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phase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5초

가금류 정자 세포의 배수성 유기를 위한 세포 유전학적 연구 (A Cytogenetic Study on Induction of Diploid Spermatozoa in Poultry)

  • 김철욱;손시환;전익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96
  • 본 연구는 일본산 메추리(Japanese quail)에 대해 다배체의 유기를 목적으로 성숙된 수컷에 일정량의 분열 억제제를 투여하여, 정자 형성과정 중 이에 미치는 영향과 배수성 정자 세포들의 유기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25∼30주령된 메추리 수컷 50수를 공시하고 체중 100 g당 37 g의 colcemid를 3일간 연속복강 주사한 후 5일째, 10일째, I5일째 및 20일째 정소세포들의 감수분열 양상을 살펴보고자 각 정원세포들의 中期像, 제 1정모세포들의 중기상 및 제 2정모세포들의 중기상의 양상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lcemid 처리에 따른 전체 정소 세포 중 9.4%%가 배수성 세포로 유기된 반면, colcemid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2.3%만이 배수성 정소 세포를 나타내어 colcemid 처리에 따른 배수성 정자의 유기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olcemid 처리 후 10일째 11.7%의 다배수성 정자세포 유기율을 나타내어 처리 중 가장 높은 유기율을 보인 반면, 정원세포로 성숙되기 5일 이전의 대부분 원시 정세포들은 colcemid의 처리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금류에 있어 분열 억제제 투여에 의한 정자 세포의 배수성 유기는 정자 형성과정 개시 최소 10∼15일 이전의 원시 정세포에 주로 이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제1, 2감수 분열 중의 방추사의 억제로 인한 배수성의 유기보다는 정원세포들의 유사분열 중 방추사 형성의 억제에 보다 민감하게 작용하여 배수성 정모세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결 생쥐 난자에서의 calcium 전류 (Calcium current on cryopreservation in mouse oocytes)

  • 강다원;김은심;최창용;박재용;한재희;홍성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5-43
    • /
    • 2002
  • Cryopreservation is commonly used for an efficient utilization of semen, oocytes and embryos but has disadvantage in the survival, development of the post-thawed eggs. The high risk in the survival, development of eggs after thawing is thought to be caused by inappropriate internal regulation of $Ca^{2+}$ and/or formation of intracellular ice crystals. In this experiment, we tested whether the $Ca^{2+}$ current (iCa), a decisive factor to $Ca^{2+}$ entry, was altered in post-thawed oocytes by using whole cell voltage clamp technique. The quality and survival rates of the oocytes derived from both fresh and frozen groups were examined by morphology and FDA-test. Vitrified oocytes (VOs) were incubated for 4 hr after thawing and then donated to this experiment. Ethyleneglycol-ficoll-galactose (EFG) was used as a cryoprotectant for vitrification. The membrane potential was held at -80 mV and step depolarizations of 250 ms were applied from -50 mV to 50 mV in 10 mV increments. The survival rates showed a higher in VOs vitrified with EFG containing $Ca^{2+}$ than in VOs vitrified with EFG under the $Ca^{2+}$-free condition (82.0% vs 14%). In group with/without $Ca^{2+}$, the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P<0.01) difference. In the fresh metaphase II oocytes (FOs), current-voltage (I-V) relationship showed that iCa began to activate at -40 mV and reached its maximum at -10 mV. With same voltage pulses, inward currents were elicited in VOs. I-V relationships observed in VOs were similar to those in FOs. Time constants of activation and inactivation of the inward current shown in VOs were not different to those in FOs. This accordance in I-V relations and time constants in FOs with those in VOs indicates that the inward currents in FOs are unaltered by vitrification and thawing. Therefore, vitrification with EFG does not play as a factor to deteriorate $Ca^{2+}$ entry across the membrane of the oocytes.

Alachlor의 제초기구(除草機構)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Alachlor가 귀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Cell kinetics, 세포신장(細胞伸長) 및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f Mode of Action of Alachlor III. Effect of Alachlor on Cell Division, Cell Kinetics, Cell Elongation, and Cell Differentiation in Oat (Avena sativa L.))

  • 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2-109
    • /
    • 1992
  • 귀리에 alachlor 처리(處理)하고 생장(生長)의 요소(要素)인 세포(細胞)의 분열(分裂), 신장(伸長) 및 분화(分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Alachlor 처리시(處理時) 분열(分裂) 초기(初期)가 먼저 감소(減少)되면서 중기(中期), 후기(後期), 말기(末期)의 세포(細胞)들도 거의 일정(一定)하게 감소(減少)되는 현상(現象)을 보였으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분열억제(分裂抑制) 효과(效果)도 증가(增加)되었다. 2. Alachlor 처리(處理)에 의하여 세포(細胞) 분열(分裂) 과정중(過程中), $G_2$기(期)에서 분열기(分裂期)(M)로 진행(進行)하는 세포(細胞)는 8시간(時間)과 12시간(時間)사이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었으나, 표식(標識)된 간기(間期)($G_2$) 세포(細胞)들은 오히려 증가(增加)되는 현상(現象)을 보임으로써 alachlor은 $G_2$기(期)에서 M기(期)로 진행과정(進行過程)을 억제(抑制)시켰다. 3. 귀리 초엽의 세포신장(細胞伸長)은 alachlor $1{\times}10^{-5}$ M에서 12.1%, $1{\times}10^{-4}$ M에서 46.6% 억제(抑制)되였으며, 근단조직(根端組織)의 세포분열(細胞分裂)에 비하여 alachlor의 작용(作用)에 덜 민감(敏感)하였다. 4. 근단(根端) 조직(組織)은 제초제(除草劑) 처리시(處理時) 중심주(中心柱)가 횡(橫)으로 거대(據大)되어 나타났으며, 정단(頂端) 시원(始原) 세포군(細胞群)도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줄어 들었다.

  • PDF

N-acetyl-L-cystein, N-acetyl-L-cystein Amide, Glutathione 및 Cysteamine 항산화제가 소 체외수정란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tioxidants, N-acetyl-L-cystein, N-acetyl-L-cystein Amide, Glutathione or Cysteamine o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Oocytes)

  • 김민수;김찬란;김남태;전익수;김성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07
    • /
    • 2017
  • 소 난자의 체외 성숙 및 발달과정에서 항산화제의 첨가는 발생과정에 생성될 수 있는 ROS를 조절하여 체외발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 수정란의 성숙과정과 발생과정에서 ROS에 대한 방어 기작에 필요한 물질로 -SH기(thiol group)을 함유하고 있는 NAC, NACA, GSH 및 CYS를 첨가하여 COCs의 난자 성숙율과 체외 수정 후 수정란의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도축장 유래 난소의 성숙율은 항산화제 처리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p>0.05), 배반포 형성율은 0.1 mM CYS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32.3{\pm}5.0%$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p<0.05). 항산화제 0.3 mM NAC, 0.2 mM NACA 또는 0.5 mM GSH를 처리하는 실험군에서 배반포 형성율은 각각 $18.8{\pm}3.7%$, $21.2{\pm}3.9%$$26.5{\pm}5.0%$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항산화 물질인 NAC, NACA, GSH 및 CYS을 난자의 성숙 및 수정란 배양과정에 첨가하면 난자의 성숙에 영향이 없으나, CYS처리군이 배반포형성율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p<0.05).

핵형분석과 FISH 기술을 이용한 솔비나무와 다릅나무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Study of Maackia amurensis Rupr. & Maxim. and M. fauriei (Levl.) Takeda Using Karyotyping Analysis and the FISH Technique)

  • 김수영;김찬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3-198
    • /
    • 2009
  • 국내에 자생하는 Maackia속 2종(솔비나무, 다릅나무)의 염색체수 및 핵형을 분석하고 5S와 45S rDNAs를 이용한 bicolor FISH를 수행하였다. 솔비나무와 다릅나무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동일하게 2n = 2x = 18로 관찰되었고, 염색체의 길이는 $3.58{\sim}5.82{\mu}m$이였다. 솔비나무의 염색체 조성은 2쌍의 중부 염색체(염색체 1과 7번), 4쌍의 차중부 염색체(염색체 4, 6, 8, 9번), 그리고 3쌍의 차단부 염색체(염색체 2, 3, 5번)로 확인되었다. 다릅나무의 염색체는 4번이 차단부 염색체, 7번이 차중부 염색체로 솔비나무와 차이를 보였으나 다른 염색체의 동원체 위치는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5S와 45S rDNA를 이용한 FISH 결과, 45S rDNA 유전자는 솔비나무와 다릅나무에서 각각 1쌍으로 관찰되었고 2번 염색체의 2차 협착 부위에서 확인되었다. 5S rDNA유전자를 이용한 물리지도 작성에서는 두 종 사이를 구별할 수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솔비나무의 경우 염색체 7번과 8번의 동원체 부위에서 2쌍이 각각 관찰되었고, 다릅나무에서는 염색체 7번과 8번뿐만 아니라 3번과 4번 염색체에서도 관찰되어 모두 4쌍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5S rDNA유전자를 이용한 FISH방법을 통해 세포학적으로 두 종을 구분할 수 있었다.

헐떡이풀의 핵형분석과 Bicolor FISH를 이용한 물리적 지도 작성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DNAs Using Bicolor-FISH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 김수영;이중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46-450
    • /
    • 2007
  • 헐떡이풀은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에 분포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분포하는데, 천식 치료, 타박상 그리고 청각장애의 치료에 사용된다. 약용작물로써의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염색체 수를 제외한 다른 세포유전학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핵형분석 뿐만 아니라 bicolor FISH를 통한 5S 와 45S rDNA의 물리적 지도작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x=14로 염색체의 길이는 $1.66{\sim}3.50{\mu}m$ 이다. 또한 염색체의 구성은 4쌍의 차중부 염색체(염색체 1, 2, 3, 6)와 2쌍의 차단부 염색체(염색체 5, 7)그리고 1쌍의 단부 염색체(염색체 4)로 확인되었다. 또한 4번 염색체가 부수체 염색체로 관찰되었다. Bicolor-FISH를 통해 각각 1쌍의 5S와 45S rDNA 위치를 확인하였는데, 5S rDNA의 경우 염색체 3번의 동원체 부위에서 확인되었고, 45S rDNA는 염색체 4번의 단완 말단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Bicolor-FISH는 헐떡이풀 염색체상에 rDNA 유전자의 위치 확인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되었다.

제부라린이 생식세포분열 동안 동조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접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Zebularine on Chromosomal Association between Meiotic Homoeologous Chromosomes in Wheat Genetic Background (Triticum aestivum L.))

  • 조성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18-325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인공 염색체 절단의 유발원인 제부라린을 두 종류의 Leymus 염색체가 첨가된 이중 일가 외래 염색체 첨가 밀 계통의 생식세포 분열기에 처리함으로써 인공 염색체 절단이 상동성이 결여된 외래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조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밀의 유전적 배경에서 두 외래 염색체의 행동은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식세포분열 전기 초반에 인공 염색체 절단은 두 외래 염색체의 핵형 차이인 말단의 이질염색질을 제외한 전장에서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염색체 융합이 이루어져 이가 외래 염색체의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제부라린 처리에 의한 인공 염색체 절단이 체세포분열(mitosis) 염색체뿐만 아니라 생식세포분열 염색체에 염색체 접합과 유사한 현상을 유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동성을 엄격하게 조절하는 Ph1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밀의 유전적 배경에서 동조 또는 비상동 관계에 있는 염색체 사이에서 염색체 결합이 이룰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인공 염색체 절단은 두 외래 염색체의 소실과 일반적인 이가 염색체의 형태가 아닌 비정상적인 형태의 외래 이가 염색체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형태와 유사한 이가 외래 염색체가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식세포 분열의 사분자의 포자에 자매염색분체의 분포 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염색체 조합의 빈도를 나타내는 상동성 지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인공 염색체 절단에 의한 염색체 결합의 빈도와 발생부위에 대한 조절을 작물학적 관점에서 이용하려면 앞으로 지속적인 염색체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제부라린의 투여량, 처리시간 및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밀 유전 배경에서 호밀 B 염색체가 감수분열 염색체 접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ye B chromosome on Meiotic Chromosome Association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Genetic Background)

  • 조성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59-666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밀 첨가 계통의 생식세포분열시, 호밀 B 염색체가 염색체 접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밀 첨가 계통은 동조관계에 있는 Leymus mollis와 L. racemosus 염색체를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 밀의 유전적 배경에서 두 Leymus염색체의 이동은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호밀 B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밀 첨가 계통의 생식세포 제1중기 분열기에 두 Leymus 염색체의 대부분은 일가염색체를 보였다(98.1 ± 0.5%). 반면에 호밀 B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밀 첨가 계통에서 Leymus 이가염색체의 빈도(10.3 ± 0.2%)는 호밀 B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밀 첨가 계통의 Leymus이가염색체의 빈도(1.9 ± 0.5%)보다 높았다. 호밀 B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밀 첨가 계통에서는 비정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이가염색체가 관찰되었다. 반면, 비록 매우 낮은 빈도이지만 호밀 B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밀 첨가 계통에서는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이가염색체가 확인되었다. 호밀 B 염색체의 영향은 또한 보통밀과 L. racemosus염색체 사이의 이가염색체의 형성을 유도하였으며, 보통밀과 L. mollis 염색체 사이의 삼가염색체의 형성도 유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보통밀 염색체 사이에서 초과 교차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원, 막대, 그리고 후라이팬 모양의 일반적인 이가염색체의 형태가 아닌 막대모양이나 응축된 형태의 보통밀 이가염색체가 확인되었다.

Effects of FSH and LH on Maturation of Bovine Preantral Follicle

  • Kim, D. J.;H. J. Chung;S. J. Uhm;Lee, H. T.;K. S. Chu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30
    • /
    • 2001
  • The culture of preantral follicles has important biotechnological implications through its potential to produce the large quantity of oocytes for embryo production, transgenesis research, conservation of rare breed, and a potential source of ovarian genetic material.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s of in vitro culture for intact bovine preantral follicles; an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oocytes derived from the in vitro-grown preantral follicl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FSH and LH on these processes. Bovine preantral follicles (150 $\pm$ 1.2${\mu}{\textrm}{m}$), surrounded by theca cell, were isolated enzymetically and mechanically from ovarian cortical slides in Leibovitz L-15 medium containing 1 mg/$m\ell$ collagens and 0.2 mg/$m\ell$ DNase I and cultured for 25 days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ovine FSH and LH in $\alpha$MEM medium with insulin, transferrin, and selenite. The survival was tested by frypan Blue and Hematoxylin. The survival and growth rates of follicles were higher in FSH treatment groups than these in control (P<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H treatment groups and the control. In 25 days, the survival and growth rates of follicles in FSH and LH treatment group (50%, 300$\pm$1.0${\mu}{\textrm}{m}$) were higher than in FSH treatment group (40%, 244$\pm$0.5${\mu}{\textrm}{m}$) and the control group (25%, 160$\pm$ 1.0${\mu}{\textrm}{m}$). Fifty-five percent of healthy antral follicles were obtained, and 60% of the oocytes complete meiotic maturation to the metaphase II stage. Twenty-two percent of the mature oocytes underwent cleavage, and 9%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In this study, in vitro-grown oocytes (111 $\pm$ $1.5mutextrm{m}$), under our culture conditions, were not equivalent in size to the in vivo-grown oocytes (130$\pm$1.3${\mu}{\textrm}{m}$).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vine preantral follicles with intact theca cell can grow to the antral stage in 25days, and that oocytes from those follicles can acquire the meiotic competence and normally underg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However,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in vitro-grown oocytes is presumably not comparable to those of the in vivo counterparts.

  • PDF

소 수정란의 세포주기조절 핵이식에 의한 재구축배의 세포학적 특성 (Cytogenetic Properties of Bovine Reconstituted Embryos by Cell Cycle-Controlled Nuclear Transfer)

  • 정희태;박춘근;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1-278
    • /
    • 1999
  • 본 연구는 핵이식 기술에 의한 재구축 배의 작성과정에서 핵의 세포주기단계에 따른 재구축 배의 염색체의 핵상변화를 검토하고, 염색체의 핵상변화와 핵이식란의 체외발육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공핵란은 nocodazole 처리에 의해 분할구가 분열기에 정지되도록 한 후, 분열개시 1.5 시간 이내, 분열 후 3 시간째 핵 및 무처리 분할구 핵올 활성화 전 (metaphase-II기 : M II기 ), 후 (S 기)의 탈핵 미수정란 세포질에 이식하였다. MII기 수핵란에 핵이식 된 재구축 배의 극체상 방출, 미성숙 염색체응축, 염색질구조 변화 등과 같은 핵형 변화 형태 및 재구축 배의 발육능은 핵의 세포주기 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극체상 방출 유무에 따라서도 재구축 배의 발육율에 차이가 있었다. S기 수핵란에 핵이식 된 경우에는 이식된 핵의 형태변화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구축 배의 핵형 변화가 핵 및 세포질의 세포주기단계에 따라 다양하며, 이것이 핵이식 재구축 배의 발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