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Ester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2초

진달래꽃 탄화수소류의 곡자에 의한 분해 (The Degradation of hydrocarbons in Petal of Azalea by Gokja)

  • 홍태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5-420
    • /
    • 1999
  • Petal of Azalea(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was incubated with Gokja at 3$0^{\circ}C$ for seven days and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petal of Azalea before and after incubated were analyzed using a GC/MSD. Ten or more essential oil components including n-heneicosane n-tricosane n-tetreacosane n-pentacosane n-heptacosane n-nonacosane and n-hentriacontane were identified from the petal of Azal-ea before incubated while oxygen-containng compounds including (E)-heptenal 2-ethoxy-1 -hexanol n-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9, 12-octadecadienoic acid methyl ester 9,12,15-oc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n-octadecanoic acid methyl ester n-eicosanoic acid methyl ester and 9-docosaenoic acid methyl ester as well as n-alkanes such as n-tricosane that n-pentacosane were identified from the petal of Azalea after incub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lkanes in petal of Azalea might be degraded and some oxygen-containing compounds such as aldehyde, esters and /or acids might be produced when pet-al of Azalea is incubated with Gokja.

  • PDF

한국 토양균중 Esterase 저해제 검색 및 분리에 관한 연구(제 2 보) Streptomyces Strain DMC-498 균주의 저해성분 및 관련 지질의 분리 (Studies on Screening and Isolation of Esterase Inhibitors from Soil Microorganisms (II). Isolation of Inhibitors and Associated Lipids from Streptomyces Strain DMC-498)

  • 이승정;김하원;곽진환;심미자;허영근;김성원;최응칠;김병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81-189
    • /
    • 1987
  • 한국 토양균 중에서 esterase 저해제를 생산하는 균주인 Streptomyces strain DMC-498을 oatmeal yeast extract 배지에서 3일간 액내 배양하였을 때 최고의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균사체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저해제를 분리하였다. linoleic acid가 저해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50%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linoleic acid의 양은 $0.045\;\mu\textrm{g}/ml$이었다. 활성이 보다 큰 compound A는 분자량이 500 이상이며 산소를 2개이상 함유하고 있는 환상구조의 지방족 화합물로 생각된다. 이것을 상경적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DMC-498 균주가 함유하는 지질의 주성분은 isostearic acid, isostearic acid methyl ester, linoleic acid methyl ester 및 oleic acid methyl ester이었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X.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뿌리로부터 지질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Root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 방면호;이대영;한민우;오영준;정해곤;정태숙;최명숙;이경태;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33-237
    • /
    • 2007
  • 순무 뿌리로부터 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 하기 위하여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여과, 감압 농축하여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EtOAc분획, n-BuOH분획, $H_{2}O$분획으로 나누었으며, EtOAc분획과 n-BuOH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1}H-NMR$, $^{13}C-NMR$, DEPT spectrum 및 Mass spectrum 등을 통하여 palmitic acid methyl ester(1), linolenic acid methyl ester(2), linoleic acid methyl ester(3), ${\beta}-sitosterol$(4), daucosterol(5)으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식물성유지의 에스테르화반응에서 초음파에너지 효과 분석 (The Effect of Ultrasonic Energy on Esterification of Vegetable Oil)

  • 이승범;이재동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532-5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오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초음파에너지를 도입하여 지방산 methyl ester를 제조하였다. 초음파 에너지가 에스테르화 반응에 도입될 경우 반응온도의 가열효과뿐만 아니라 교반효과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어 반응시간 단축 및 지방산 methyl ester 수율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에너지가 에스테르화 반응에 도입될 때 연속적인 초음파에너지의 조사로 인한 반응온도의 계속적인 상승이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oling system을 이용하여 반응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존공정보다 빠른 30 min 만에 93%의 지방산 methyl ester 수율을 확인하였다.

합성 ABA 유도체의 벼 유묘 생장저해 작용 (Synthesis of Abscisic Acid Analog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on Growth of Rice Seedling)

  • 이상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9-273
    • /
    • 1997
  • 천연의 (S)-(+)-ABA 보다 우수한 생육저해 활성을 갖는 ABA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p-hydroxy methyl cinnamate와 umbelliferone을 (S)-(+)-2-cis, 4-trans-ABA에 ester 결합시켜서 ABA-methyl cinnamate ester(AC)와 ABA-umbelliferone ester(AU) 화합물을 각각 83%와 78%의 높은 수율로 얻었다. 이들의 벼 유묘 생육저해 활성은 (+)-ABA에 비해서 AC가 $3{\sim}10$배, AU가 $10{\sim}30$배 정도로 훨씬 더 강한 활성을 보였다.

  • PDF

누룩 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 한은혜;이택수;노봉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63-570
    • /
    • 199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16일 후 탁주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alcohol 20종, ester 26종, acid 10종, aldehyde 10종, 기타 6종 등 모두 72종이 검출되었다. Aspergillus oryzae구는 68종으로 가장 많았고 재래누룩구의 술덧은 60종으로 적었다. 7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54종의 향기성분이 모든 시험 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alcohol류 $71.28{\sim}90.23%$, ester류 $0.66{\sim}9.05%$, acid류 $0.20{\sim}0.60%$, aldehyde류 $0.02{\sim}0.09%$순으로 나타났다. 시험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1-hexanol, 2.3-butadienol(D,L), benzene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acetic acid 그리고 benzene acetic acid 4-acetyloxy-3-methyl ethyl ester 등의 면적 비율이 높아 본 실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재래 누룩구는 1-pentanol, hex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았고, Mucor racemosus 누룩구는 1-hexanol, 1-dodecanol,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propenyl ester, acetic acid가, Rhizopus japonicus 누룩구는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4-methyl benzeneacetic acid phenyl ester, bu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타 시험구보다 각각 높았다. Aspergillus oryzae구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 butanoic acid, pentanoic acid가 높았으며 Aspergillus kawachii구에서는 1-butanol이 높았다.

  • PDF

1,4-Dihydropyridine-5-Formyl 유도체의 합성 (Synthesis of 1,4-Dihydropyridine-5-Formyl Derivatives)

  • 홍유화;서정진
    • 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90-295
    • /
    • 1989
  • 2,6-Dimethyl-4-(3'-nitrophenyl)-1,4-dihydropyridine-3-carboxylic acid methyl ester (1) was formylated to 2,6-dimethy-4-(3'-nitrophenyl)-5-formyl-1,4-dihydropyridine-3-carboxylic acid methyl ester (2) in 76% yield. At the elevated temperature, 2,6-dimethyl-4-(3'-nitrophenyl)-1,4-dihydropyridine-3,5-dicarboxylic acid 3-monomethyl ester (3) was also converted into compound 2 in 46% yield. The compound 2 was reduced to 2,6-dimethyl-4-(3'-nitrophenyl)-5-hydroxymethyl-1,4-dihydropyridine-3-carboxylic acid methyl ester (4) in 91% yield. Compound 2 was reacted with triethyl phosphonoacetate to give 2,6-dimethyl-4-(3'-nitrophenyl)-5-(2-ethoxycarbonyl ethenyl)-1,4-dihydropyridine-3-carboxylic acid methyl ester (5) in 50% yield. Reaction between compound 2 and amines (methyl amine, ethylamine, methoxylamine, hydroxyl amine, phenyl hydrazine and 1-amino-4-methyl piperazine) gave six schiff bases 7a, 7b, 7c, 7e, 7f in 81%, 91%, 82%, 81%, 50% and 84% yield, respectively.

  • PDF

원료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향기성분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 이주선;이택수;박성오;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6-323
    • /
    • 1996
  • 멥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로 담금한 발효 16일의 탁주 술덧의 향기성분을 비극성 column을 이용하여 GC와 GC-MS로 분석,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탁주의 향기성분은 alcohol 7종, ester 15종, acid 10종, aldehyde 1종, benzene 4종, phenol 3종, alkane 8종, ketone 2종 및 기타 5종 등 55종이 검출되었다. 시험구별로는 주모 무첨가 멥쌀주에서 35종, 주모 첨가의 멥쌀주 26종, 찹쌀주 15종, 보리쌀주 23종, 밀가루주 36종이 검출되어 휘발성 향미성분의 종류는 밀가루주에서 가장 많았고 멥쌀주의 경우 주모 첨가구보다 무첨가구가 많이 나타났다. 검출된 향기성분 중 acetix acid ethyl ester, 3-methyl-1-butanol, aceticacid, ethyl benzene, acetic acid 3-methyl butyl ester, 2-phentlethanol, 2,6-di-tert-butyl-4-methyl phenol, plumbagic acid,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butyl ester등 9종은 모든 시험구에서 공통으로 존재하였다. 이 외 2,4,6-trimethyl-1,3-benzenediamine은 주모 무첨가의 멥쌀주에서, diethyl sulfode, 4-methoxy ben-zaldehyde, docosane, 2-methyl propyl octadecanoic acid는 주모 첨가의 멥쌀주에서, propionic acid ethyl ester, acetic acid butyl ester, 2-hydroxy-4-methyl pentanoic acid, 2-methyl tridecane은 보리쌀주에서, 3-(methylthio)-1-propanol, hexanoic acid 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 methly ester, tridecanoic acid, ehtyl tetramethyl cyclopentadiene, 1,8-diaza-2,9-dik-etocyclotetradecane은 밀가루주에서만 각각 검출되어 담금 원료에 따라 향기성분이 특이하였다. 향기성분중 acetix acid ethyl ester, 3-methyl-1-butanol, acetix acid, 2-phenylethanol등의 성분이 다른 향기 성분에 비해 면적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산 해면의 지질 성분 연구 (Lipids Constituents of the Korean Marine Sponges)

  • 김인규;박선구;박성혜;장성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89
    • /
    • 1991
  • 한국 남해안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V.japonica H.로부터 통상적인tetradecanoic 및 hexadecanoic methyl ester 이외에 탄소가 홀수인 pentadecanoic, heptadecanoic methyl ester와 가지달린 12-methyltetradecanoic, 14-methylpentadecanoic, 15-methylhexadecanoic 및 14-methylhexadecanoic methyl ester가 발견되었으며, 주 sterol 성분으로는 cholesterol과 소량의 ergost-25-ene-3,5,6-triol이 검출되었다. 한편, 여수 돌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H.sinapium의 주 sterol성분은 5${\alpha}$-cholestan-3${\beta}$-ol이었고 cholesterol은 소량으로 얻어졌다. 지방산으로는 팔미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및 리놀레인산 에틸에스터 이외에 상당량의 arachidonic산 에틸에스터가 함유되어 있었다. 상기 지역에서 채집한 또 다른 해면에서는 상당량의 tetradecanoic tetradecyl 및 hexadecyl ester와 sterol 성분으로 cholesteryl acetic 및 fatty acid ester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