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sectomy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Factors Affecting Prognosis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 Eker, Baki;Ozaslan, Ersin;Karaca, Halit;Berk, Veli;Bozkurt, Oktay;Inanc, Mevlude;Duran, Ayse Ocak;Ozkan, Met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7호
    • /
    • pp.3015-3021
    • /
    • 2015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CRC) is a major cause of mortality in developed countries, and it is the third most frequent malignancy in Turkey. There are many biological, genetic, molecular, and tissue-derived prognostic factors for CRCs. In this study, we evaluate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ho were metastatic at diagnosis or progressed to metastatic disease during follow-up. Patient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16 patients with malignancies either in the colon or rectum. Of these, 65 had metastatic disease at diagnosis, and 51 progressed to metastatic disease during the course of the disease. The parameters evaluated were age, gender, comorbidity, performance status and stage of the disease at the beginning, localization, history of surgery, chemotherapy regimen, response to first-line treatment, K-RAS status, site and number of metastases, expression of tumor predictors (CEA, CA19-9), and survival times. A multivariate analysis conducted with factors that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Findings: Median age was 56 (32-82) years and the male/female ratio was 80/36. Eleven patients were at stage II, 40 at stage III, and 65 at stage IV at diagnosis. Twenty three patients had tumor in the right colon, 48 in the left colon, and 45 in the rectum. Ninety seven patients were operated, and 27 had surgical metastasectomy. Ninety three patients received targeted therapy. At the end of follow-up, 61 patients had died, and 55 survived. Metastatic period survival times were longer in the adjuvant group, but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djuvant group: median 29 months, metastatic group: median 22 months; p=0.285). In the adjuvant group before the metastatic first-line therapy, CEA and CA 19-9 levels were significiantly lower compared to the metastatic group (p<0.005). We also found that patients with elevated tumor predictor (CEA, CA 19-9) levels before the first-line therapy had significiantly poorer prognosis and shorter survival time. Survival was significiantly better with the patients who were younger than 65 years of age, had better initial performance status, a history of primary surgery and metastatectomy, and single site of metastasis. Those who benefitted from the first-line therapy were K-RAS wild type and whose tumor markers (CEA, CA 19-9) were not elevated before the first line therapy. Conclusions: Among the patients with metastatic CRC, those who benefited from first-line therapy, had history of metastasectomy, were K-RAS wild type and had low CA 19-9 levels before the first-line therapy, showed better prognosis independent of other factors.

폐 전이를 동반한 원발성 흉벽 평활근육종 - 1례 보고 - (Primary Leiomyosarcoma of the Left Lower Posterior Chest wall with Lung Metastasis - One Case Report -)

  • 김대현;김범식;박주철;조규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64-767
    • /
    • 2002
  • 폐 전이를 동반한 원발성 흉벽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물다. 43세 남자 환자가 특별한 증상없이 좌측 후 하흉벽에 서서히 커지는 단단한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흥부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 상 우측 폐에 다발성전이를 동반한 좌측 후 하 흉벽의 종양이 관찰되었다. 좌측 후 하 흉벽 종양에 대해 시행한 세침 검사상 조직학적으로 횡문근육종 소견을 보였다. 좌측 후 하 흉벽 종양을 일괄 절제하고 우측 폐의 다발성 결절들을 절제하여 얻은 병리학적 소견상 다발성 우측 폐 전이를 동반한 좌측 후 하 흥벽의 원발성 평활근육종으로 진단되었고 항암 치료를 추가로 계획하였다.

우측 폐로 전이된 전이성 다형태 선종 -증례 보고- (Metastasizing Pleomorphic Adenoma in Right Lung -A case report -)

  • 정원상;남승혁;강정호;김영학;김응수;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43-146
    • /
    • 2007
  • 이하선에 생기는 전이성 다형태 선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나 임상적으로는 전이를 일으키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병변이다. 저자들은 이하선의 다형성 선종으로 절제술을 경험한 57세 남자에게서, 4년 후에 흉막과 우측 폐, 종격동, 심낭, 늑간근의 다발성 전이를 진단하여 전이암 절제술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Optimal dose and volume f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brain oligometastases from lung cancer: a retrospective study

  • Chung, Seung Yeun;Chang, Jong Hee;Kim, Hye Ryun;Cho, Byoung Chul;Lee, Chang Geol;Suh, Chang-O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153-162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intracranial control after surgical resection according to the adjuvant treatment received in order to assess the optimal radiotherapy (RT) dose and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3 and 2015, a total of 53 patients with brain oligometastases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underwent metastasectom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djuvant treatment received: whole brain radiotherapy (WBRT) ${\pm}$ boost (WBRT ${\pm}$ boost group, n = 26), local RT/Gamma Knife surgery (local RT group, n = 14), and the observation group (n = 13). The most commonly used dose schedule was WBRT (25 Gy in 10 fractions, equivalent dose in 2 Gy fractions [EQD2] 26.04 Gy) with tumor bed boost (15 Gy in 5 fractions, EQD2 16.25 Gy). Results: The WBRT ${\pm}$ boost group showed the lowest 1-year intracranial recurrence rate of 30.4%, followed by the local RT and observation groups, at 66.7%, and 76.9%, respectively (p = 0.006). In the WBRT ${\pm}$ boos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1-year new site recurrence rate of patients receiving a lower dose of WBRT (EQD2) <27 Gy compared to that in patients receiving a higher WBRT dose (p = 0.553). The 1-year initial tumor site recurrence rate was lower in patients receiving tumor bed dose (EQD2) of ${\geq}42.3Gy$ compared to those receiving <42.3 Gy,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347). Conclusions: Adding WBRT after resection of brain oligometastases from NSCLC seems to enhance intracranial control. Furthermore, combining lower-dose WBRT with a tumor bed boost may be an attractive option.

전이성 폐암에서 수술 후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ng Term Survival after Operation in Metastatic Lung Cancer)

  • 홍기표;정경영;김길동;박인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916-923
    • /
    • 1999
  • Background: Many institutes are interested in lung metastatectomy than before because of the improved long term survival, low mortality, and low morbidity after lung metastatectomy. However,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ng term survival are controversial. We attempt to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retrospectively by comparing the results of lung metastasectomy.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 1990 and Dec. 1997, 74 operations were taken in 63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in various primary sit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long term survival according to sex, cell type, laterality, disease free interval(DFI), operation, the number of metastases, and the size of the largest metastasis. Result: There were 27 male and 36 female patients. Sex did not appeared to affect survival time(p=0.849). The primary tumor was carcinoma in 32, sarcoma in 28, and others in 3. Cell type, considering carcinoma and sarcoma, did not relate to survival time(p=0.071). DFI had no influence on the outcome(p=0.902). The type of operative procedure had no influence on the outcome(p=0.556). The laterality of metastases, 47 unilateral(74.6%) and 16 bilateral(25.4%), had no influence on the outcome(p=0.843). The number of metastases excised(one, two or three, four or more) did not appear to affect survival(p=0.263). The size of largest metastasis(<=10mm, 11mm-30mm, and >30mm) did not appear to affect survival(p=0.751). Previous factors were evaluated in both the carcinoma and sarcoma patients respectively. DFI was the on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metastatic lung sarcoma(p=0.0026). Conclusion: Survival was not related to sex, cell type, laterality, DFI, operative procedure, number of metastases, nor the size of the largest metastasis. DFI was related to the survival time in sarcoma group but further study is needed.

  • PDF

폐로 전이된 양성 전이성 근종 (Benign Metastasizing Leiomyoma of Lung)

  • 조석기;류경민;성숙환;정진행;이재호;김용범;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335-339
    • /
    • 2006
  • 양성 전이성 근종은 조직학적으로는 양성 종양의 소견을 보이는 자궁근종에서 폐로 전이되어, 임상적으로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지닌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자궁근종으로 자궁 절제술을 계획하고 있는 환자에서 다발성 폐 결절이 발견되어, 폐절제술과 자궁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후 조직병리 검사에서 폐 결절에서 호르몬 수용체 존재를 확인하여 양성 전이성 근종으로 확진할 수 있었으며,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치료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새로운 병기 제안에 따른 전이성 폐암의 분석 (Analysis of Pulmonary Metastases according to a New Staging Proposal)

  • 강정한;백효채;이진구;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15-620
    • /
    • 2001
  • 1998년 Ginsberg등은 전이성 폐암의 새로운 병기를 제시하였다. 이 병기 제안은 폐 전이 병소의 완전절제 여부, 무병생존기간, 폐 전이 병소의 개수를 예후 인자로 제시하여 이들을 기초로 병기를 나누었다. 우리는 세브란스 병원의 전이성 폐암 환자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병기와 장기 생존율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년까지 전이성 폐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둘 중 103명(92.8%)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다. 원발성 종양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암종이 60명, 육종이 46명, 그 외의 질환이 5명이었다. 무병생존기간은 0에서 35개월까지가 79명, 36개월 이상이 32명이었다. 하나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가 53명, 여러 개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가 58명이었다. 평균 추적기간은 49개월이었다. 결과: 전이성 폐암이 완전절제 후 3년 생존율은 48.2%, 5년 생존율은 32.6%인 반면, 불완전절제한 경우에서 3년 생존율은 21.9%였다. 완전절제한 한자들 중에서 무병생존기간이 0에서 35개월까지의 환자군에서 3년 생존율은 40.5%, 5년 생존율은 30.4%였고 36개월 이상인 환자군에서 3년 생존율은 75.9%, 5년 생존율은 39.0%였다. 하나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군의 3년 생존율 45.8%, 5년 생존율 30.5%이었고 여러 개의 병소를 가진 환자군의 3년 생존율 50.0%, 5년 생존율 34.4%였다. 병기 1기인 환자군의 3년 생존율 58.5%, 5년 생존율 43.8%, 2기 54.0%, 37.4%, 3기 38.4%, 3기 38.2%, 27.9%, 그리고 4기의 3년 생존율은 21.9%였다. 결론: 새로운 전이성 폐암의 병기 모델에 따른 세브란스 병원 환자들의 분석 결과, 병기가 진행됨에 비례하여 생존율도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전이성 폐암의 예후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경험과 오랜 기간 동안의 추적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혈관 육종의 폐 전이에 의한 기흉 (Pneumothorax due to Metastasis of Angiosarcoma to the Lung)

  • 함석진;백효채;김창완;권지은;최형윤;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228-231
    • /
    • 2010
  • 3년 전 두피에 발생한 혈관 육종의 과거력이 있는 80세 남자 환자가 호흡 곤란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흉부 X-ray상 좌측 기흉이 진단되었다. 환자는 3년 전 혈관 육종으로 두피의 종양 절제와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입원 후 지속되는 공기 누출로 폐쐐기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병리 검사상 혈관 육종의 폐전이가 진단되었다. 환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혈관 육종의 폐전이 악화로 폐절제술 후 15개월에 사망하였다. 혈관 육종은 노인에서 두피 또는 얼굴에 호발하는 악성도가 높은 종양으로 드물게 폐에 공동성 병변의 형태로 전이되어 기흉을 발생시킨다. 저자들은 두피에 발생한 혈관 육종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폐전이에 의한 기흉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이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ulmonary Metastases)

  • 강정호;노선균;정원상;김혁;반동규;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03-108
    • /
    • 2007
  • 배경: 여러 가지 고형암으로부터 전이된 폐암 환자에 있어서 수술적 절제는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다. 이를 토대로 본원에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37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전이성 폐암의 수술적치료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입원기록과 수술기록, 병리기록지 등을 통하여 나이, 성별, 무병생존기간, 수술 방법, 폐 전이 병소 개수,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생존곡선과 생존율간의 비교는 각각 Kaplan-Meier life table과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37명의 환자 중 34명에서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다. 원발 종양은 암종이 25명, 육종이 10명, 다른 종류가 2명이었으며 폐 전이 개수는 1개가 25명, 2개 이상이 12명이었다. 완전 절제가 가능했던 환자 군에서 수술후 3년 생존율은 50.5%, 5년 생존율은 35.9%으로 나타났다. 원발 종양의 종류에 따라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암종에서의 3년 생존율은 64.5%, 5년 생존율은 45.6%로 나타났으나 육종에서의 3년 생존율은 17.5%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수술 방법, 폐 전이 개수, 림프절 전이 여부, 추가 항암치료 여부와 암종에서 무병생존 기간 등은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전이성 폐암은 완전 절제가 가능할 경우 잘 선택된 일부 환자에서 수술에 따른 사망률이나 이환율은 낮으면서도 높은 장기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질환이다. 전이성 폐암의 수술 후 예후인자 등에 대한 차후 장기적인 추적관찰과 무작위 전향적 비교 연구 등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