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galopa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116초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8
    • /
    • 1970
  • 1970년 7월 11일에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인공 부화를 실시하여 조이야 유생으로부터 성체형 꽃게 새끼로 된 후 9회 탈피할 패까지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1. 어미 게의 갑폭(C)과 포란수(E)와의 관계는 E=27.9049C-281.815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체(W)과 포란수 (E)와는 E=0.5682W-116.4606의 관계식으로 표시되었다. 2. 조이야 유생은 수온 $21.4\~25.2^{\circ}C$ 범위에서 5회를 탈피하여 $13\~14$일만에 메갈로파 유생기로 변태하였고, 조이야 유생기의 1회 탈피 기간은 평군 $2\~$일이 소요되었다. 3. 메갈로파 유생의 배갑폭 평균 길이는 1.70mm였고, 배갑 후면에서부터 전두극 끝까지의 길이는 평균 2.78mm였으며 메갈로파 유생기에서 탈피하여 성체형 게로 되는 데까지는 수온 $25.3\~26.9^{\circ}C$범위에서 $5\~6$일이 소요되었다. 4. 최초의 성체형 꽃게 새끼로 변태한 것은 부화 후 18일째였고, 이 때의 평균 갑폭은 4.48mm, 평균 갑장은 2.62mm 였다. 5. 성체형으로 변태한 새끼 꽃게는 $4\~5$일만에 첫회의 탈피를 하였으며, 탈피 후의 평균 갑폭은 6.47mm, 평균 갑장은 4.66mm 였다. 6. 유생 사육은 염분 농도가 높은 실내 수조보다 낮은 야외 탱크가 효과적이었고, 유생 기간의 폐사율은 조이야 1기에서 2기로 탈피할때 가장 높았으며, 새끼 꽃게로 된 후 9회 탈피기까지의 잔존율은 $55\~65\%$였다. 7.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40일간의 경과 일순(D)에 대한 각 수조별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다. 갑폭(C)은 실내 수조에서 C=1.1250D+1.7227 야외 수조에서 C=1.3465D-0.2449 갑장(L)은 실내 수조에서 L=0.6654D+1.6712 야외 수조에서 L=0.7893D+0.6919 이상과 같이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W)은 야외 수조에서 $W=1.15e^{0.12423D}$, 실내 수조에서는 새끼 게 변태 후 9일부터 19일까지는 $W=6.759\times10^{-2}D^{1.2598}$이었고, 21일부터 40일 까지에서는 $W=4.136\times10^{-2}D^{1.6024}$ 등 의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8.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의 탈피 기간 중 탈피 회수(N)에 따른 갑폭(C)과 갑장(L) 및 체중(W)과의 성장 관계는 $C=5.2e^{0.28119N}$ $L=3.65e^{0.26372N}$ $W= 0.14e^{0.7037N}$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9.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 탈피까지의 갑장(L)에 대한 갑폭(C)과 체중(W)과의 상대 성장식은 갑장 2.62mm부터 27.17mm(변태 후 40일)까지는 L=1.6864C-1.0387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은 갑장 7.47mm부터 18.53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23일)는 $W=9.367\times10^{-5}C^{3.5567}$였고, 갑장 22.11mm부터 27.17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40일)는 $W=3.406\times10^{-5}C^{3.8571}$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 PDF

범게, Orithyia sinica (Linnaeus)의 성장과 탈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and Molting of the Tiger Crab, Orithyia sinica (Linnaeus))

  • 김용호;정상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3-108
    • /
    • 1990
  • 범게, Orithyia sinica(Linnaeus)의 유생을 Zoea 1기에서부터 Crab 13기까지 사육하여 생잔율, 탈피간격기간, 성장을 기별로 측정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탈피간격기간은 령기에 따라 증가하나 Crab 5기에서부터 성특징이 나타나는 시기전인 Crab 7기까지 감소하였다가, 성특징이 나타나는 시기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수온에 따른 탈피간격기 간의 변화 양상은 유사하나 실온의 경우 변동의 폭이 컸다. 2. 유생의 생잔율은 Megalopa기까지 $20^{\circ}C$구간에서 사육한 것이 $86.6\%$, 실온에서 사육한 것이 $80.0\%$였다. Crab의 생잔율은 $20^{\circ}C$의 경우 Crab 13기까지 부화후 약 540일간 사육한 것이 $45\%$, 실온의 경우($11.0\~27.7^{\circ}C$) Crab 12기까지 부화후 약 540일간 사육한 것이 $10\%$였다. 생잔율의 성별 차는 없었 다. 3. 유생기의 크기는 사육온도구간별 크기가 있어 실온 구간($21.0\~24.0^{\circ}C$)에서 사육한 Zoea 2, 3기유생은 $20^{\circ}C$구간에서 사육한 유생들 보다 $0.62\~4.03\%$ 작았다. 4. Crab의 갑폭, 체중은 사육 온도구간에 차가없이 1기에서 10기까지 동일하게 증가하고 11기부터는 $20^{\circ}C$에서 사육한 Crab들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체중의 증가 양상은 제9기에서 성장이 감소되었다가 10기에서부터 다시 증가한다. 5. 갑장으로 측정한 성장율은 Zoea 1, 2기에서 각각 $35.65\%,\;41.41\%$였으며 Zoea 2기의 성장률이 높았다. 6. 령기에 따른 성자율 값의 변화는 령기의 중가에 따라 감소 경향이 있으나 증감변동이 일정하지 않고 Crab 5기까지 감소하다가 Crab 6기 이후 약간 증가하였다가 Crab 10기 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Crab $1\~13$기까지의 평균 성장율은 갑장의 경우 $23.87\%$($18.00\~30.91\%$), 갑폭 $23.99\%$($17.82\~30.48\%$), 체중 $91.51\%$($58.86\~129.14\%$)이였으며 성장율은 사육 온도구간별 차는 없었다.

  • PDF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1876) 유생의 수온변화에 따른 탈피와 성장 (Molting and growth of the Larval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1876),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김용호;김성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422-435
    • /
    • 2017
  • Intermolt periods, growth rates, survival (%) and relative growth of the megalopa larvae of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1876) were studied up to the crab 7th stage for 160 days in the 3 different temperature groups in which each has 60 larvae. The higher the water temperature was the shorter the intermolt period was in each crab stage. In addition, a deviation of intermolt periods was shown as few as the water temperature gets higher. The intermolt period in the 7th crab stage was $29.8{\pm}3.26$ days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the room temperature, $45.2{\pm}3.89$ days at the temperature of $17^{\circ}C$, and $25.6{\pm}2.23$ days at the temperature of $27^{\circ}C$, respectively. The survival (%) of larvae of P. trituberculatus (the crab 7th stage) is the highest in the group at the room temperature: However, they showed 15% at the temperature of $27^{\circ}C$ and 10% at the temperature of $17^{\circ}C$. All the groups were shown the similar relative growth, bu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some comparison. The sizes (mean growth of carapace width) of the crabs in the group at the temperature of $27^{\circ}C$ reached 5.01~25.45 mm length (it is the longest among the groups) from the crab 1th to the crab 7th stage. However, the sizes (mean growth of carapace width) of room temperature were 4.99~22.26 mm and the size of crab in the group at the temperature of $17^{\circ}C$ reached 4.8~17.26 mm, The sizes (mean growth of carapace length) of the crabs in the group at temperature of $27^{\circ}C$ reached 2.88~13.56 mm, However, the size of the crab in the group at the room temperature showed 2.88~12.34 mm, while in the group at temperature of $17^{\circ}C$, their average growth of carapace length were 2.51~8.03 mm. The growth rates of larvae of P. trituberculatus (from the crab 1th to the crab 7th stage) were changed with the increase of the instar stage, however their changes showed irregular.

물맞이게속(갑각강: 십각목: 물맞이게과) 3종의 메갈로파 유생 (Megalopal stages of three Pugettia species (Crustacea : Decapoda : Maj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고현숙;황상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4호
    • /
    • pp.261-270
    • /
    • 1997
  • 실험실에서 물맞이게 속의 3종, 뿔물맞이게(Pugettia quadridens quadridens), P. marissinica, 중간뿔물맞이게(P. quadridens intermedia)로 부터 메갈로파 유생을 얻었다. 이들 3종의 메갈로파 유생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고 이미 보고된 Epialtinae아과 다른 종의 메갈로파 유생들과 그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P. marissinica는 2종, 중간뿔물맞이게 와 뿔물맞이게의 유생들과 그 특징에서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 서로 다른 종임을 알 수 있었으나, 중간뿔물맞이게 와 뿔물맞이겐느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중간뿔물맞이게를 종수준으로 간주한 Griffin과 Tranter(1986)의 제안보다 오히려 뿔물맞이게의 아종수준으로 간주한 Sakai(1938, 1976)의 제안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독도 근해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유생의 출현시기와 분포 (Larval Timing and Distribution of the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near Dokdo)

  • 이해원;박원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16-722
    • /
    • 2012
  • The larval occurrence of the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was investigated near Dokdo in the East Sea of Korea, and the larval timing of the genus Chionoecetes in world oceans was reviewed. C. japonicus larvae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12 stations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in 2011. A Bongo net with a 303 mesh was deployed with a double oblique tow. Larvae appeared from February to August, but no larvae were found in November. Zoea I occurred at nine stations with a few zoea II in February, and were found until August. The larval densities in February were high near the northern. In May, megalopa were found at eight stations with a few zoea II. No larvae were caught in November. The larval abundance in the research area peaked in February. Overall, the larval duration of the genus Chionoecetes in the world's oceans persisted for a long time, and Chionoecetes larvae occurred during the warm season in each area. The cold temperature at the sea bottom, where gravid females are found, may prolong larval production along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genus Chionoecetes.

한국 서해산 꽃게 유생 및 치해의 생존율 및 성장 (Survival rate and growth of larvae and early juveniles in the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reared in the laboratory)

  • 마채우;손대선;박원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5권4호
    • /
    • pp.251-259
    • /
    • 2009
  • Swimming crabs, Portunus trituberculatus(Miers) are commercially important off the coasts of Korea, Japan and China. Harvest of swimming crabs has been fluctuated along their distribution ranges. Fluctuations in the interannual harvest of swimming crabs may be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 during the larval period. The survival rates, intermolt periods, and growth of larval swimming crabs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Larval swimming crabs are released and undergo development from April to August off the western coast of Korea in the Yellow Sea. Sea surface temperatures off the 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he larval season were used for the laboratory experiments, and ranged from 22 to 26${^{\circ}C}$. Larvae were individually cultur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22${^{\circ}C}$, 24${^{\circ}C}$, 26${^{\circ}C}$, and 28${^{\circ}C}$. Zoea molted to megalopa at all temperatures and developed to the first crab stage at 24${^{\circ}C}$, 26${^{\circ}C}$, and 28${^{\circ}C}$. Survival rates from zoea I to the first crab stag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Intermolt period and the growth rate of the mean carapace length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Our research helps understand the changes in survival rate and growth of larval swimming crabs resulting from changing oceanic temperatures. Further, our study suggests that the fluctuations in fishery harvest of swimming crabs off the coast of Korea may be related to changes in larval survival affected by changing ocean conditions.

애기비단게(Acmaeopleura parvula Stimpson)의 유생발생 (The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Brachyura, Graps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KIM Chang-Hyun;JANG In-Kwo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3-560
    • /
    • 1987
  • 애기비란게(Acmaeopleura parvula Stimpson)의 유생을 부화에서부터 제1해기까지 12가지의 온도-염도 조건에서 사육하고 각 유생기의 형태적 특성을 기술${\cdot}$도시하였다. 이 종은 5기(가끔 6기가 출현한)의 zoea와 1기의 megalopa 유생을 거쳐 제1해기로 변태하였다. 제1해기까지의 발생기간은 $25^{\circ}C$에서 22-23일, $20^{\circ}C$에서 34-37일, $15^{\circ}C$에서는 50-51일이 소요되었으며, 간기인 6기 zoea는 $15^{\circ}C$에서만 출현하였다. 애기비단게의 유생은 전 zoea기에 걸쳐 갑각의 측극을 결여하고 있는 점에서 참게아과내의 다른 종의 유생들과 구분될 수 있었으며, 납작게 휴생과는 형태적으로 매우 밀접한 유연관계를 보여주었다. 그 밖의 부속지의 특징들이 같은 아과내에 보고된 12종의 유생들과 비교되었다.

  • PDF

한국 남부 해역에 출현하는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and Crab Ovalipes punctatus Larva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이현규;지환성;이승종;최윤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58-568
    • /
    • 2023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sand crab Ovalipes punctatus larvae was investigated in the Korean waters in 2019. Sea surface temperature (SST) was the lowest in February and highest in September. Sea surface salinity (SSS) was the lowest in September and highest in March. Further, sea surface chlorophyll a (SSC)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Larvae were distributed in the South Sea and coastal area of Jeju Island from April to June, and the abundance was the highest in May.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suggested that larval groups showed a tendency to be dispersed over a wider area as the larvae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in their swimming abilit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larval density suggested that larvae appeared in the SST range 11.8-20.9℃ and SSS range 31.5-35.3 psu. The Megalopal stage appeared in a wider range of SST and SSS than other larval stages, possibly due to the increased environmental tolerance before settlement. Results of redundancy analysis (RDA)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arval density by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ed that S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SSC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later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