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Device Management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New Quarantine System in the COVID-19 Era

  • Tae Gyu, Yu;Hwa Ju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275-280
    • /
    • 2023
  • Currently, the cumulative number of confirmed cases from the coronavirus in Korea is 30.17 million,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deaths also reaches 33,444 (as of January 31, 2023).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stablishment of quarantine systems in major domestic cities a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VID-19 and discuss policy direction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quarantine system in the future. Among them, 16 cities in Korea with a relatively weak quarantine infrastructure were compared wit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upper-level hospitals", "number of urban populations", "number of infected", and "number of deaths", and ultimately the results of quarantine for each local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average population of 16 cities is 0.792 million, and the average number of infected people is 0.458 million, and the average cumulative infection rate is 57.8%. Seven cities exceed the average cumulative infection rate: Suwon (61.6%), Yongin (59.1%), Seongnam (61.8%), Hwaseong (65.6%), Anyang (60.7%), Cheonan (62.9%), and Jeonju (62.9%). In addition,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excellent treatment facilities in the city (ave=0.0129), the ratio of "accumulated deaths" (ave=0.11%) was high in Changwon (0.12%/0.0193), Ansan (0.12%/0.0138), Cheongju (0.11%/0.0174), and the ratio of "accumulative deaths" was low (0.09%) despite the construction of relatively poor treatment facilit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a paradigm shift in the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in major cities in Korea after post-COVID-19.

IoB 환경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설계 (Designing a Healthcare Service Model for IoB Environments)

  • 정윤수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1권1호
    • /
    • pp.15-20
    • /
    • 2022
  • 최근 헬스케어 분야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 5G 환경에서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행동인터넷(IoB, Internet of Behavior) 환경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딥러닝을 통해 분석한 후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휴대용 의료 장비에 부착된 통신 장비를 통해 전달되며, 사용자 인증은 부착된 IoB 장치에 사전 입력된 정보를 통해 수행된다. 기존 IoT 헬스케어 서비스와의 차별점은 사용자의 습관 및 행동 패턴을 분석해서 디지털 데이터화 하는 점과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헬스케어 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용자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비만치료기 개발에 따른 저준위레이저에 관한 연구 (Study on low-level laser 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obesity development)

  • 이상식;김준태;정진형;김남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2-89
    • /
    • 2016
  • 경제성장과 더불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여 '아름답고 건강하게 사는 욕구'와, '항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진됨에 따라 미학 산업이 유망사업으로 부각되어 스킨케어 시장을 크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병원이나 전문 관리업체의 관리를 받기위해서는 시간적, 공간적, 비용적 제약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업체들이 홈 케어 방면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세계적인 추세로 개인용 스킨케어 시장이 활성화 되었으며, 국내는 경기침체로 인한 저비용, 개인용 시장이 활성화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정용 스킨케어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용 스킨케어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저준위 레이저를 개발하고 이를 피부 미용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피부에 저준위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모공을 확장시켜 피부의 진피층까지 해당 앰플을 침투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하였으며, 의료용 저준위 레이저와의 비교를 통하여 안정성 및 성능의 효율성 유무를 판단하고 상용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실시간 뎅기열 관리를 위한 관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Control & Management System with In-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 for Dengue Fever)

  • 안창선;박용호;문정대;박종찬;서영곤;손유락;최윤종;하양화;정봉수;김영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2호
    • /
    • pp.77-84
    • /
    • 2023
  • 뎅기열 발병은 전 세계 인구의 약 1/3이 거주하고 있는 열대, 아열대 기후에 집중되며, 우리나라도 아열대 기후로 바꾸고 있어 뎅기열 발병에 취약해지고 있다. 뎅기열은 감염병 관리 차원에서 진단 이력 관리가 중요하다. 감염병 이력에 따라서 지역별, 연령별, 남녀비율 등에 따라서 개개인의 치료 방법과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뎅기열 관제시스템을 제안하며, 이러한 시스템은 뎅기열의 발병에 대한 체외진단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집계방식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뎅기열 관리를 위한 관제시스템 구성으로 형광면역진단 키트를 이용한 뎅기열 체외진단기기와 실시간 뎅기열 관제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으로 개발된 뎅기열 관제시스템은 향후 정부의 감염병 통합정보와 결합되어 다양한 감염병 관리 및 정책 활용을 위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MC G-Box를 이용한 영상유도장치의 효율적인 정도관리 (The effective quality assurance for image guided device using the AMC G-Box)

  • 김정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9-206
    • /
    • 2014
  • 목 적 : 최근 영상유도 방사선치료의 급증에 따라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를 철저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영상유도 방사선치료는 장치의 정확성을 기본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도관리가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본원에서는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를 기존의 팬텀(Phantom)보다 효율적인 팬텀을 자체 제작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도관리를 이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 항목으로 매우 중요한 5가지를 설정하고, 그 항목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도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팬텀(AMC G-Box)을 자체 제작하였다. 정도관리 항목은 Iso-center와 영상유도장치의 중심 일치성, 구현된 영상의 실측 정확성, 4 방향의 중심일치성, 영상유도 이동의 정확성 및 CBCT(Cone Beam CT)에서 구현된 HU(Hounsfield Unit)의 재현성으로 설정하였다. 이 항목에 대하여 $10cm{\time}10cm{\time}10cm$의 정사각형 팬텀을 1 cm두께의 아크릴로 제작하였으며 CBCT HU을 측정하기 위해 팬텀안에 각각 밀도가 다른 3개의 물질을 삽입하였다. 팬텀에는 중심과 일정한 위치를 가리키는 표식을 만들어서 중심과 일치성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기존 각각의 팬텀을 이용한 정도관리를 실시하고, 새로 제작된 AMC G-Box로 실시한 후 그 결과 값을 비교하고 소요되는 시간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치료기는 Varian사의 4개의 모델이고, 1주 간격으로 2회 측정하였다. 결 과 : 완성된 AMC G-Box를 이용한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를 시행하였을 때, 기존 개별로 구성된 팬텀을 이용한 정도관리 결과를 보았을 때, $0.2mm{\pm}0.1$이내에서 결과 값이 같았다. 또한 기존의 방법일 경우 최소 30분에서 45분이 소요되었으나, AMC G-Box를 이용하였을 때는 15분~20분이 소요되어 50%이상 시간을 감소하였다. 결 론 : 영상유도장치는 사용기간이 지남에 따라 일치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관련된 정도관리를 주기적으로 철저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일치성 검사는 매일 점검해야하는 항목이다. 이러한 정도관리를 AMC G-Box를 이용할 경우 정확한 정도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장치와 환자 치료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RFID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m-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An Efficient m-Healthcare Service Model using RFID Technique)

  • 정윤수;김용태;박길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49-156
    • /
    • 2015
  •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고혈압, 심장병, 뇌출혈, 암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병원에서는 환자 치료에 앞서 환자들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많은 병원 행정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체내삽입장치를 부착한 환자를 대상으로 체내삽입장치에 RFID 칩을 이식하여 환자가 병원에 외래왔을 경우 RFID 리더를 통해 환자를 자동인식하여 병원 행정업무 처리를 간소화함으로써 환자가 불편없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m-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모델은 응급상황의 환자가 환자의 질병 종류 및 상태를 의료 담당자에게 알려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환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담당자의 진료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기존 의료 시스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실험결과, 서비스 지연시간, 업무 효율성, 환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 등에서 기존 의료 시스템과 비교 평가한 결과, 제안 모델은 기존 모델보다 서비스 지연시간은 평균 16.5% 향상되었고, 업무 효율성은 27% 높았으며, 환자의 서비스 만족도는 평균 22.4% 향상되었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의료보험 진료비청구 삭감분석시스템 개발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Data-mining Based Prototype for Hospital Bill Claim Reduction System)

  • 유상진;박문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275-295
    • /
    • 2005
  • 경제의 세계화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초래된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의료기관들에게도 경쟁력강화를 위한 변신을 강요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의료기관들은 선진 의료기술의 확보,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제고와 함께 경영의 효율성 증대라는 세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들이 당면하고 있는 이러한 세가지 과제 중 병원의 경영효율성 증대를 위한 한가지 대안으로 진료비 청구삭감의 빈도 및 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해법의 마련이 시도되었다. 진료비청구삭감이란 의료기관들이 환자들에 대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진료비 중 의료보험으로 인해 환자들이 감면 받은 진료비를 건강보험심사원에 청구하면, 심사원이 의료기관의 청구내역의 적정여부를 심사하여 적정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청구금액을 삭감하는 제도를 이른다. 청구금액에 삭감이 발생하면 해당 의료기관의 수입이 감소하는 것은 물론 원인분석이나 재청구 작업등에 비용과 인력이 이중으로 투입되게 되어 의료기관의 경영에 부담을 주게 되고, 이러한 상황이 빈발하게 되면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환자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신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진료비 청구삭감분석시스템에 의한 사전대비의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료비 청구삭감분석을 위한 프로토타입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프로토타입은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연관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이렇게 개발된 프로토타입을 D의료원에서 10개월간 발생한 실제 진료데이타를 사용하여 성능을 시험하였다.

스마트 밴드와 앱을 이용한 혈당 측정 및 관리 시스템 (Blood Glucose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and and an App)

  • 전영준;박유진;강순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371-378
    • /
    • 2017
  • 현대 사회는 고령층 인구의 확대와 당뇨병 발병률의 증가에 따라 당뇨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다. 특히 당뇨 환자는 갑작스런 저혈당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자가 혈당측정기는 휴대의 불편함과 값 관리의 어려움을 동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혈당측정시스템은 센서 형태나 스마트기기와 연동이 되는 형태로 연구되고 있으나 상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혈당측정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밴드이다. 사용자는 앱에서 식전/식후와 같은 혈당을 측정해야 하는 일정을 입력하면 밴드에서 알람을 받을 수 있다. 밴드에서는 언제든지 혈당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값은 식전/식후와 같은 값과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앱으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관리, 진단 및 예방에 도움을 준다. 본 시스템은 의료기기인증이 된 2개의 제품과 성능평가를 진행하여 혈당 측정값도 더 정확함을 확인했다.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국가 공공(公共)백신 연구개발 정책수립 기초조사 (A Delphi Study on National Public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Policy in Korea)

  • 이소민;여상구;강신정;한순영;이상원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0-148
    • /
    • 2015
  • Vaccination is the most powerful and useful prepara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However, developing vaccines costs a lot and requires extensive long-term effor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research and develop vaccines with a national-level policy. To greatly enhance the success rate of vaccine development, the policy should be set up considering priorities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the importance for public health, the urgency of research. The Delphi technique was utilized to draft this survey, through a brainstorming stage, then two inquiries, and finally the final panel meeting where unresolved items were discussed, to draw the conclusion. Among the results, firstly, the highest ranked item on centralized fields for vaccine development by the Ministry of Health was 'self-sufficiency of vaccines.' Secondly, 'emerging infectious disease' was most highly ranked in prioritized fields of vaccine development and research. Thirdly, for the vaccine that needs to be improved and developed further by the government to improve its efficacy and safety, BCG (Bacille de Calmette) for tuberculosis was ranked the highest on both types (intradermal and subcutaneous injection) from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me (NIP) and non-NIP. As for the high risk pathogens, 'anthrax' and 'smallpox' were first and second, consecutively. Lastly, 'development and control of vaccine candidates' was ranked the highest for the area in need for technique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domestic vaccine's research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ut to good use as basic data for the national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olicy of the country. This study was first step and mo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final decision of the national vaccine R&D priority.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한 심정지 환자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diac Arrest Support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 장진수;이서준;이광인;이태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227-238
    • /
    • 2017
  • 급성 심정지는 갑작스러운 심장 기능의 상실로 인하여 수 분 안에 뇌를 비롯하여 온 몸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사망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중증응급질환이다. 특히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병원외 심정지 환자는 생존율이 매우 낮다. 그 이유는 갑작스런 발병으로 인해 주변사람들이 심정지 환자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식한다 하더라도 전문 의료지식이 없어 정확한 응급조치를 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기존의 심정지 관련 연구는 대부분 심정지 발생 후의 치료법 방안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이는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어려워 생존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급성 심정지 환자를 위한 알림, 사전예방, 응급조치 등의 기능을 갖춘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급성 심정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설사 발병한다고 하더라도 주변사람에게 신속하게 알려 최대한 골든타임(4분)을 지킬 수 있으며, 1차 발견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어 생존율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