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verse technology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3초

Emergence of the Metaverse and Psychiatric Concer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Soyeon Kim;Eunjoo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15-221
    • /
    • 2023
  •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y have led to increased usage of digital devices among teenager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and the subsequent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policies have further accelerated this change. Consequently, a new concept called the metaverse has emerged. The metaverse is a combination of a virtual reality universe that allows individuals to meet, socialize, work, play, entertain, and create.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oncept and main features of the metaverse and examples of its utilization in the real world. It also explains the uniqu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well as the possible negative influences of the metaverse on them, including addiction, antisocial behavior, cyberbullying, and identity confusion. This review summarizes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ecause the metaverse is a relatively new concept.

Metaverse Tourism: Elements and Consequences on Tourism Experience Journey

  • Dawi Karomati Baroroh;Halim Budi Santoso;Dewanti Anggrahini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3권1호
    • /
    • pp.23-34
    • /
    • 2023
  • Prior research on Extended Reality (XR) has been a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It is also a concern for researchers in the tourism field since it can enhance the tourist experience. Metaverse Tourism provides a virtual experience of the tourism destination for the users. It is potentially developed and predicted to be the future of tourism, enhancing the tourist experienc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avatars and providing a new option for tourists to enjoy leisure activities. Recently, discussion on Metaverse tourism is still emerging, with some open talks from researchers in the intersections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urism. This study extends prior studies by proposing six Metaverse tourism elements and categorizing them into core and supporting elements. Then, we analyze the consequences of those elements on the Tourism Experience Journey to enhance each stag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ontinuing recent dialogues among scholars on how Metaverse can be applied in the tourism sector by proposing six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d creating Metaverse services.

메타버스를 적용한 가족축제 운영 사례와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Case and Effects of Family Festival Using the Metaverse)

  • 정주원;장경임;김민혜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709-72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nhance awareness of diverse families and promote an inclusive, family-friendly culture by implementing the metaverse in a family festival and assessing its effec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is, the metaverse was applied and operated at the Jung-gu Family Center Family Festival in Seoul from October 29 to November 6, 2021. The design of the Metaverse Family Festival prioritized the integration of metaverse technology and the layout of program-linked spaces to create a realistic experience. The festival was operated with a focus on providing experiential activities and exhibitions. Data comprised program satisfaction and reviews from a sample of 228 festival participants.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articipants shared their interest and joy in experiencing new activities with their families through the Metaverse Family Festival. Secondly, creating a realistic family festival environment proved practical for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Thirdly, the Metaverse Family Festival was perceived as promoting an inclusive, family-friendly culture by facilitating safe and accessible communication. Fourthly, the festival effectively bridged the digital gap within families, thereby enhancing digital literacy. This study offers new insights for the futur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in family centers and public institutions.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by Apply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 Focused on the Virtual World Metaverse)

  • 오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04-216
    • /
    • 2021
  •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즉, 메타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콘텐츠 품질과 지각된 유희성, 사회적 영향, 자기효능감으로 설정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관점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대학에서 29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267명의 데이터를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선행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품질과 지각된 유희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메타버스 이용의도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과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용이성과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과 미디어 이용 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뉴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Implementation of Metaverse Based Realistic Education Platform

  • Sukyong, Jung;HyungSoo, Park;HwanSoo, Kang;Jinhyung, Cho;Larry S,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77-87
    • /
    • 2023
  • 현재 코비드19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을 통한 활동들이 진행되면서 교육 분야에서도 비대면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실감 3D 기술 및 XR 인터랙티브 기술을 접목한 메타버스 기반 실감 교육용 플랫폼을 개발 활용하여 학생들의 최신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교육 역량을 강화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교육 측면에서의 메타버스에 대한 주요 기술을 이해하고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사례들과 교육용 메타버스 활용 사례들을 조사하며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고 하는 실감 교육용 플랫폼과 비교 평가한다. 향후, 비대면 교육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교수자가 메타버스라는 가상세계에서 MZ세대에게 강의를 진행할 때 본 논문에서 개발된 메타버스 기반 실감 교육형 플랫폼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지자체의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etaverse Space in Local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 최재원;여준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705-712
    • /
    • 2022
  • 지난 3년간의 펜데믹은 우리 생활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그 변화가 이제는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고 있다. 화상회의, 원격수업, 재택근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상생활 및 경제 활동은 코로나 이후의 일상이 되었다. 그리고 통신 및 그래픽 기술의 급격한 발전의 결과물이 바로 메타버스이다. 이러한 '메타버스 열풍'에 편승해 정부와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메타버스 내 공공 공간'을 생산해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체의 메타버스 공간의 올바른 활용방안을 위해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공공디자인', '메타버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는 지자체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높은 화제성과 가능성을 지닌 메타버스를 지자체의 홍보나 토론의 공간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자체 메타버스의 대중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적극적인 반영이 필요하다.

가상세계 메타버스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An Innovation Diffusion Perspective)

  • 박천호;이채현;정성미;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56
    • /
    • 2023
  • Metaverse is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re virtual and reality interact and co-evolutionize, and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it to create value. Among the types of metaver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is expected to bring innovation beyond time and space in all areas of industry and society following the Interne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by an innovation diffusion perspective. It was analyzed as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setting relative advantages, ease of use, and visibility among the attributes of the innovation diffusion, and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worlds as factor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through a PL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based on a survey of 216 people. Studies have shown that relative advantage,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but visibi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It was found that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soci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by divid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induce consumer behavior into perceived usefulness which is an extrinsic motiv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which is an intrinsic motivation.

웹 3.0 시대 음악 생태계 활성을 위한 메타버스 비즈니스연구: 음악 플랫폼의 발전 양상 및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Metaverse business research for revitalizing the music ecosystem in the web 3.0 era: Focusing on strategies for building music platform)

  • 김지원;원유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87-800
    • /
    • 2023
  • 본 논문은 웹 3.0 시대에 도래할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의 학술적 이해를 도모하고 생산적인 구축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이 현 시점에 지니는 의미를 입체적으로 짚어보고자 디지털 음악의 발전을 웹 1.0부터 3.0까지의 플랫폼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반부에서는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이 현재 향유하는 음악문화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화되어온 웹 플랫폼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부상을 웹 2.0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웹 3.0으로의 전환과 연계된 변화로 가정하고, 최근 거론되는 1. 기술적(XR기술,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성형 AI), 2. 문화적(디지털 아바타, 팬덤), 3. 경제적(NFT) 논의들을 현재까지 발전된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의 발전방안과 연계시켜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에 대한 합의된 개념이나 공식적인 정론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개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향후 발전방안에 대한 모색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블록체인 NFT 문화예술콘텐츠의 현황과 과제 (Prospects & Issues of NFT Art Contents in Blockchain Technology)

  • 김종국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1호
    • /
    • pp.115-126
    • /
    • 2023
  •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design, music, film, sports, games, and fashion, NFTs (Non-Fungible Tokens) are creating new economic value through trading platforms dedicated to NFT art and content.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NFT art content in the context of an expanding market for blockchain-based NFT art content in the metaverse. I also propose several tasks based on the economic and industrial logic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first task proposed is to integrate cultural arts on blockchain, metaverse, and NFT platforms through digital innovation, instead of separating or distinguishing between creative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re was a clear separation between creators and consumers. However, with the rise of Web 3.0 platforms, any user can now create and own their own cont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a collaborative and integrated approach to cultural ar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blockchain and metaverse ecosystem. The second task proposed is to align the legal framework with blockchain-base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relevant laws should focus o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NFT trading platform ecosystem, rather than merely regulating it for user protection. As blockchain-based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it is important that legal systems adapt to support and promote innovation in the space. This shift in focus can help create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for the growth of blockchain-based NFT platforms. The third task proposed is to integrate education on digital arts, including metaverse and NFT art contents, into the current curriculum. This education should focus on convergence and consilience, rather than merely mixing together humanities, technology, and arts. By integrating digital arts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students can g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blockchain-based technologies and NFT art. This article examines the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such as blockchain, metaverse, and NFT from an economic and industrial point of view. As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e critical mind such as philosophical thinking or social criticis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s left as a future task.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 및 사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etaverse Utiliz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nd Librarian Perceptions)

  • 오재령;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59-180
    • /
    • 2022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과 사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외 도서관의 메타버스 사례와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메타버스 운영 경험이 있는 대학도서관 사서 9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과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메타버스의 운영에서 겪었던 어려움,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타버스 활성화 방안으로 메타버스 서비스의 차별화, 전문인력의 확보, 교육의 활성화, 자료 열람 기능의 확대, 서비스에 따른 플랫폼 선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도서관에서 메타버스를 운영하거나 계획할 때 있어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