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nol cross-ove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직접 개미산 연료전지의 구성요소 평가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Cell Components in Direct Formic Acid Fuel Cells)

  • 정원석;윤성필;한종희;남석우;임태훈;오인환;홍성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362-367
    • /
    • 2009
  • 최근 직접 액체 연료전지의 연료로써의 개미산은 메탄올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개미산 연료전지(DFAFCs, Direct Formic Acid Fuel Cells)의 운전 조건을 변화시켜 성능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예를 들면, 양이온 교환 막의 두께, 개미산 수용액의 농도, 기체 확산층과 상용 촉매 등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양이온 교환 막의 두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와 연관되어 성능에 영향을 크게 주었다. 성능 최적화를 위해 개미산의 농도를 변화시켰다. 또한 개미산 산화에 가장 활성이 높은 상용촉매를 찾기 위해 실험했다. 나피온($Nafion^{(R)}$)-115, Pt-Ru black 상용촉매로 막-전극 접합체를 구성하여 6 M 개미산 수용액으로 운전하였을 때 최적의 성능을 보였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s, Direct Methanol Fuel Cells)와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High dispersion of Pt electro catalysts on porous carbon nanofiber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 신동요;안건형;이도영;이은환;이영근;안효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1.2-411.2
    • /
    • 2016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MFCs)는 친환경적이고 낮은 작동 온도로 인한 빠른 구동, 높은 에너지 밀도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에너지 변환소자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며, 메탄올이 보유하고 있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음극에서는 백금 촉매로 인한 메탄올 산화반응, 양극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며 전기화학적 구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일산화탄소 피독으로 인한 촉매 활성 저하, 메탄올의 cross over, 백금 촉매 사용으로 인한 고비용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백금 사용량을 줄이고 백금 촉매를 고르게 분포하기 위해 값이 저렴하고 넓은 비표면적을 갖는 탄소계 (graphite, graphene, carbon nanotube, carbon nanofiber 등) 지지체 재료를 도입하고 있다. 이 중 탄소나노섬유 (carbon nanofibers, CNFs)는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열적/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백금 촉매의 지지체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 따라서 우리는 전기방사법을 활용하여 넓은 비표면적을 보유하는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또한, 이를 백금 촉매의 지지체로 도입하여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위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에 담지된 고분산성 백금 촉매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의 형상 및 구조 분석은 주사전자 현미경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와 투과전자 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정구조와 화학적 결합상태는 X-선 회절분석 (X-ray diffraction) 및 X-선 광전자 분광법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순환 전압 전류법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에 담지된 고분산성 백금 촉매의 자세한 특성을 본 학회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PDF

UV 중합에 의한 이성질체 분리막 제조와 특성 (The Preparation of Chiral Separation Membranes by UV Polymerization and its Properties)

  • 장은정;홍주희;허광범;김민;김병식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287-2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서로 상반되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해 UV 중합법에 의해 이성질체를 인식할 수 있는 분자 인식형 고분자(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MIPs) 분리막 제조와 그 분리막을 이용한 이성질체의 분리 선택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막은 기공(pore) 내벽에 작은 spot의 형태로 중합되었고 양성(anodisc; AD) 막은 기공 내벽이 아닌 표면(surface) 부분에 500~700 nm 정도의 필름(film) 형태로 중합되었다. 한편, 제조된 MIPs 분리막들의 L-트립토판(tryptophane; Trp) 이성질체 용액을 이용한 분리 선택도 비교 결과, 기능성 단량체인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MAA)에 대하여 가교제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킬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90% 이상, 분자제인 메탄올(methanol; MeOH)이 30% 이하 첨가되어 필름 형태로 중합된 AD MIPs 분리막이 3.5의 우수한 선택도를 가졌다.

Quantitative Immunoassay for Polychlorinated Biphenyl Compounds in Electrical Insulating Oils

  • Kim In Soo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9-127
    • /
    • 2000
  •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 competitive indirect immunoassay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polychlorinated biphenyl compounds in insulating oils is presented. Reagent preparation and the assay characterisation, optimisation and validation steps are described. The dynamic range of the assay for Aroclors 1254 and 1260 in methanol was $50-800 {\mu}g\;ml^{-1}$ with $50\%$ signal inhibition values of 217 and $ 212 {\mu}g\;ml^{-1}$ respectively. Impending legislation in the UK is likely to decree that oils containing $ >50 {\mu}g\;ml^{-1}$ PCB be considered contaminated. Assay sensitivity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PCB chlorination. The assay of structurally related compounds of environmental concern yielded cross-reactivity values of under $0.6\%$. The immunoassay proved reliable for the analysis of transformer oils containing $>70{\mu}g\;ml^{-1}$ PCB, but over-estimated PCB levels in oils containing $<20{\mu}g\;ml^{-1}$ of the analyte with the oils requiring pre-treatment using either solid-phase extraction techniques or washing with KOH-ethanol/sulphuric acid to remove matrix interferents. The analytical performance of the assay was compared against a commercially available semi-quantitative immunoassay kit for PCBs in soil and water.

  • PDF

MWW와 MFI 제올라이트에서 메탄올의 올레핀으로 전환 반응: 세공 구조가 생성물 분포와 촉매의 활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Methanol-to-Olefin Reaction over MWW and MFI Zeolites: Effect of Pore Structure on Product Distribution and Catalyst Deactivation)

  • 송기원;서곤;신채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5호
    • /
    • pp.521-529
    • /
    • 2011
  • 원형 세공과 선형 세공이 독립적으로 발달한 MWW와 구부러진 세공과 선형 세공이 서로 교차하는 MFI 제올라이트에서 세공 구조가 메탄올의 저급 올레핀으로 전환(MTO) 반응에서 생성물 분포와 활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성도가 비슷한 MWW와 MFI 제올라이트는 MTO 반응에서 전환율이 높고 활성 저하가 느린 점이 서로 비슷하지만, MWW에서는 $C_3-C_9$의 선형 탄화수소가 많이 생성되나 MFI에서는 $C_2{^=}$와 방향족 화합물의 수율이 높았다. MTO 반응 중 MWW에는 다고리 방향족 화합물(PAHs)이 많이 축적되나 MFI에서는 벤젠과 나프탈렌 유도체만 생성되었다. MFI와 달리 MWW에 인을 담지하면 MTO 반응에서 촉매 활성과 톨루엔의 흡착량이 크게 줄었다. MWW의 선형 세공에는 MTO 반응 중 PAHs가 축적되어 활성이 없어지나 PAHs가 생성되지 않은 원형 세공에서 선형 탄화수소가 생성된다. 그러나 원형 세공에 인이 담지되면 세공이 막혀 활성이 크게 줄어든다. MFI에는 세공 교차 부분에 인이 담지되어 강한 산점이 중화되어 생성물 분포는 달라지나 활성은 저하되지 않았다. 세공 구조의 차이로 MTO 반응에서 MWW와 MFI의 촉매로서 거동 차이를 설명하였다.

Stress-shock Response of a Methylotrophic Bacterium Methylovorus sp. strain SSl DSM 11726

  • Park, Jong H.;Kim, Si W.;Kim, Eungbin;Young T. Ro;Kim, Young 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162-167
    • /
    • 2001
  •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 11726 was found to grow continuously when it was transferred from 30$\^{C}$ to 40$\^{C}$ and 43$\^{C}$. A shift in growth temperature from 30$\^{C}$ to 45$\^{C}$, 47$\^{C}$ and 50$\^{C}$ reduced the viability of the cell population by more than 10$^2$, 10$^3$and 10$\^$5/ folds, respectively, after 1h cultivation. Cells transferred to 47$\^{C}$ and 50$\^{C}$ after preincubation for 15 min at 43$\^{C}$, however, exhibited 10-fold increase in viability. It was found that incubation for 15 min at 40$\^{C}$ of Methylovorus sp. strain SSl grown at 30$\^{C}$ was sufficient to accelerate the synthesis of a specific subset of proteins. The major heat shock proteins had apparent molecular masses of 90, 70, 66, 60, and 58 kDA. The 60 and 58 kDa proteins were found to cross-react with the antiserum raised against GroEL protein. The heat shock response persisted for over 1h. The shock proteins were stable for 90 min in the cell. Exposure of the cells to methanol induced proteins identical to the heat shock proteins. Addition of ethanol induced a unique protein with a molecular mass of about 40 kDa in addition to the heat-induced proteins. The proteins induced in paraquat-treated cells were different from the heat shock proteins, except the 70 and 60 kDa proteins.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를 이용한 코자 정(로자탄칼륨 50 mg)에 대한 로사타 정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Losata Tablet to Cozaar Tablet (Losartan Potassium 50 mg)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or)

  • 강현아;김세미;유동진;강승래;이상노;김용희;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1호
    • /
    • pp.51-57
    • /
    • 2010
  • Losartan potassium, 2-butyl-4-chloro-1-[p-(o-1H-tetrazol-5-ylphenyl)benzyl]imidazole-5-methanol mono-potassium salt, is a new class of antihypertensive agents, and is an antagonist in angiotensin recept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Losartan potassium tablets, Cozaar tablet (MSD Pharmaceutical Co., Ltd.) and Losata tablet (Kyung Dong Pharmaceu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release of losartan from the two losartan potassium formulation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ssolution media. Twenty eight healthy male subjects, $23.86{\pm}1.80$ years in age and $67.27{\pm}6.60\;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a single tablet containing 50 mg as losartan potassium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losartan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in all tested dissolution medi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 $C_{max}$ and $T_{max}$ were calculated, and Equiv Test/K-BE Test 2002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Cozaar, were -2.70%, 1.45% and 2.31% for $AUC_t$,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 0.8 to log 1.25 (e.g., log 0.8852~log 1.0655 and log 0.8319~log 1.2342 for $AUC_t$ and $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Losata tablet was bioequivalent to Cozaar tab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