4.3$세)를 대상으로 총 164회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Primier platinum HpSA)를 시행하였다. H. pylori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환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와 상부위장관내시경에 의한 위점막 생검을 병행하였다. H. pylori 감염이 확인되어 사제요법(omeprazole, amoxicillin, metronidazole, bismuth subcitrate)을 1주 동안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는 치료 종결 후 최소 4주가 경과하였을 때 위내시경과 H. pylori 대변항원검사를 반복 실시하였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OD값이 0.16 이상일 때 양성, 0.14~0.16 사이는 감염 미확정, 0.14 미만은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1) 제균 전 시행한 131회의 위내시경 조직검사 결과 28명이 H. pylori 양성이었고 나머지 103명은 H. pylori 음성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결과에서 30명이 H. pylori 양성이었고, 101명이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제균요법 시행 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는 각각 96.4%, 97.1%, 90% 그리고 99%이었다. 2) 제균요법 4주 후 33명의 환아에서 시행한 위내시경에 의한 조직검사에서 H. pylori는 24명에서 음성이었으나 9명은 여전히 양성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10명에서 양성, 23명에서 음성이었다. 따라서 제균요법 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는 각각 88.9%, 91.7%, 80% 그리고 95.7%이었다. 결론: 소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제균 후에도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소아에서 제균요법 후 균 박멸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비침습적인 검사방법이라고 하겠다.

  • PDF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치료결과 및 재발률 (Therapeutic Outcome and Recurrenc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최원준;김제우;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37-44
    • /
    • 1998
  • 목 적: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치료요법은 성인의 경우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한 H. pylori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미하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의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치료결과 및 재발률을 조사하고, 아울러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복통 또는 상부위장관 출혈을 주소로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와 Warthin-Starry 은염색, CLO검사 결과 H. pylori 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아 120례 중 치료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아는 남아가 39례, 여아가 36례였으며, 평균연령은 $11.4{\pm}2.5$세였다. 대상환아들은 초기약제로 DA($Denol^{(R)}$과 amoxycillin), OA(omeprazole과 amoxycillin) 또는 DC($Denol^{(R)}$과 clarithromycin) 등 세가지 요법중 한가지를 투여하였고, 제균에 실패한 환아에 대해서는 DAM($Denol^{(R)}$과 amoxycillin, metronidazole), DC, OA, OC(omeprazole과 clarithromycin) 중 한가지를 2~4주간 투여하였으며, 치료종결 4주 후 H. pylori 제균 여부를 진단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대상환아의 상부위장관질환은 만성 결절성위염 46례, 위궤양 9례, 십이지장궤양 6례, 표재성위염 6례 및 정상 8례 등이었다. DA는 69례에서 투여되어 이중 63례(91%)에서 H. pylori가 제균되었고, DAM은 DA에 실패한 2례중 1례, DC는 초기 치료한 4례중 3례(75%)와 DA에 실패한 2례중 1례(50%)에서, OA는 초기치료한 2례에서, OC는 DA에 실패한 1례에서 모두 제균되였다. 치료 후 H. pylori 제균에 실패한 환아는 7례(DA 6례, DC 1례) 였으며, 이중 3례는 2차 치료(DAM, DA 및 DC 각 각 1례)로 제균되었고, 나머지 4례(DAM 2차요법 1례, 추적 불능 3례)에서는 제균되지 않았다. 치료 후 H. pylori가 제균되었으나 수 개월이 지나 재발된 환아는 4례(5.3%)로 치료 종결 후 3개월에서 3년 사이에 재발되었다. 재발된 4례중 2례는 2차 요법(OC, DA 각각 1례)으로 제균되었고, 나머지 2례(DC 2차요법 1례, 추적불능 1례)에서는 제균되지 않았다. 결 론: bismuth subcitrate와 amoxycillin의 두약제 요법은 H. pylori의 제균율이 91%로 높고 재발률도 5.3%로 낮으며, 또한 경제적이기 때문에 소아의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초기 치료제로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Proton Pump Inhibitor 및 Amoxicillin 2주 치료 효과 (The Effect of 2-Week Dual Therapy with Proton Pump Inhibitor and Amoxicillin in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 이영목;이창한;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23-29
    • /
    • 2000
  • 목 적: 소아의 만성 반복성 복통에서 H. pylori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성인과는 달리 소아에서는 궤양성 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제균 치료를 하는 것이 상례이다. H. pylori 제균 치료는 제균효과와 안전성 그리고 환자의 순응도와 경제성 등의 기준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편이성과 경제성이 좋은 2제 요법으로는 omeprazole과 clarithromycin 병용 투여의 효과가 인정받고 있으며, omeprazole과 amoxicillin 병용 투여에 대해서는 보고에 따라 제균 효과가 35~85%로 일정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주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4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만성 반복성 복통으로 내원하여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받은 환아 중 생검 조직의 CLO 검사 또는 은염색에서 H. pylori 감염증으로 진단받은 57례에서 omeprazole (0.7 mg/kg/day)과 amoxicillin (50 mg/kg/day)을 2주간 투여하였으며, 이들 중 추적 검사가 가능하였던 24례에 대해 H. pylori 제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H. pylori 제균은 투약 종료 4주 이후에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하여 얻은 생검 조직의 CLO 검사와 은염색에서 모두 음성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는 남아 15례(63%), 여아 9례(37%)였고 7세 미만이 4례(17%), 7세에서 12세 사이가 14례(58%), 12세 이상이 6례(25%)였다. 내시경 진단은 결절성 위염이 11례(46%), 표재성 위염7례(29%), 소화성 궤양 4례(17%), 정상이 2례(8%)였다.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제 2주 투약 종료 4주 후 시행한 내시경 검사상 12례에서 H. pylori가 제균되어 제균율은 50%이었으며, 나머지 12례에서는 제균이 되지 않았다. 제균이 되지 않았던 12례의 환아들 중 8례는 추적 관찰이 되지 않았고, 나머지 4례에서는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colloidal bismuth subcitrate ($Denol^{(R)}$), metronidazole 중 2~3가지 약제를 조합하여 2~3주 병용요법을 시행한 결과 모두 제균이 되었다. 결 론: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PPI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제의 2주 치료요법의 제균율은 50%로 기존의 다른 보고들에서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H. pylori 제균요법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H. pylori 제균율이므로,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PPI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제의 2주 요법은 일차 치료로서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한 대학병원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Bacteroides fragilis 독소 유전자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ft Genes among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 Isolates from Extraintestinal Specimen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김명숙;김현수;지승은;임정훈;권선영;김완희;이기종;이경원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2-87
    • /
    • 2016
  •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 (ETBF)는 병독소 인자로 알려진 장독소를 생성하는 균종이다. B. fragilis enterotoxin (BFT)은 bft-1, bft-2 및 bft-3 세 개의 유전자 아형들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B. fragilis에서 bft 유전자의 유무와 BFT 음성 및 양성 균주의 항균제 내성을 조사하였다. 국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8년간(2006~2013년) 장외 검체에서 분리된 B. fragilis는 총 537주이었다. 다중중합연쇄반응으로 시험하여 bft 유전자 아형을 확인하였다. BFT 음성 74주와 양성 33주를 포함한 B. fragilis 107주의 항균제 감수성은 CLSI 한천희석법으로 시험하였다.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B. fragilis의 bft 유전자 검출율은 30% 이었고, 이 중 혈액과 혈액 외 장외 검체 분리주에서는 각각 33%, 29% 이었다. ETBF 중에서 가장 흔한 아형은 bft-1 이었고, 그 다음은 bft-2, bft-3 순이었다(bft-1: 77%, bft-2: 14%, bft-3: 9%). BFT-음성과 양성 균주의 내성률은 일부 항균제에 대해서 차이가 있었다(BFT-음성 균주: piperacillin-tazobactam 3%, cefoxitin 5%, imipenem 1%, clindamycin 38%; BFT-양성 균주: piperacillin-tazobactam 3%, cefoxitin 6%, imipenem 3%, clindamycin 42%). BFT-음성 및 BFT-양성 균주 모두는 chloramphenicol과 metronidazole에 대한 내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혈액 분리주에서의 ETBF 검출율은 혈액 외 장외 검체 분리주에서와 비슷하였고, 가장 흔한 유전자 아형은 bft-1 이었다. 항균제 내성은 BFT 양성 균주가 음성 균주보다 대체로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아에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삼제 병합 요법의 치료기간별 Helicobacter pylori 제균율 (Effect of One- or Two-Week Triple Therapy with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on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최인경;이승연;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19-25
    • /
    • 2002
  • 목적: H. pylori에 대한 제균요법은 제균 효과와 안전성, 그리고 환자의 순응도와 경제성 등의 기준에 따라 약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PPI제제가 포함된 삼제 병합요법은 성인에서 H. pylori 감염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소아에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OAC) 삼제병합 요법의 H. pylori 제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OAC 삼제 병합요법을 1주 및 2주 투여군으로 나누어 그 제균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상부위장관 증세로 내원하여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받고, 생검조직의 CLO검사와 H&E염색 또는 Alcian yellow 염색에서 H. pylori 감염으로 진단받은 후 omeprazole (0.7 mg/kg/day), amoxicillin (50 mg/kg/day), clarithromycin (25 mg/kg/day)을 투여한 34례를 1주 투여한 군과 2주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서 H. pylori 제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H. pylori 제균은 투약종료 4주 후에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얻은 생검조직의 CLO검사와 H&E 또는 Alcian yellow 염색에서 모두 음성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환아 34례 중 1주 투여한 군이 21명, 2주 투여한 군이 13명이었으며, 1주 투여한 군의 평균 연령은 $9.5{\pm}3.0$세, 남녀 비는 남자 11명, 여자 10명이었고, 2주 투여한 군의 평균 연령은 $9.9{\pm}4.0$세였고, 남녀 비는 남자 4명, 여자 9명이었으며, 내시경 진단은 결절성 위염이 19례(52.9%)로 가장 많았으며, 표재성 위염이 7례(20.6%), 소화성궤양이 4례(11.8%), 자반성 십이지장염이 2례 (5.9%)였고, 정상소견이 2례(5.9%)였다. 총 34례 중 28례(82.4%)에서 H. pylori가 제균되었는데, OAC를 1주 투여한 군에서는 21례 중 17례(81.0%), 2주 투여한 군에서는 13례 중 11례(84.6%)가 제균되었다. 제균되지 않은 6례에서는 colloidal bismuth subcitrate ($Denol^{(R)}$), metronidazole 등을 추가하여 치료하였으나 H. pylori는 제균되지 않았고, 그 후 추적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상부위장관 증세를 가진 H. pylori 감염 환아에 대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삼제 병합 요법의 제균율은 82.4%로 성인에서의 85~95%와 유사하여, 일차치료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치료기간별 H. pylori 제균율은 1주 투여한 군에서 81.0%, 2주 투여한 군에서 84.6%로 두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78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