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9초

배양검사를 통해 확인한 중환자실 직원의 손씻기 효과 (Hand Hygiene Effects Measured by Hand Culture in Intensive Care Unit)

  • 정재심;최정화;이순행;김양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5권2호
    • /
    • pp.21-30
    • /
    • 2003
  • The effect of hand hygiene was measured by hand culture before and after hand hygiene for 86 nurses, doctors, and nurses aide/housekeeper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The subjects were asked to press their dominant hand in hand-shaped Mannitol salt agar immediately after patient contact and then washed their hand by preferred hand hygiene agents [soap and water, waterless alcohol gel, or 4% chlorhexidine gluconate detergent (CHG)], and cultured one hand again Amount of isolated microorganism was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divided areas ($1{\times}1cm$) which is culture positive in hand culture plate.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from 58.1(${\pm}38.59$) to 27.4(${\pm}30.4$) cells after hand hygiene. The staff nurse's hand hygiene was more effective compared to medical doctors and nurses aide/housekeeper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was isolated in 41(47.1%) subjects ; but only removed 100% in 28(32.2%) subjects. When the amount of hand microorganisms was compared by subject's preferred hand hygiene agents, it was decreased in order of 4% CHG, waterless alcohol solution, soap and water, and water. The hand hygiene practice was inadequate to reduce hand microorganisms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y occupations.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nd hygiene improvement program which emphasize the quality of hand hygiene is recommended.

  • PDF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패혈성 폐색전증 1예 (A Case of Septic Pulmonary Embolism Associated with MRSA Infective Endocarditis)

  • 이기종;김나영;김자선;윤한결;오미정;김도훈;조상균;류한영;배영아;김대봉;신미경;진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2호
    • /
    • pp.124-128
    • /
    • 2010
  • Septic pulmonary embolism is the process in which an infected thrombus becomes detached from its site of origin and lodges in a pulmonary artery,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especially right-sided, or infection-associated with indwelling catheters, peripheral septic thrombophleb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etc. Here, we report a case of septic pulmonary embolism associated with tricuspid valve infective endocarditis. A 23-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fever, sore throat, and myalgia. In her past medical history, she had undergone a surgical operation for closure of a ventricular septal defect, but was informed that the operation resulted in an incomplete closure. The initial chest radiograph demonstrated multiple rounded, parenchymal nodules in various sizes; several nodules had central lucency suggesting cavitations.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a large vegetation attached to the septal tricuspid valve leaflet, extending from right ventricular inflow tract to outflow tract. Computed tomography of thorax revealed bilateral peripheral nodules and wedge-shaped consolidation at various sizes, mostly accompanied by cavitations.

여러 분리원으로부터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을 가진 유산균의 분리 (Screening of Antimicrobial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Bovine Mastitis)

  • 이나경;최인애;박용호;김종만;김재명;정석찬;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3-5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원유와 사일리지, 전통발효식품 등으로부터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유산균을 분리하였고, 이들 중 원유에서는 79, 91-3 균주와 전통발효식품에서는 SA131, NK24, NK34, 32, 44-1 균주, 사일리지에서는 253, 261, 262, 263, 265 균주, 닭분변에서 B32, C23 균주에서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항생제 대체물질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한 골관절염의 임상 양상 및 원인균에 대한 고찰 (Clinical Presentations and Causative Organis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steoarticular Infections: A Retrospective Study)

  • 이소영;김한울;조혜경;윤여헌;유경하;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154-163
    • /
    • 2015
  • 목적: 소아청소년기의 골관절염은 드물지만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하는 골관절염의 임상 양상과 원인균을 분석하여 이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균제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18세 이하의 환자로 2008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이화여대 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와 정형외과에서 골관절염으로 치료를 받은 42례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42례 중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화농성 관절염을 동반한 골수염이 각각 21례, 13례, 8례였다. 남아와 여아는 각각 31명과 1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1세였다. 가장 흔한 임상 증상은 통증과 발병 부위의 압통이었다. 골수염은 대퇴뼈(10례, 34.5%)와 정강이뼈(7례, 24.1%), 화농성 관절염은 고관절(9례, 42.9%)과 무릎 관절(5례, 23.8%)에 주로 발생하였다. 혈청 CRP와 ESR의 상승이 각각 37례(88.1%)에서 관찰되었다. 40례에서 MRI가 시행되었고, 병변의 발견 및 진단에 유용하였다. 혈액 배양 검사가 시행된 38례 중 9례(23.7%), 감염 조직 배양 검사가 시행된 40례 중 20례(50.0%)에서 원인균이 동정되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 였으며, 혈액 배양에서 8례(88.9%), 감염 조직 배양에서 14례(70.0%)가 동정되었다. S. aureus 가 동정된 22례중 9례(41.0%)에서 메티실린 내성을 보였다. 결론: 소아청소년기의 골관절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 로 MRSA의 비중이 41%에 이른다. 따라서 초기 치료제로 반코마이신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며, 추후 MRSA 비율에 따른 항균제 선택의 치료 지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creening the extracts of the seeds of Achillea millefolium, Angelica sylvestris and Phleum pratense for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general toxicity

  • Sarker, Satyajit Dey;Eynon, Elaine;Fok, Katharine;Kumarasamy, Yashodharan;Murphy, Eavan Marie;Nahar, Lutfun;Shaeen, Ehab Mohammed;Shaw, Nichola Mary;Siakalima, Munachong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3호
    • /
    • pp.157-162
    • /
    • 2003
  • Various extracts of higher plants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s for centuries. While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for evaluation of their bioactivity, temeperate plants have always been neglected somewhat. Similarly, seeds of the plants have not been considered seriously compared to other plant parts, e.g. leaves, stems, roots, flowers, etc. as a potential source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s part of our on-going evaluation of the extracts of the seeds of temperate plants, especially from Scotland, for biological activity, Achillea millefolium, Angelica sylvestris and Phleum pratense have been chosen for the present study. Both A. millefolium and A. sylvestris are well known for their traditional medicinal uses in Europe and also in the orient, but there is no report on any medicinal properties of P. pratense available to date. Extracts of the seeds of these plants have been assessed for thei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otential and also for general toxicity. Both DCM and MeOH extracts of A. millefolium showed the most significant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y among the three plant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almost all test strains of bacteria. The DCM extracts of all three species were active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Citrobacter freundii $(MIC=6.25{\times}10^{-1}\;mg/mL)$. While the MeOH extracts of A. millefolium and P. pratense were active against C. freundii, that of P. pratense was also active against MRSA. The MeOH extract of A. sylvestris did not show an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y of the eight bacterial strains at test concentrations. The MeOH extract of P. pratense showed the most prominent antioxidant activity $(IC_{50}=145\;{\mu}g/ml)$ and there was no antioxidant activity observed with the DCM extract of A. millefolium. The DCM extract of P. pratense was the most toxic $(LC_{50}=20\;{\mu}g/ml)$ among the extracts.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관련 폐렴의 임상양상과 기관내 삽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linical Manifestations, Ddiagnostic Availability of Endotracheal Tip Culture)

  • 김남영;성태정;신선희;김성구;이건희;윤혜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67-74
    • /
    • 2005
  • 목 적 : 최근 신생아학의 발달과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달로 기관내 삽관 후 인공 환기요법 치료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호흡곤란증이 있는 신생아의 사망률은 감소된 반면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병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에서 VAP의 발생빈도와 위험요인 및 주된 균주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까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입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VAP의 진단은 기관내 삽관 당시에는 폐렴이 보이지 않으나 기관내 삽관 후 최소 48시간 경과 후 흉부 방사선상 새롭게 침윤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상기 조건에 만족하는 환아 13명을 VAP군으로, 만족하지 않는 환아 37명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했던 환아 50명 중 VAP의 발생빈도는 26.0%(13명)였다. 동맥관 개존증과 뇌실내 출혈이 VAP 발생과 연관이 있었고 재태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및 호흡곤란 증후군,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패혈증, 급성 신부전, 폐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등과는 연관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균주가 동정되었는데 MR-CNS 4례(33.3%), E. cloacae 3례(25.0%), P. aeruginosa 2례(16.7%), MRSA 1례(8.3%), Acinetobacter baumanii 1례(8.3%), K. pneumoniae 1례(8.3%)로 MR-CNS가 가장 많았다. 결 론 : 본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치료 후 발생한 폐렴의 빈도는 26.0%이며 MR-CNS가 가장 많이 배양되였다. 기관삽관 말단의 배양은 VAP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적절치 않을 수 있으나 신생아에게 필요한 침습적이지 않고 정확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Active Diketopiperazine Derivatives from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with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 Alshaibani, Muhanna M.;MohamadZin, Noraziah;Jalil, Juriyati;Sidik, Nik Marzuki;Ahmad, Siti Junaidah;Kamal, Nurkhalida;Edrada-Ebel, RuAngeli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249-1256
    • /
    • 2017
  • In our search for new sources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from Streptomyces sp., the ethyl acetate extracts from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afforded five active diketopiperazine (DKP) comp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bio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and evaluate their bioactivity against multiple drug resistance (MDR) bacteria such as Enterococcus raffinosu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baumanii,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bacter spp., and their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the human hepatoma (HepaRG) cell line. The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by this strain was optimized through Thornton's medium. Isolation,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were carried out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igh-resolution mas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cryopreserved HepaRG cells were selected to test the cytotoxicity. The results showed that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produces four active DKP compounds and an acetamide derivative, which were elucidated as $cyclo-({\text\tiny{L}}-Val-{\text\tiny{L}}-Pro)$, $cyclo-({\text\tiny{L}}-Leu-{\text\tiny{L}}-Pro)$, $cyclo-({\text\tiny{L}}-Phe-{\text\tiny{L}}-Pro)$, $cyclo-({\text\tiny{L}}-Val-{\text\tiny{L}}-Phe)$, and N-(7-hydroxy-6-methyl-octyl)-acetamide. These active compounds exhibited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TCC 43300 and Enterococcus raffinosus, with low toxicity against human hepatoma HepaRG cells.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has the ability to produce DKP derivatives biologically active against some MDR bacteria with relatively low toxicity against HepaRG cells line.

새로 개원한 병원 중환자실에서 주요 원내획득 폐렴 감염균의 연도별 항생제 내성율 변화 (Antibiotic Resistance for Common Hospital Acquired-pneumonia Pathoge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Newly Opened Hospital)

  • 이재형;신성준;김영찬;오승일;김미옥;박은주;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07-218
    • /
    • 2002
  • 배 경 : 중환자실은 병원 감염의 높은 발생률, 항생제 사용의 증가, 내성세균의 출현, 더욱 강력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감염증 치료 및 관리가 어렵다. 이에 중환자실 환자들의 감염증의 실태와 분리세균들의 항생제 감수성 동향에 대해서 기존의 여러 연구가 시행 된 바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5년 새로 개원하여 중환자실 시설에 병원 감염균이 없는, 한양대학교부속 구리병원의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환자실 원내획득 폐렴 3 대균주로 알려져 있는 Pseudomonas aeruginosa, MRSA, A cinetobacter species를 선택하여 항생제 감수성 동향을 관찰하고, 주요 균주의 감염증에서 합리적인 항생제 요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중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중환자실 원내획득 폐렴의 3대 균주 (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 cinetobacter species) 를 선택하여, 1995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개원이후 2000년 까지 중환자실에서 시행한 배양검사 상 흔히 사용하는 항생제의 개원 후 6년간의 연도별 내성율을 조사 하였다. 결 과 : S.aureus의 methicill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5%, 1996년 21%, 1997년 20%, 1998년 23%, 1999년 22%, 2000년 55% 였다. Pseudomonas aeruginosa의 3세대 cephalospor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50%, 1996년 50%, 1997년 78%, 1998년 40%, 1999년 77%,2000년 39%였다 lmipenam 내성율은 각각 1995년 0%, 1996년 27%, 1997년 65%, 1998년 12%, 1999년 16%, 2000년 12%였다. Ciprofloxac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0%, 1997년 56%, 1998년 36%, 1999년 57%, 2000년 58%였다. Tobramy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7%, 1996년 10%, 1997년 50%, 1998년 4%, 1999년 32, 2000년 15%였다. Gentami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4%, 1996년 36%, 1997년 67%, 1998년 36%, 1999년 65%,2000년 12%였다 Amika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14%, 1996년 30%, 1997년 61%, 1998년 16%, 1999년 39%,2000년 18%였다. Acinetobacter spp.의 3세대 cephalospor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92%, 1997년 89%, 1998년 88%, 1999년 84%, 2000년 77%였다. imipenam 내성율은 각각 1996년 50%, 1997년 48%, 1998년 45%, 1999년 49%, 2000년 50%였다. Ciprofloxacin 내성율은 각각 1996년 0%, 1997년 48%, 1998년 33%, 1999년 27%, 2000년 71%였다. Tobramy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67%, 1996년 100%, 1997년 93%, 1998년 95%, 1999년 89%, 2000년 77%였다. Gentami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67%, 1996년 100%, 1997년 89%, 1998년 95%, 1999년 87%, 2000년 83%였다. Amikacin 내성율은 각각 1995년 33%, 1996년 83%, 1997년 82%, 1998년 88%, 1999년 75%, 2000년 69% 였다. 결 론 : 개원 후 6 년간 S.aureus의 methicillin 내성율, Pseudomonas aeruginosa의 quinolone 내성율, A cinetobacter spp의 quinolone 내성율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후 이들 항생제들에 대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새로 개원하는 병원 중환자실에서 감염증 환자의 배양검사 결과 전에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Double Replacement of L-Pro, D-Pro, D-Leu or Nleu in Hydrophobic Face of Amphipathic α-Helical Model Antimicrobial Peptide on Structure, Cell Sele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 Shin, Song Yu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1호
    • /
    • pp.3267-3274
    • /
    • 201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ouble replacement of $\small{L}$-Pro, $\small{D}$-Pro, $\small{D}$-Leu or Nleu (the peptoid residue for Leu) in the hydrophobic face (positions 9 and 13) of amphipathic ${\alpha}$-helical non-cell-selective antimicrobial peptide $L_8K_9W_1$ on the structure, cell sele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we synthesized a series of $L_8K_9W_1$ analogs with double replacement of $\small{L}$-Pro, $\small{D}$-Pro, $\small{D}$-Leu or Nleu in the hydrophobic face of $L_8K_9W_1$. In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that the double replacement of $\small{L}$-Pro, $\small{D}$-Pro, or Nleu in the hydrophobic face of $L_8K_9W_1$ let to a great increase in the selectivity toward bacterial cells and a complete destruction of ${\alpha}$-helical structure. Interestingly, $L_8K_9W_1$-$\small{L}$-Pro, $L_8K_9W_1$-$\small{D}$-Pro and $L_8K_9W_1$-Nleu preferentially interacted with negatively charged phospholipids, but unlike $L_8K_9W_1$ and $L_8K_9W_1$-$\small{D}$-Leu, they did not disrupt the integrity of lipid bilayers and depolarize the bacterial cytoplasmic membra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ode of action of $L_8K_9W_1$-$\small{L}$-Pro, $L_8K_9W_1$-$\small{D}$-Pro and $L_8K_9W_1$-Nleu involves the intracellular target other than the bacterial membrane. In particular, $L_8K_9W_1$-$\small{L}$-Pro, $L_8K_9W_1$-$\small{D}$-Pro and $L_8K_9W_1$-Nleu had powerful antimicrobial activity (MIC range, 1 to $4{\mu}M$)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DRPA).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ed that $L_8K_9W_1$-$\small{L}$-Pro, $L_8K_9W_1$-$\small{D}$-Pro and $L_8K_9W_1$-Nleu with great cell selectivity may be promising candidates for novel therapeutic agents, complementing conventional antibiotic therapies to combat pathogenic microorganisms.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패혈증 환자의 분석 (Analysis of neonatal sepsis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6 years)

  • 천베드로;공섬김;변신연;박수은;이형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495-502
    • /
    • 2010
  • 목 적: 신생아 패혈증은 1개월 미만의 신생아 특히 미숙아, 저체중 출생아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중요한 원인이다. 저자는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원인균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혈액에서 균이 배양된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성별, 재태 주수, 출생 시 체중, Apgar 점수, 총 입원기간, 총정맥영양 기간, 중심도관 유무, 기저 질환, 혈액검사 소견, 배양된 균 종류, 합병증,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의 재원환자 일수에 대한 병원감염률도 분석하였다. 결 과: 1) 6년간 패혈증 발생빈도는 4.7%, 1,000명당 46.7명 이었다. 2004년에 가장 높은 패혈증 발생빈도를 보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다 2007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람 양성균패혈증이 그람 음성균보다 많았다. 2) 총 175명의 환자 중 남 녀비는 1.2:1 이었고, 그람음성균군에서 재태 주수와 출생체중이 의미있게 더 작았다. Apgar 점수, 총 입원 기간, 총정맥영양 기간, 중심도관 유무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기저질환이 있었던 경우는 총 129명(73.7%)이었고, 이 중 심혈관 질환이 가장 많았다. 배양된 균들 중 그람양성균은 MRSA가 50명(28.6%)으로 가장 많았고, 그람음성균은 $Serratia$ $marcescens$가 14명(8.0%)으로 가장 많았다. 4) 혈액검사 소견에서 그람음성균군의 혈소판이 의미있게 더 낮았으며($P$<0.05) 다른 소견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합병증은 32명(18.3%)에서 나타났고, 패혈성 쇼크가 16명(50.0%)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균별로 분석했을 때 MRSA 패혈증에서 합병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6) 패혈증으로 사망한 경우는 총 13명(7.4%)으로 그람양성균군의 사망률은 6.5%, 그람음성균군의 사망률은 10.8% 였으며 MRSA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7) 각 연도별 월별 재원환자일수에 대한 병원감염률을 보면 월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 론: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및 원인균의 분석, 임상적 특징, 합병증과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원인균에 대한 논의는 향후 신생아중환자실의 감염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