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rhizium anisoplia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대벌레(Ramulus mikado)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6종과 녹강균(Metarhizium anisopliae)의 살충 효과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of Six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nd Metarhizium anisopliae against Ramulus mikado)

  • 정종국;정복남;이차영;김건희;김준헌;이영수;박지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117-125
    • /
    • 2023
  • 2020~2021년 은평구 봉산, 의왕시 청계산 등지에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산림에 피해를 주었던 대벌레(Ramulus mikado)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 6종과 산림 내에서 자연폐사한 대벌레에서 분리한 녹강균(Metarhizium anisopliae)의 살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유기농업자재 중에서는 azadirachtin과 geraniol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3종이 85.2~100%로 높은 치사율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화학 살충제인 페니트로티온 유제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녹강균의 분생포자를 희석하여 대벌레의 몸에 직접 분주하거나 사육장 내에서 분무기로 살포한 경우 모두 수일 내 100% 사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유기농업자재 3종과 녹강균 등은 향후 친환경 방제제 선발 및 사용 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나비목 해충에 대한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의 병원성 (Pathogenicities of Entomopathogenic Fungi, Beauveria bassiana and Metarhizium anisopliae against Lepidopterous Insect Pests, Agrotis segetum, Artogeia rapae, Mamestra brassieae, Plutella xylostella, Spodoptera exigua and Spodoptera litura)

  • 윤재수;김형환;김도완;이상명;김동수;이동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1-229
    • /
    • 2004
  • 경북지방에서 분리한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를 이용하여 나비목 해충인 거세미나방 (Agrotis segetum), 배추흰나비 (Artogeia rapae),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담배거세미나방 (S. litura)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거세미나방 2$\cdot$3령충에 대하여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반수치사농도 ($LC_50$)는 접종7일 후에 각각 $4.3\times10^6\;conidia/m\ell$$2.4\times10^5\;conidia/m\ell$였다. 배추흰나비 2$\cdot$3령충에 대한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LC_50$는 접종 7일 후에 각각 $1.2\times10^7\;conidia/m\ell$$5.2\times10^6\;conidia/m\ell$였다. 도둑나방 2$\cdot$3령충에 대한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LC_50$는 접종 7일 후에 각각 $1.5\times10^6\;conidia/m\ell$$9.7\times10^5\;conidia/m\ell$였고, 배추좀나방 2$\cdot$3령충에 대한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LC_50$는 각각 $3.0\times10^6\;conidia/m\ell$$1.4\times10^6\;conidia/m\ell$였다. 파밤나방 2$\cdot$3령충에 대한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LC_50$는 접종 7일 후에 각각 $6.3\times10^6\;conidia/m\ell$$2.6\times10^6\;conidia/m\ell$였고, 담배거세미나방 2$\cdot$3령충에 대한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LC_50$는 각각 $1.6\times10^7\;conidia/m\ell$$3.4\times10^6\;conidia/m\ell$였다.

Soil Application of Metarhizium anisopliae JEF-314 Granules to Control, Flower Chafer Beetl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Kim, Sihyeon;Kim, Jong Cheol;Lee, Se Jin;Lee, Mi Rong;Park, So Eun;Li, Dongwei;Baek, Sehyeon;Shin, Tae Young;Gasmi, Laila;Kim, Jae Su
    • Mycobiology
    • /
    • 제48권2호
    • /
    • pp.139-147
    • /
    • 2020
  • Root-feeding Scarabaeidae, particularly white grubs are considered among the most harmful coleopteran insect pests in turfgrass. In this work, sixteen entomopathogenic fungal species were assayed against flower chafer beetle,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and Metarhizium anisopliae JEF-314 showed high virulence. The control ability of the isolate JEF-314 has been in detail tested for a model insect flower chafer beetle. Further analyses showed insect stage-dependent virulence where the fungal virulence was the highest against smaller instar larvae. 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millet-based solid cultured granule was effective against the soil-dwelling larval stage. The isolate also showed a similar ability for a representative pest (Popillia spp.) in laboratory conditions. Our results clearly suggest a high potential of M. anisopliae JEF-314 to control the flower chafer beetle, possibly resulting in controlling of root-feeding white grubs in turfgrass. Based on the insect life cycle and susceptibility to the fungus, late spring and summer time would be the optimum time to apply JEF-314 granules for an effective control.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fficacy of the fungus under field conditions against the Scarabaeidae beetles might provide an efficient tool to control this beetle in an environment-friendly way.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모기 방제 (Mosquito Control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 최광식;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7-87
    • /
    • 2015
  • 곤충이 곰팡이병에 감염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고, 대부분은 이들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살충제 저항성이 문제가 되면서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모기 방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고, Beauveria bassiana, Metarhizium anisopliae, Lagenidium giganteum와 같은 병원성 곰팡이를 모기 방제에 사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 총설에서는 말라리아, 뎅기열, 사상충, 황열병 등을 옮기는 모기들의 방제에 사용되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정리하고 이들의 활용방안을 논하였다.

Chitinase을 생산하는 곤충병원미생물 Metarhizium anisopliae HY-2(KCTC 0156BP)의 토양해충 생물검정

  • 서은영;손광희;신동하;김기덕;박두상;박호용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469-472
    • /
    • 2002
  • 균체 생산성 실험과 chitinase 생산성 실험을 비교해 볼 때, chitinase만을 생산하는 조건 에서는 배지성분에 chitin을 첨가해 주는 것이 좋으나, 해충 방제용으로 살균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균체량과 chitinase의 생성량 및 산업적, 경제적 사용이 용이한 배지를 고려할 때에는 쌀겨와 밀기울이 첨가된 배지가 좋은 배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배지를 이용하였을 경우 균체는 1X$10^8$ cfu/g, chitinase는 370mU/g로 생산되었으며 생물검정결과 53-64%의 탁월한 살충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omyl-Resistant Mutants in an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 Kim Soon Kee;Shim Hee Jin;Roh Jong Yul;Jin Byung Rae;Boo Kyung Saeng;Je Yeo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2005
  • Benomyl-resistant mutants of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were isolated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se militants were obtained spontaneously or by UV irradiation in benomyl-treated media. Four spontaneous (S-2, S-11, S-18, S-19) and four UV-induced (UV-4, UV-5, UV-19, UV-24) mutants, which grow stably and normally were sel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idia or hyphal shape, conidia viability, mycelial biomass, or virulent to the diamondback moth were observed between the wild type and their mutants. But differently from the mycelial growth of other benomyl-resistant mutants which was slow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on a modified Czapek-Dox, SDAY, $4\%$ chitin, or $1\%$ skim milk medium, that in the spontaneous mutants, S-18 and S-19,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wild type. Especially, S-18 and S-19 grew well at benomyl concentrations up to 50 times or higher than that which inhibits wild type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18 and S-19 could potentially be used with the fungicide, benomyl.

이중 활성 곤충병원성 곰팡이 4균주에 대한 최적 배양 배지 선발 및 다양한 항균활성 평가 (Selection of Optimal Culture Medium for Four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with Dual Activity and Evaluation of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hytopathogens)

  • 윤휘건;곽원석;우수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3-344
    • /
    • 2018
  • 점박이응애와 복숭아혹진딧물 그리고 잿빛곰팡이병균에 대해 우수한 살충 및 항균활성을 지닌 4가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효율적인 배양 배지 선발 및 다른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하였다. 효율적인 배지 선발은 출아포자 생산량과 배양액의 항진균활성 검정을 통해 선발하였으며, 그 결과 Beauveria bassiana 2R-3-3-1, Metarhizium anisopliae 4-2, SD3의 경우 GY배지가, B. bassiana SD15의 경우에는 PDB 배지가 적절한 배지로 선발되었다. 다른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결과, 4개 균주 모두 Colletotrichum acutatum과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서는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나, Phytophthora capsici와 Colletotrichum fructicola에 대해서는 M. anisopliae SD3만 P. capsici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균주들의 활성은 미미하였다. Clavibacter michiganensissubsp. michiganensis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Metarhizium속의 2균주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Beauveria속의 2 균주들은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해충방제에 효과적인 곤충병원성 곰팡이가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방제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rrelation between pr1 and pr2 Gene Content and Virulence in Metarhizium anisopliae Strains

  • Rosas-Garcia, Ninfa M.;Avalos-de-Leon, Osvaldo;Villegas-Mendoza, Jesus M.;Mireles-Martinez, Maribel;Barboza-Corona, J.E.;Castaneda-Ramirez, J.C.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1호
    • /
    • pp.1495-1502
    • /
    • 2014
  • Metarhizium anisopliae is a widely studied model to understand the virulence factors that participate in pathogenicity. Proteases such as subtilisin-like enzymes (Pr1) and trypsin-like enzymes (Pr2)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for insect cuticle degradation. In four M. anisopliae strains (798, 6342, 6345, and 6347), the presence of pr1 and pr2 genes, as well as the enzymatic activity of these genes, was correlated with their virulence against two different insect pests. The 11 pr1 genes (A, B, C, D, E, F, G, H, I, J, and K) and pr2 gene were found in all strains. The activity of individual Pr1 and Pr2 proteases exhibited variation in time (24, 48, 72, and 96 h) an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tin as the inductor. The highest Pr1 enzymatic activity was shown by strain 798 at 48 h with chitin. The highest Pr2 enzymatic activity was exhibited by the 6342 and 6347 strains, both grown with chitin at 24 and 48 h, respectively. Highest mortality on S. exigua was caused by strain 6342 at 48 h, and strains 6342, 6345, and 6347 caused the highest mortality 7 days later. Mortality on Prosapia reached 30% without variation. The presence of subtilisin and trypsin genes and the activity of these proteases in M. anisopliae strains cannot be associated with the virulence against the two insect pests. Probably, subtilisin and trypsin enzyme production is not a vital factor for pathogenicity, but its contribution is important to the pathogenicity process.

The Biosynthesis Pathway of Swainsonine, a New Anticancer Drug from Three Endophytic Fungi

  • Ren, Zhenhui;Song, Runjie;Wang, Shuai;Quan, Haiyun;Yang, Lin;Sun, Lu;Zhao, Baoyu;Lu, Ha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1897-1906
    • /
    • 2017
  • Swainsonine (SW) is the principal toxic ingredient of locoweed plants that causes locoism characterized by a disorder of the nervous system. It has also received widespread attention in the medical field for its beneficial anticancer and antitumor activities. Endophytic fungi, Alternaria sect. Undifilum oxytropis isolated from locoweeds, the plant pathogen Slafractonia leguminicola, and the insect pathogen Metarhizium anisopliae, produce swainsonine. Acquired SW by biofermentation has a certain foreground and research value. This paper mainly summarizes the local a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thus far on the swainsonine biosynthesis pathway, and speculates on the possible regulatory enzymes involved in the synthesis pathway within these three fungi in order to provide a new reference for research on swainsonine biosynthesis by endophytic fungi.

골프장 잔디 해충과 천적의 종류 (Turfgrass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Golf Courses)

  • 추호렬;이동운;이상명;이태우;최우근;정영기;성영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1-179
    • /
    • 2000
  • 우리 나라 골프장의 잔디 가해 해충과 천적에 관한 조사에서 잔디를 가해하는 해충은 6목 10과 28종이 확인되었고, 잔디흑응애(Eriophydae zoysiae)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도 피해를 주고 있었다. 풍뎅이 유충인 굼벵이는 전 조사 골프장의 모든 코스에서 피해를 조고 있었으며, 검거세미나방이나 거세미나방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그리고 푸충나방류(Crambus sp.)와 깍지벌레류, 각다귀(Tipula sp.)도 잔디에 피해를 주고 있었다. 반면, 일본왕개미(Camponitus japonicus), 곰개비(Formica japonica), 고동털개미(Lasins japonicus)는 직접적인 잔디 피해보다는 간접적인 피해가 많았다. 즉, 잔디나 골프장 군데군데에 집을 만들거나 골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었다. 잔디 해충의 천적으로는 곤충병원성 선충과 곤충변원성 곰팡이 및 유화병균등의 곤충 병원미생물과 파리매와 같은 포식성 천적류, 그리고 굼벵이벌 등과 같은 기생성 곤충류가 채집되었다. 병원성 선충으로는 Heterorhabditidae과의 Heterorhabditis sp.와 Steinernematidae과의 Steinernema glaseri와 S. longicaudum이 굼벵이와 잔다밭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골프장에서 발견된 Heterorhabditia sp,는 동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 유충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와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 골프장에서 발견되 Heterorhabditis sp.는 등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뎅이 유층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아 등얼룩풍뎅이(Exomala or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관찰된 파리매 3종 중 파리매(Promachus yesonic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굼벵이벌(Tiphia sp.)은 주둥무늬차색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의 유충에서 확인되었는데 발견된 개체수는 많지 않았다. 식무 기생선충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matrella),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에서 발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