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ement vibration wavefor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중첩모델링자료를 활용한 발파 동해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asting Dynamic Analysis Using Superposition Modeling Data)

  • 박지우;강추원;고진석;장호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4호
    • /
    • pp.280-288
    • /
    • 2008
  • 발파진동은 암반 및 인근 구조물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전 발파진동의 예측과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 발파진동 영향평가를 위하여 시추공이나 시험발파를 통해 획득한 실측진동파형을 이용한 동적수치해석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추공 발파 진동파형은 실제 발파현장에서 측정된 진동파형과 진동수준이나 진동지속시간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단일공 파형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공 파형의 중첩모델링을 통해 발파조건 변화에 따른 진동파형을 획득하고 이 파형을 이용한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셀프 센싱을 이용한 피에조 잉크젯의 파형 설계 (Waveform Design for Piezo Inkjet via Self- sensing Measurement)

  • 김우식;권계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333-341
    • /
    • 2007
  • Waveform design method for inkjet printing has been proposed tv pressure wave measurement. The pressure wane inside the inkjet dispenser can be effectively measured by current measurement due to self-sensing capability of PZT. The pressure wave measured from current was verified by commercially availablelaser vibrometer. In order to obtain high speed inkjet droplets, two pulse waveform was designed such that the pressure wane after droplet formation can be minimized.

피에조 잉크젯의 셀프 센싱 검출 및 응용 (Self-sensing measurement of piezo inkjet and its Applications)

  • 권계시;김우식;김상일;신승주;김성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66-372
    • /
    • 2007
  • Self-sensing measurement of piezo inkjet and its application are discussed. The pressure wave inside the inkjet dispenser was measured by current measurement due to self-sensing capability of PZT. The pressure wave measured from current was verified by commercially available laser vibrometer. Here, two applications using self-sensing signal were discussed: waveform design for high speed jetting and condition monitoring. For waveform design, two pulse waveform was designed based on self-sensing signal such that the pressure wave after droplet formation can be minimized. For condition monitoring, self-sensing signal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detecting air bubble trapped in inkjet printhead.

  • PDF

기계식 해체 공법을 적용한 슬래브 해체 시 발생하는 진동 해석 연구 (A Study on Vibration Analysis During the Slab Dismantling Using the Mechanical Dismantling Method)

  • 노유송;석철기;박훈
    • 화약ㆍ발파
    • /
    • 제39권4호
    • /
    • pp.1-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계식 해체공법을 적용한 슬래브 해체 시 발생하는 진동을 분석하기 위해 진동 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진동 자료는 부착장치에 따라 구별하여 파형 및 우세주파수 분석을 수행하였고, 작업위치와 계측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부착 장치 별 파형분석 결과 장비 작업에 의한 진동 파형의 위상 변화는 거의 없고 진동속도의 크기인 진폭의 변화만 일어났으며, 주파수 분석 결과 압쇄기를 사용한 경우 브레이커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주파수 대역이 낮으며, 해체 대상 건축물의 고유 진동수와 주파수 대역이 근접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작업 위치와 계측위치의 이격거리는 상호 간의 직선거리가 아닌 실제 건축물을 따라 진동이 전파하는 경로로 평가해야 높은 상관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파형합성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A Development of Waveform Composition Program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on Site)

  • 윤지선;우택규;배상훈
    • 화약ㆍ발파
    • /
    • 제27권1호
    • /
    • pp.38-46
    • /
    • 2009
  • 최근 진동 소음을 저감하는 공법으로 초시의 정확성과 초시부여의 자율성을 가진 전자뇌관을 이용하는 공법(OBM ; Orechestra Blasting)이 소개되었다. 파형합성프로그램은 전자뇌관의 지연초시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초시를 이용하여 실 발파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수행, 최적초시 상태의 진동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형합성프로그램을 통해 진동을 제어하는 최적초시를 얻고 실제 발파작업 시의 진동치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실측진동파형을 이용한 석회석 갱내채광장의 안정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Limestone Openings using the Measurement Vibration Waveform)

  • 김병렬;이승중;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5호
    • /
    • pp.457-4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갱내채광장의 발파현상을 보다 현실적으로 수치해석상에서 반영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발파를 통해 획득한 발파진동 파형을 발파지점의 진동속도로 변환하여 이를 동적수치해석의 입력 자료로 직접 활용하였다. 석회석 갱내채광장의 지질특성과 채광단계를 반영한 수치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석회석 갱내광산의 발파작업이 채광장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와 현장에서 계측된 발파진동의 비교를 통하여 실측발파진동의 적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연속되는 채광작업은 응력의 교란에 의한 천반붕락 및 채굴공동 주변의 활동성 파괴영역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부터 연구대상 광산에서의 안정적인 채광활동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강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측진동파형을 이용한 발파 동해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asting Dynamic Analysis using the Measurement Vibration Waveform)

  • 최성웅;박의섭;선우춘;정소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2호
    • /
    • pp.108-120
    • /
    • 2004
  • 발파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발파진동이 암반 및 주위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동하중해석이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하중 해석은 발파압력이력곡선을 통하여 얻어진 발파하중을 입력 자료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복잡한 지질 구조를 갖는 암반에 대해서는 그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석 대상 지역에서의 발파작업을 통해 직접 획득된 발파진동파형을 그대로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인도네시아 Pasir 노천 채광장에 대한 현장 적용을 통해 사면의 현재 상황을 수치 해석적으로 정확히 모사함으로써 발파진동파형을 입력 자료로 활용하는 기법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였다.

Compensation of errors caused by resonance vibration of measurement system in impact force measurement

  • Usui, Y.;Miyazawa, S.;Sawai, 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4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9th (KACC) ; Taejeon, Korea; 17-20 Oct. 1994
    • /
    • pp.593-596
    • /
    • 1994
  • When a force impulse acting on a massive and plex object is measured with a dynamometer, be resonant vibration of the measurement system often leads to serious inaccuracies. A more accurate measurement is obtained when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object-dynamometer system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error in the dynamometer's output signal. The natural frequency and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transfer function are estimated by analyzing the waveform of the free damped vibration period after the loading of the force has ended. The residue of the system is determined such that the compensated force spectrum becomes smooth within a neighborhood of the natural frequency. The effectiveness of this signal processing method is experimentally tested on a hammer impuls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hammer's high resonant frequency accurately models the problems encountered in force impact measurement. The compensation method is used to derive a improved estimate of the hammer impulse.

  • PDF

휴대폰 앱을 이용한 건물 수평진동의 상시진동계측 (Ambient Vibration Measurement of Buildings Horizontal Vibration Using a Mobile Phone Application)

  • 문상현;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77-83
    • /
    • 2015
  • The cases of conducting the vibration measurement using the mobile phone with regard to the building's horizontal vibration are very rare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orizontal vibration nature of the building using the mobile phone targeting 5 tall buildings, and reviewed about the applicability of the mobile phone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 through the comparison/verification with the data of the existing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 The peak of the measured time series waveform was measured clearly and it showed a similar value to the existing natural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