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esi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Agronomic features and yield components of sago palms grown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 Ehara, Hiroshi;Naito, Hitoshi;Mishima, Takashi;Toyoda, Yukio;Mizota, Chitoshi;Susanto, Slamet;Bintoro, M.H.;Pasolon, Yulius B.;Abbas, Barahima;Suwignyo, Rujito A.;Munandar, Munanda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0-360
    • /
    • 2017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dicating agronomic features and yield components (trunk length, trunk diameter, thickness of bark, pith density,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and starch concentration in pith) of sago palms (Metroxylon sagu Rottbøll) were compared between the 27 populations grown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West Sumatra, South Sumatra, West Java, Southeast Sulawesi, Ternate, Halmahera and Seram in Indonesia) and the 20 populations grown in Melanesia (West Papua in Indonesia, East Sepik and New Ireland island in Papua New Guinea). The average starch yield calculated based on the yield components was $310kg\;plant^{-1}$ and $244kg\;plant^{-1}$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nd Melanesia,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starch yield in Melanesia (CV: about 80%) was larger than that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CV: about 60%).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trunk diameter breast height and the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In contrast, the differences in trunk length and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mainly accounted for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in Melanesia. The sago palms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had a comparatively thick and short trunk and those in Melanesia had a comparatively thinner and longer trunk. However, the average pith dry-matter yield was almost same level as $400kg\;plant^{-1}$ in both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between the two areas wa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starch concentration in pith, 77% and 58%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respectively.

  • PDF

남태평양 지역연구에 필요한 자료 목록 (List of References for South Pacific Region Studies)

  • 박병권;권문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65-489
    • /
    • 2013
  • We collected references on South Pacific Studies from several resources: mainly internet resources and periodicals. Internet resources include associations, organizations and societies; cul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issues; government data; information resources; journals and news letters; libraries, archives, publishers; news sources; other sources; regional issues; selected full text documents and digital resources; and statistics. Periodicals include news and popular interest magazines; regional magazines and general interest publications; and scholarly and professional journals.

원거리 지진 주시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멜라네시아 지역의 맨틀 속도 구조 연구 (Teleseismic Travel Time Tomography for the Mantle Velocity Structure Beneath the Melanesian Region)

  • 이재형;장성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1호
    • /
    • pp.1-15
    • /
    • 2024
  • 서태평양 멜라네시아 지역에는 복잡한 판들의 지구조 운동이 발생하고 있고, 가장 거대한 해양 해대인 온통-자바 해대와 열점인 캐롤라인 제도가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복잡한 지구동역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해저 지진계와 육상 지진계에 기록된 원거리 지진으로부터 상대 주시를 획득하여 P파 및 S파 속도 모델 및 𝛿 (VP/VS) 모델을 계산했다. 그 결과 멜라네시아 지역의 섭입대에서 약 400km 깊이까지 강한 고속도 이상이 관찰됐고, 이는 판경계를 따라 섭입하는 솔로몬해판, 비스마르크판, 그리고 호주판의 모습으로 생각된다. 섭입대를 따라 양의 𝛿 (VP/VS) 이상값이 나타나는데, 이는 탈수 작용에 의한 부분 용융의 결과로 생각된다. 온통-자바 해대 하부 600km 깊이 아래에서 넓은 고속도 이상체가 관찰되며, 음의 𝛿 (VP/VS) 이상값을 보인다. 이는 25-45 Ma 시기에 섭입한 태평양판이 분리된 잔재로 판단되며, 오랜 기간 맨틀 전이대에 머물면서 잔류판의 최상부에 포함되어 있던 유체가 빠져나가면서 주변 맨틀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성이 높고 건조해짐으로 인해 강한 고속도 이상과 강한 음의 𝛿 (VP/VS) 이상값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캐롤라인 제도 하부에서는 강한 저속도 이상이 800km 깊이까지 관찰되며 맨틀 전이대에 위치한 태평양판 잔재 하부까지 연결되어 보인다. 이는 하부 맨틀에서 기인한 맨틀 플룸이 태평양판의 잔재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상승방향이 바뀌어 현재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맨틀플룸은 양의 𝛿 (VP/VS) 이상값을 가지는데 내포된 유체나 부분 용융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온통-자바 해대 하부의 두꺼운 암석권의 영향으로 해석되는 고속도 이상체가 300km 깊이까지 관찰되었으며 음의 𝛿 (VP/VS) 이상값을 보여주는데, 이는 암석권에 쌓인 용융 잔류물에 유체가 거의 남아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