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sangial cell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Nitric Oxide: The Pathophysiological Roles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Circulatory System (순환계에서 Nitric Oxide의 생리-병리학적 역할과 그 임상적 의의)

  • Lee, K.Y.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3 no.2
    • /
    • pp.159-172
    • /
    • 1996
  • 대기오염물질이면서 동시에 생체내 화학반응의 산물이기도 한 nitric oxide(NO)는 그 생체내 분포가 광범위하고 생리적 역할이 다양하여, 최근의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크게 주목받는 몇가지 연구대상 중 하나이다. 세포에서의 NO 산생은 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촉매되는데, 이들은 brain form (bNOS, neuronal; nNOS, NOS I), inducible form (iNOS), 및 endothelial form(eNOS)로 구분되는데, 이중 bNOS(nNOS)와 eNOS는 inducible form에 대비되는 constitutive form(cNOS)에 해당하므로 각각 ncNOS 와 ecNOS로도 불리운다. NOS는 아미노산인 L-arginine을 산소와 결합시켜 L-citrulline으로 변환시키면서 NO를 유리하고, 이 NO는 세포내의 guanylate cyclase를 활성화하여 cyclic GMP를 생산하거나, superoxide(O2-) 및 수소이온과 차례로 결합하여 반응성이 매우 높은 수산화기(-OH)를 발생시켜 세포독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정상상태에서 뇌혈관내피세포의 ecNOS로 부터 유리된 NO는 혈관을 확장시켜 신경세포에 대한 산소공급을 원활히 유지해 주지만, 순환장애를 일으켰을 때는 뇌조직내의 iNOS로부터 대량의 NO가 유출되어 신경세포의 손상을 가져온다. 호흡기에서는 NO가 기도평활근을 이완시키고 폐혈류를 개선하므로, 미숙아나 성인의 호흡장애시에 소량의 NO를 흡입시키면 oxygenation을 호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기오염이나 흡연 등으로 대량의 NO를 흡입할 경우 치명적인 폐부종이나 methemoglobin혈종을 일으킬 수 있다. 순환계에서는 cNOS가 혈관을 확장시켜 조직의 혈류를 유지하는데 일익을 담당한다. 세균내 독소(lipopolysaccharide; LPS)나 각종 명역조절물질들이 혈관내피세포와 혈관평활근세포로 부터 과다한 NO를 유리시키면 혈압이 급격히 떨어져 순환허탈상태에 빠지게 된다. 심장에서는 관상혈관 내피세포의 eNOS가 심근의 혈류를 유지해 주지만 허혈이나 세균내독소 또는 면역조절물질 등에 의하여 심근세포나 침윤된 대식세포의 iNOS로 부터 과량의 NO가 유리되면 심근세포의 손상이 초래된다. 신장에서는 내피세포의 cNOS에 의하여 사구체여과가 조절되고 있는데, 세균내독소나 면역 조절물질 등에 의하여 사구체관막세포(mesangial cell)등의 iNOS로 부터 과량의 NO가 유리되면 신조직과 사구체의 손상을 초래한다. 위와 같이 대부분의 장기에서 ecNOS는 조직의 혈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iNOS는 애초 세균 등 침입자에 대한 세포독작용이 그 존재 목적이라고 풀이할 수 있겠으나 일종의 부작용으로 자체조직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NO와 관련된 각종 병변의 치료를 위해서는 NOS의 비선택성 억제제인 arginine 유도체 보다는 iNOS에 대한 선택적 억제제인 S-methylisothiourea(SMT), aminoethylisothiourea(AETU), aminoguanidine (AMG), agmatine, L-canavanin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1(TGF-b1) 등의 사용을 검토해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rine endothelin-1 as a Biomarker for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Urine endothelin-1의 소아 요로 감염 환아에서의 진단적 유용성)

  • Kee, Hyung Min;Yi, Dae Yong;Yun, Ki Wook;Lim, In Seok;Ha, Tae-Se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8 no.1
    • /
    • pp.36-41
    • /
    • 2014
  • Purpose: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are the most common source of bacterial infection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is important because of their association with renal scarring, which can lead to complications. Urine endothelin-1 (ET-1) is the major renal isoform produced and released by renal mesangial cells in response to glomerular inju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urinary levels of ET-1 can be used as a biomarker for UTI diagnosis. Method: We conducted a prospective study using medical records of 70 patients below the age of 18 years, who visited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12 to July 2013.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the UTI and control groups based on urine culture studies. The UTI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UTI groups using 99m-Technetium dimercaptosuccinic acid scintigraphy. Urine ET-1 was measured us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with 0.3 mL urine. Results: The UTI and control groups were comprised of 45 and 25 patients, respectively. Mean urine ET-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TI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1.41{\pm}0.35$ pg/mL vs. $0.33{\pm}0.07$ pg/mL, P =0.04).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the quantitative valu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UTI groups (P =0.55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urine ET-1 and serum C-reactive protein (Pearson correlation [R]=0.24), urine ET-1 and serum white blood cell count (R=0.19).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urine ET-1 can be used for early diagnosis of UTI in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