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iscal tear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7초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동반한 내측 측부인대 부분파열 환자의 한방 치료 효과: 증례보고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Medial Collateral Ligament Tear with Meniscal Tears : Report of 3 Cases)

  • 전용현;김두리;문희영;박지원;이윤하;채지원;최동주;최효정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100
    • /
    • 201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introduce 3 cas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both medial collateral ligament tear and meniscal tear that showed clinical improvement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 These patients received Korean herbal medicine, pharmacopuncture treatment, and acupuncture treatment. We assessed these cases by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Arthritis Index (WOMAC), and the European Quality of Life-5 Dimension Index (EQ-5D). Results :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most of the NRS, WOMAC, and EQ-5D scores showed improvement on every discharge date of these 3 cases. The NRS and WOMAC scores of all cases showed a decrease. The EQ-5D of all cases showed an increase. Conclusions : Through this research, we concluded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helpful in relieving pai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function of knee joint movement in patients with medial collateral ligament tear and meniscal tears.

소아에서 발생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의 봉합 나사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repair of medial meniscal root tear using suture anchor in adolescent - A case report -)

  • 강민수;김경택;최성종;박원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36
    • /
    • 2011
  •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 골 기시부의 파열은 주로 중년 이상의 나이에 특별한 외상력 없이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관절내 손상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1세 남아의 외상에 의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을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봉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발생한 독립된 2개의 반월상 연골 낭종 - 1예 보고 - (2 Separate Meniscal Cysts Arising from Tears of the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서무삼;박형택;김상효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4-217
    • /
    • 2005
  • 슬관절의 반월상 연골 낭종은 흔하지 않은 병소로 내측보다는 외측 반월상 연골에 더 흔하게 발생하며, 대개 반월상 연골의 수평파열과 동반되어 있다. 본 증례는 특별한 외상력 없이 내측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후 외측부에 종 파열 및 후각부의 횡파열과 동반된 독립된 2개의 반월상 연골 낭종을 가진 24세 남자 환자로, 관절경을 이용한 낭종 감압술과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치료하였다.

  • PDF

외측 반월상 연골 재이식술 후 발생한 양동이형 파열 - 증례 보고 - (A Bucket Handle Tear after Revisional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in Later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양재혁;김택선;박성범;윤정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6-59
    • /
    • 2012
  • 반월상 연골 이식술은 젊은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제거술을 받은 환자에서 권장할 만한 술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인하여 임상결과가 제한 받을 수 있다.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이식 연골의 파열이다. 술 후 양동이형 파열의 발생은 드물며, 반월상 재이식술 후 양동이형 파열은 더욱 보고가 드물다. 저자들은 외측 반월상 재 이식술 후 양동이형 파열을 경험하였으며, 후향적 조사상 양동이형 파열에 대해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재발 방지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슬관절 반월상 연골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niscal Cyst)

  • 배대경;윤경호;권오수;신동준;임양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20
    • /
    • 2002
  • 목적 : 슬관절에 반월상 연골 낭종에 대한 관절경적 감압술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시행한 절제술 또는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반월상 연골 낭종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19명, 1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5례, 여자가 14례였고 평균 연령은 38.9세(22세$\~$58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3개월$\~$36개월)이었다. 주된 증상은 슬관절의 동통, 압통, 종창이 각각 18례, 13례, 4례에서 보였으며, 7례에서 종물의 촉지가 가능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을 동반한 16례는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 또는 봉합술과 함께 슬관절 내로 낭종의 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낭종만 보였던 2례는 관절경적 낭종 감압술만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과 관혈적 낭종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평가는 수술 전후 증상의 소실여부, 슬관절의 운동범위, Tegner 활동도와 Lysholm score 및 낭종의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낭종의 위치는 외측이 12례$(64\%)$, 내측이 7례$(36\%)$였고 외측은 주로 전방에, 내측은 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17례$(89.5\%)$에서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동반되었는데 내측이 7례, 외측이 10례로, 2례는 반월상 연골 파열을 동반하지 않았다. 파열 양상은 수평 파열이 9례, 수평 및 판상 파열이 2례, 판상 파열이 1례, 양동이 손잡이 형 파열이 1례, 복합 파열이 4례였다. 전례에서 수술 후 동통의 소실과 Tegner 활동도는 수술 전 평균 3.3점에서 수술 후 5.5점으로,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68.5점에서 수술 후 93.4점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18개월(3개월$\~$36개월) 추시 상 낭종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반월상 연골 낭종의 12례$(64\%)$가 외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 PDF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관절강내 봉약침 치료 증례보고 4례 (The Effect of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on Meniscal Injury : Four Cases Report)

  • 김동은;유덕선;염승룡;권영달;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9-230
    • /
    • 2010
  • According to previous reports,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is very effective for synovitis, intra-articular lesions. In this article, we report 4 cases of well-treated meniscal tear with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We used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on meniscal tear diagnosed by MR imaging and prescribed herbal medication, physiotherapy if necessary. Outcomes were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Lysholm Knee Scoring Scale. Patients who are treated by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in reduction, improved range of motion and knee function. Further well-designed, controlled studies and more cases are needed to define the effect of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on knee.

FasT-Fix를 이용한 All-Inside 반월연골판 봉합술 (All-Inside Meniscal Repair Using FasT-Fix)

  • 정유훈;최남홍;김병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4-28
    • /
    • 2013
  • 목적: FasT-Fix (Smith & Nephew Endoscopy, Andover, Massachusetts, USA)를 이용하여 all-inside 방법으로 반월연골판을 봉합하는 방법은 흔히 시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수술 후 임상적 결과를 발표한 논문이 전무하다. 따라서 본 후향적 연구 논문의 목적은 FasT-Fix를 이용한 all-inside 봉합술로 반월연골판을 봉합한 후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내측 또는 외측 반월연골판 후각 파열이 동반되어 FasT-Fix를 이용하여 반월연골판 봉합술을 시행한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Lysholm 점수, Tegner 활동도를 이용하여 수술 후 상태를 평가하였다. 삼출이나 관절선의 압통이 없었고, McMurray 검사가 음성이며 어긋나는 느낌이 없는 경우에 봉합한 반월연골판이 치유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47.9 개월(40.0~61.0개월) 이었다. 추시간 평균 Lysholm 점수는 91.8 그리고 평균 Tegner 활동도는 5.6이었다. 봉합한 반월연골판은 임상적인 기준에 의해 20명(80%)에서 치유되었고, 5명(20%)에서 치유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론: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에서 FasT-Fix를 이용한 all-inside 반월연골판 봉합술은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퇴행성 반월상 연골판 파열 환자의 한의학적 치료 효과와 Kellgren-Lawrence-grade, Body Mass Index의 상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edical Treatment on Degenerative Meniscus Tear and Kellgren-Lawrence-grade, Body Mass Index)

  • 이기언;이건영;한시훈;김국범;김효준;장재원;장영우;조재흥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1-79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degenerative meniscal tear and the correlation among clinical effectiveness, body mass index (BMI) and Kellgren-Lawrence grade (KL-grade).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egenerative meniscal tear.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BMI, KL-grade and treated with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pharmacopunctur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Numeric Rating Scale (NRS),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WOMAC Index) and EuroQol-5 Dimension Index (EQ-5D Index). Results Both NRS and WOMAC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reatment (p<0.001). The EQ-5D for assessing quality of life showed further improvement (p<0.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BMI and NRS, EQ-5D. KL-grade was correlated with WOMAC.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 to the patient with degenerative meniscal tear may be effective as a conservative therap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전방 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의 파열부위 안정성에 따른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 in relation to stability of longitudinal meniscal tear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서승석;김창완;김진석;김전교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1-97
    • /
    • 2010
  • 목적: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의 치료에 있어 파열 부위 안정성에 따른 결과를 임상적 평가 및 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급성 전방 십자인대 파열 및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로 수술을 받은 환자 32명,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봉합술을 시행한 군을 제 1군,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을 제 2군, 파열부에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임상적 관찰을 한 군을 제 3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평가 및 2차 관절경 검사 소견을 이용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로 Lysh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주관적 검사는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KT-1000 관절계는 모든 군에서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2차 관절경 소견상 제 1군에서는 완전 치유 12례, 불완전 치유 4례, 치유 실패 1례였다. 제 2군은 절제면의 부분적 재생이 관찰되었으며, 제 3군에서는 완전 치유 4례, 치유 실패 9례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의 종파열 시 파열부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splaced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That Mimicked the Bucket-Handle Tear: a Case Report

  • Kwak, Min Jee;Kim, Sun Ki;Kim, Ki Jun;Lee, Bum-Sik;Kang, J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3호
    • /
    • pp.191-195
    • /
    • 2016
  •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ngenital meniscal anomalies, the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is extremely rare. The double-layered meniscus consists of both the upper additional and the lower normal meniscus. As the upper additional meniscus is mobile, it can be easily displaced, while the lower lateral meniscus is usually normal in shape and volume. A 42-year-old woman suffering from pain and locking of her left knee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xamination and an arthroscopic surgery. A rare meniscal abnormality was seen in her left knee, which presented as a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with displacement. It was remarkable that the upper additional meniscus was displaced over the intercondylar eminence of the tibia and it mimicked a bucket-handle tear. Even though it is ra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isplaced double-layered meniscu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bucket-handle tear. Here, we report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a displaced double-layered lateral meniscus, which was similar to the bucket-handle t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