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h cre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4초

2차원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3차원 메시 생성 (3D Mesh Creation using 2D Delaunay Triangulation of 3D Point Clouds)

  • 최지훈;윤종현;박종승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1-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점집합으로부터 3차원 메시를 생성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3차원 삼각화 방법으로 3차원 딜로니 삼각화 기법이 있으나 물체의 표면만을 고려한 메시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계산량으로 물체의 표면 메시를 생성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물체의 각 영역을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해서 2차원 딜로니 삼각화를 적용하여 3차원 메시 구조를 얻는다. 3차원 점 집합에 대해 OBB(Oriented Bounding Box)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점 집합을 여러 분할 영역으로 나누고 각 부분 점 집합에 대해서 2차원 딜로니 삼각화를 실시한다. 각 2차원 삼각화 결과는 점전적으로 전체 메시에 병합된다. 또한 병합된 메시에서 잘못된 에지의 연결을 제거함으로써 객체의 삼각 분할 결과를 향상시킨다. 제안된 메시 생성 기법은 다양한 영상 기반 모델링 응용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무인항공사진측량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생성 및 비교 (Generation and Comparison of 3-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mmetry Software)

  • 양승룡;이학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27-439
    • /
    • 2019
  • 연구목적: 다양한 목적으로 생성되는 무인비행체 기반의 공간정보를 서로 다른 SW로 생성하고, 정사영상 및 DSM의 위치정확도 분석과 3D mesh의 텍스처 매핑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로 다른 두 개의 SW를 이용하여 동일한 무인항공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공간정보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공간정보 중 정사영상과 DSM은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 오차의 RMSE를 계산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정성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무인항공사진측량 SW의 공간정보 생성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SW로 생성된 정사영상 및 DSM의 위치정확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3D mesh의 텍스쳐 매핑에서 차이를 보였다. 3D mesh의 생성에는 무인항공사진측량 SW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무인비행체 기반의 공간분석을 위한 정사영상, DSM의 생성에는 SW에 따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D 가시화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SW에 따라 텍스처 매핑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암반절리와 시공단계를 고려한 지하 구조체의 해석

  • 김문겸;장정범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지반공학에서의 컴퓨터 활용 COMPUTER UTILIZATION IN GEOTECHNICAL ENGINEERING
    • /
    • pp.179-194
    • /
    • 1991
  • This paper explains outline of a behavior analysis program for underground structures, and its application to a tunnel problem. The program can deal with elasto-plastic behavior of medium and supporting structures, discontinuous behavior due to existing joint, creation and propagation of cracks. in-situ loading condition, and incremental behavior due to stepwise excavation, etc. The program also has additional capabilities such as graphic output of mesh, displacement pattern, stress condition, and safety factor contour, and automatic mesh generation during the excavation steps.

  • PDF

무선 메쉬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인 다중 홉 전달 기법 (An Effective Multi-hop Relay Algorithm in Wireless Mesh Network)

  • 김영안;박철현;홍충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0B호
    • /
    • pp.872-882
    • /
    • 2006
  •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기술은 유선과 비슷한 전송속도를 갖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문선 백본망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토폴로지는 메쉬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Ad-hoc네트워크와 유사란 점을 가지고 있지만, 운용목적과 내부동작에서 다르기 때문에 경로 설정 방법과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메트릭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루프가 없는 효율적인 다중 흡 전달을 위한 다중 경로생성 방법과 Hop-by-hop 라우팅기법을 기반으로 경로설정을 하고 물리적인 링크의 성능과 다중 홉 전달을 위한 메트릭(ETR : Expected Transmission Rate)을 제안한다.

비조직화된 점군으로부터 NURBS 곡면 모델의 생성 (NURBS Surface Reconstruction from an Unstructured Point Cloud)

  • 이일섭;김석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1564-1569
    • /
    • 2007
  • This study concerns an advanced NURBS surface reconstruc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NURBS surface model fitting to the unstructured point cloud measured from an arbitrary complex shape. The concept of generating a simple triangular mesh model was introduced to generate a quadrilateral mesh model well-representing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int cloud. The NURBS surface reconstruction processes required the use of the various methodologies such as QEM algorithm, merging scheme of pair-wise triangular mesh, creation algorithm of $G^1$ continuous tensor product NURBS surface patch, and so on.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NURBS surface reconstruction method were validated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geometrically and topologically complex shapes.

  • PDF

메쉬 간략화를 이용한 3차원 얼굴모델링 (3D Face Modeling Using Mesh Simplification)

  • 이현철;허기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69-76
    • /
    • 2003
  •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는 3차원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애니메이션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가 인간을 애니메이션 하는 것이다. 3차원 얼굴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은 주로 애니메이터에 의해 수작업으로 해당 프레임별로 작업을 진행하므로 많은 노력과 시간, 해당 장비와 3D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했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얼굴 이미지를 입력하여 쉽고 빠르게 특정얼굴에 근접한 3D 얼굴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3D 일반모델의 메쉬 데이터를 간략화 하는 기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 PDF

푸아송 디스크 샘플링을 적용한 포인트 클라우드의 메쉬화 : RTAB-Map과 VisualSFM 비교 (Creation of a Mesh by applying Poisson Disk Sampling to PointCloud : Comparison of RTAB-Map and VisualSFM)

  • 김소희;양유진;김동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93-2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에서 주로 적용되어 왔던 푸아송 디스크 샘플링(Poisson Disk Sampling)을 3차원 영상 모델링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샘플링 기법은 3차원 영상 센서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는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수집한 PointCloud가 특정 위치로 뭉쳐지는 클러스터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하게 할 뿐 아니라 영상의 노이즈도 제거한다. Intel의 라이다 센서 L515와 Apple의 태블릿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추출한 PointCloud를 Poisson Disk Sampling 과정을 거쳐 Mesh를 생성하고 이를 SLAM 기법으로 추출한 경우와 비교한다. PointCloud의 수를 줄였을 때 더 좋은 Mesh를 생성할 수 있다.

  • PDF

효율적 수치해석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그램 기반 해석 플랫폼 구축 및 사례 연구 (Construction of Open-source Program Platform for Efficient Numerical Analysis and Its Case Study)

  • 박찬희;김태현;박의섭;정용복;방은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6호
    • /
    • pp.509-5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지질구조를 반영한 실규모 수치해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탐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메쉬 생성, 해석수행, 결과분석을 위한 후처리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 해석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해석 플랫폼 구축을 위하여 연구자의 필요에 따른 코드 수정 및 다양한 수치해석 프로그램과 호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는오픈소스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먼저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한 탐사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모델을 획득한 후, 오픈소스 3차원 창작 소프트웨어인 Blender를 활용하여 도메인의 메쉬 밀도를 해석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하였다. 다음 단계로는 유한요소 메쉬 생성 프로그램인 Gmsh를 활용하여 도메인 내부에 사면체 기반의 메쉬를 생성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였다. Gmsh를 통해 획득된 메쉬 정보를 수치해석 프로그램에 활용하기 위해서 메쉬 생성 규약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Python을 통해 코드를 작성하여 수행하였다. 안정성 해석이 완료된 뒤에는 자료의 후처리 작업을 위해 시각화 및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ParaView를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화 자료를 생성하였다. 구성된 플랫폼의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드론 탐사자료를 바탕으로 생성한 실규모 독도 모델을 대상으로 예비 안정성 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예비해석을 통해 구축된 해석플랫폼이 향후 다양한 해석 과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트림된 NURBS 곡면의 효율적인 삼각화 알고리즘 (An Efficient Triangulation Algorithm for Trimmed NURBS Surfaces)

  • 정재호;박준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44-154
    • /
    • 2000
  •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btaining a triangular approximation of a trimmed NLRBS surface. Triangular approximation is used in the pre-processing step of many applications such as RP(Rapid Prototyping), NC(Numerical Control) and FEA(Finite Element Analysis), etc. The algorithm minimizes the number of triangular elements within tolerance and generates a valid triangular mesh for STL file and NC tool path generation. In the algorithm, a subdivision method is used. Since a patch is a basic element of triangular mesh creation, boundary curves of a patch are divided into line segments and the division of curves is applied for the interior of the surface. That is, boundary curves are subdivided into line segments and two end points of each line segment are propagated to the interior of the surface. For the case of a trimmed surface, triangulation is carried out using a model space information. The algorithm is superior because the number of elements can be controlled as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varies and it generates the triangular mesh in a trimmed region efficiently. To verify the efficiency, the algorithm was implemented and tested for several 3D objects bounded by NURBS surfaces.

  • PDF

Developing Smart Grids Based on GPRS and ZigBee Technologies Using Queueing Modeling-Based Optimization Algorithm

  • de Castro Souza, Gustavo Batista;Vieira, Flavio Henrique Teles;Lima, Claudio Ribeiro;de Deus, Getulio Antero Junior;de Castro, Marcelo Stehling;de Araujo, Sergio Granato;Vasques, Thiago Lara
    • ETRI Journal
    • /
    • 제38권1호
    • /
    • pp.41-51
    • /
    • 2016
  • Smart metering systems have become widespread around the world. RF mesh communication systems have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smarter and more reliable power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positioning GPRS concentrators to attain delay constraints for a ZigBee-based mesh network. The proposed algorithm determines the number and placement of concentrators using integer linear programming and a queueing model for the given mesh network. The solutions given by the proposed algorithm are validated by verify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ance through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