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phor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서해남부해역 칠산도에서 채집된 민어과(농어목, 어상강) 5종 자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larvae for 5 species of the family Sciaenidae (Perciformes, Pisces) collected from Chilsan Island, southwestern sea of Korea)

  • 장서하;김진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2호
    • /
    • pp.134-148
    • /
    • 2021
  • During the ichthyoplankton survey around the Chilsan Island (previously known as the biggest spawning ground of the Sciaenidae)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from April to June in 2019 using ring nets, we collected a total of 12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family Sciaenidae. Using molecular methods, we identified five sciaenid species (Collichthys lucidus, Collichthys niveatus, Johnius grypotus, Nibea albiflora, and Pennahia argentata), and described and compared them on the basis of the preflexion larval stage. C. lucidus was well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occipital crests at preflexion stage. Although there were no occipital crests, preflexion larva of C. niveatus was distinguished by the absence of melanophore except for the upper part of the abdominal cavity. J. grypotus and N. albiflora were very similar morphologically, but were distinguished by myomere height (15.22-15.53% in J. grypotus vs. 11.66-12.78% in N. albiflora) in the percentage of notochord length, and eye diameter (32.58-33.37% in J. grypotus vs. 40.32-42.53% in N. albiflora) in the percentage of head length between specimens of similar size (J. grypotus: 3.22-3.23 mm, N. albiflora: 3.04-3.13 mm). P. argentata were distinguished by distribution of ventral caudal melanophore (one row of small spot in P. argentata vs. irregular patches on the central part of caudal in J. grypotus and N. albiflor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ies using more diverse species must be conducted for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rphogenesis of Sciaenida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goby-fry fish in Tomini Bay, Gorontalo, Indonesia

  • Femy M. Sahami;Sri Nuryatin Hamzah;Philippe Keith;Sitty Ainsyah Habibi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294-305
    • /
    • 2024
  • Tomini Bay in Gorontalo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for amphidromous goby-fry, a group of fish found in at least five estuaries in the area, namely Bone-Bolango, Paguyaman, Bilungala, Tombulilato, and Taludaa Estuaries. Preliminary results were limited to only two locations in estuarine waters, namely the Bone-Bolango and Paguyaman rivers. Further exploration of goby-fry species in various locations within Tomini Bay is essential to enhance knowledge about the abundance and aid conservation effort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goby-fry species and created their distribution map in the waters of Tomini Bay Gorontalo. The samples used were obtained from daily catches of fishermen in the five estuaries during the recruitment perio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22. These sample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specific melanophore patterns. Distinct groups with different melanophore patterns from those previously reported were identified as newly recorded species, photograph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ir morphology. Furthermore, two specimens from each newly recorded species underwent molecular identification using the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COI) gene for DNA amplification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method.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e existence of nongoby-fry species caught together with goby fry school. A total of 75,881 goby-fry and 1,687 nongoby-fry were successfully collected. Among the goby-fry species, 13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new records, namely Eleotris fusca (Forster, 1801), Sicyopterus microcephalus (Bleeker, 1855), and Sicyopus zosterophorus (Bleeker, 1856). This study also documented the existence of nongoby-fry species, namely Anguilla celebesensis (Kaup, 1856), Moringua microchir (Bleeker, 1853), and Microphis leiaspis (Bleeker, 1854). I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fish biodiversity in Tomini Bay.

서해안 대호만에 서식하는 빙어 Hypomesus nipponens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Hypomesus nipponensis (Pisces:Osmeridae) from Western Coastal, Daeho-man)

  • 박재민;유동재;유정남;임성율;김달영;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0-12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대호만에 서식하는 빙어를 대상으로 초기생활사 특징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빙어의 난은 원형으로 물에 가라앉는 성질을 가진 점착란이었다. 성숙란의 크기는 0.52~0.66 (평균 0.59±0.03, n=30) mm였다. 부화 시간은 수온 22~23℃에서 14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4.78~5.60 (평균 5.25±0.26, n=30) mm로 입과 항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았다. 부화 후 7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5.91~6.64 (6.32±0.21) mm로 입과 항문이 열렸고, 먹이활동을 시작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9.70~12.3(10.2±0.63) mm로 꼬리 끝 척추말단 부분이 위쪽으로 휘어지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42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4.1~18.8(16.9±1.44) mm로 꼬리 끝 척추말단 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56일째 전장 16.3~21.2(20.0±1.14) mm로 등 지느러미 10개, 뒷지느러미 16개, 배지느러미 7개, 꼬리지느러미 19개로 정수에 달하였다. 연구결과 부화 자어 시기 가슴지느러미 아래 반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있는 점, 전장 대비 난황의 위치가 다른 점, 후기자어 시기에는 미병부 등 쪽과 몸통 아래쪽에 흑색소포가 침착된 점, 머리와 등지느러미 시작점 사이 몸통에 흑색소포가 없는 점에서 구분되었다. 치어기에는 몸통 등 쪽에서 미병부까지 흑색소포가 1열로 침착된 점에서 근연종들과 구분할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of Albula sp. (Albulidae: Albuliformes) Leptocephalu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using Cytochrome b DNA Sequences

  • Kim, Byung-Jik;Kim, Sung;Seo, Hyun-Seok;Oh, Jin-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2호
    • /
    • pp.101-106
    • /
    • 2008
  • A single specimen of Albula leptocephalus (55.7 mm SL) wa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using an aquatic lamp.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ibbon-like body with a small head and a well-forked caudal fin. Although the general appearance was similar to the leptocephalus of A. vulpes including myomere counts and fin ray counts, the melanophore deposi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A. vulpes. This leptocephalus specimen was confirmed with A. forsteri using the cytochrome b mtDNA (Cytb) analysis. The genetic distance of Cytb between the present leptocephalus and A. forsteri is 0.006-0.038, which falls into the cutoff point separating Albula species into eight deep lineages including the four valid species. Its genetic characteristic have more similarities to those of Fiji than those of Hawaii and the Northern territory of Australia.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멜라닌 농축 호르몬 cDHA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Melanin Concentrating Hormone cDNA Gene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전정민;송영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2-448
    • /
    • 2003
  • Melanin concentrating hormone (MCH) regulating color change of fish skin was identified from brain cDNA librar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the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Olive flounder MCH gene consisted of 598 nucleotides encoding 150 amino acids. Olive flounder MCH protein revealed to contain signal peptide of 19 amino acid residues, pro-MCH of 131 amino acids being processed to biologically active and mature form of hormone with 25 amino acid residues at the carboxyl terminus. A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is revealed that Olive flounder MCH precursor had low sequence identity with other fish species and mammalian counterparts, while the amino acid sequences of mature hormone had a relatively high identity and more conserved.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olive flounder MCH precersor gene was expressed spectically only in the brain and not in other tissues.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갯물뱀(뱀장어목: 바다뱀과)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형태 및 분자동정 (Molecular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 Muraenichthys gymnopterus (Ophichth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us Collected on Jeju island, Korea)

  • 지환성;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07-512
    • /
    • 2012
  • One leptocephalus (TL 59.9 mm) from the family Ophichthid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was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Our ophichthid leptocephalus was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Muraenichthy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157 myomeres;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located a little in front of the anus; a distinct melanophore present on the opercle; and six gut swellings present. An analysis of 886 base pairs of the 12S rRNA mtDNA sequences showed that our leptocephalus must be Muraenichthys gymnopterus, because its sequences were concordant with those of an adult M. gymnopterus (d=0.001) and next to those of Muraenichthys sp. leptocephalus (d=0.034). Here, we are the first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 gymnopterus leptocephalus.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박충국;연인호;최낙현;허승준;한경호;이원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07-213
    • /
    • 2008
  • 고등어를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발생 및 자치어 발육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으로 유구는 1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경은 $0.94{\sim}1.02\;mm$(평균 $0.95{\pm}0.03\;mm$)였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20{\pm}0.5^{\circ}C$에서 51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52{\sim}3.0\;mm$(평균 $2.75{\pm}0.04\;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근절은 $28{\sim}31$개였고, 눈에는 흑색소포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3.12{\sim}3.63\;mm$(평균 $3.39{\pm}0.05\;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1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8.45{\sim}12.32\;mm$(평균 $10.85{\pm}4.36\;mm$)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25일째에는 $44.12{\sim}58.72\;mm$(평균 $55.95{\pm}6.74\;mm$) 외부 형태가 성어와 같은 치어기에 도달하였다.

  • PDF

수조(水槽)에서 사육(飼育)한 남해산(南海産) 쑤기미, Inimicus japonicus의 난발생(卵發生)과 부화자어(孵化仔魚)의 형태(形態)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of South Sea Devil Stinger Inimicus japonicus (Cuvier et Valenciennes) Reared in the Aquarium)

  • 명정구;김종만;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1-8
    • /
    • 1989
  • 1989년(年) 8월(月), 경남(慶南) 진해만(鎭海灣), 자란만(紫蘭灣)에서 채포(採捕)된 성숙한 친어(親魚)를 사용한 수조내(水槽內)에서의 쑤기미의 난발생(卵發生) 및 부화자어(孵化仔魚)의 형태(形態)에 대한 관찰(觀察)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정난(受精卵)은 직경이 1.2~1.3 mm인 분리부성난(分離浮性卵)으로, 유구(油球)가 없다. 수온(水溫) $24.9{\sim}26.5^{\circ}C$에서 E+26~29시간만에 부화하였다. 2. 부화직후(孵化直後)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2.47~3.10 mm였으며, 입과 항문(肛門)이 열리지 않으며, 몸 전체에 황색소포(黃色素胞)가 산재하여 있고, 난황(卵黃)을 위로하여 떠있다. 근절수(筋節數)는 13+16~17=29~30개였다. 3. 부화(孵化) 후(後) 2일째 전장(全長) 3.61~4.16 mm의 자어(仔魚)는 가슴지느러미가 부채형으로 크게 발달하여, 그 위에 3~4개의 커다란 흑색반점(黑色斑點)이 나타났다. 4. 부화(孵化) 3일째 전장(全長) 3.97~4.29 mm의 자어(仔魚)는 난황(卵黃)을 완전히 흡수하였으며, 가슴지느러미 줄기가 4~5개 발달하였다. 5. 부화(孵化) 6일째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4.07~5.46 mm 범위이며, 가슴지느러미에 11개의 줄기가 발달하였고, 흑색반점(黑色斑點)은 줄기끝부분에서 8~9개로 증가하였다.

  • PDF

북방산개구리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Cells in Rana temporaria dybowskii Guenther)

  • 김한화;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7-150
    • /
    • 1985
  • 북방산개구리 피부의 색소포(황색색소포, 홍색색소포 및 멜라닌색소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황색색소포 : 황색색소포는 많은 pterinosome과 소수의 carotenoid vesicle의 색소소기관으로 구성되었다. 그중 pterinosome은 소낭속의 내용물질에 따라 소낭속에 내용물질이 없고 뚜렷한 한계막만이 있는 형태인 제1형 pterinosome, 소낭속에 섬유물질이 산재해 있는 형태인 제2형 pterinosome, 소낭속에 소수의 lamellae 층을 형성하는 형태인 제3형 pterinosome 및 소낭속에 전자밀도가 높은 여러개의 동심원적 lamellae층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인 제4형 pterinosome이 관찰되었다. 이 pterinosome들 중 특히 제2형과 제3형 pterinosome은 전형적인 형으로 잘 발달되었다. 홍색색소포 : 홍색색소포는 기저막 아래에 있는 황색색소포와 진피내 멜라닌 색소포 사이에 위치하였다. 홍색색소포는 장방형 또는 볼록렌즈모양의 반사소판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 반사소판들은 일접하게 접촉하였고, 그들 사이에는 좁은 interspace로 구획되었다. 반사 소판이 없는 일부의 핵상부 세포질에는 endoplasmic reticulum과 소수의 mitochondria가 산재하였다. 멜라닌색소포 : 멜라닌색소포는 수많은 멜라닌과립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 멜라닌과립이 채워져 있는 멜라닌색소포의 수상돌기는 홍색색소포의 측면에 뻗어 있었고, 일부는 황색색소포와 홍색색소포 사이에서 나타났다. 표피 멜라닌색소포는 같은 전자밀도를 나타내는 멜라닌과립으로 채워져 있고, 소수의 멜라닌과립이 각질표면층에서 관찰되었다.

  • PDF

황보천에 서식하는 꾹저구 Gymnogobius urotaenia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of Development Eggs, Larvae and Juveniles Gymnogobius urotaenia in Hwangbocheon, Korea)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3-2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유입천인 황보천에 서식하는 꾹저구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관찰한 결과를 같은 망둑어과 어류들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2022년과 2023년 5월 2회에 걸쳐 황보천에서 바위 아래 산란된 수정란과 어미를 포획하였다. 산란량은 827~1,540개였고, 난은 장타원형으로 크기는 3.21×1.07 mm 였다. 연구실에서 관찰된 난발생 단계는 16세포기였고, 이후 193시간부터 부화가 시작되었다. 사육 수온 범위는 18.8~19.3 ℃였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3.84~4.33 (평균 4.10±0.17, n=30) mm로 난황을 갖고 있었고,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부화 6일째에는 전장 5.32~6.11(평균 5.67±0.25, n=30) 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먹이를 섭취하였으며, 꼬리지느러미에 기조가 발달하였다. 부화 후 15일째에는 전장 7.33~8.52(평균 7.81±0.46, n=30) mm로 척색 말단 끝부분이 45 °로 완전히 휘어져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몸 전체에는 흑색소포가 발달하였다. 부화 후 38일째에는 전장 22.1~26.1(23.8±1.36, n=30) mm로 지느러미 기조 수는 제1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11개, 뒷지느러미 11개, 배지느러미 12개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후기자어의 흑색소포는 몸통 절반과 꼬리 쪽 몸 전체 분포하는 점에서 다른 망둑어과 어류 후기자어들과 형태적인 구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