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minimum temperature varia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1초

액적 배열의 증발과 착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Evaporation and Ignition of in-line Array Liquid Droplets)

  • 김충익;송기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7-47
    • /
    • 1999
  • 부유중인 분진의 화재 및 용기 또는 파이프의 미세한 균열에서 비산되는 가연성 액체의 분무화재의 위험성은 착화후의 고속 확산과 높은 열방출율로 인하여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험적으로나 또는 거시적인 관점의 해석으로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관점의 해석으로서 분진 및 분무를 가연성 미세 액적으로 가정하여 그의 증발과 착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 단계로서 일열의 액적 배열을 계산영역으로 하여, 비정상 이차원 보존방정식들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은 일반화된 비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였고, 화학반응은 Arrhenius의 법칙에 의하여 반응속도가 제어되는 일단계 반응을 고려하였다. 계산결과는 액적 주위의 온도와 반응물질의 농도분포를 시간에 따라 보여준다. 주위의 산소가 증발하는 액적의 연료와 섞이기 시작하고 착화 조건에 다다르면, 급격한 발열반응이 예혼합된 가스로부터 일어나기 시작한다. 최대온도 영역은 점차적으로 액적 표면으로 이동하며 최대온도는 착화이후 급격히 상승한다. 연료와 산소의 농도는 최대온도 영역 근처에서 최소값을 보인다. 따라서 착화순간에는 예혼합연소의 양상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는 예혼합 가스의 소멸로 확산연소의 양상을 띠게 된다. 액적간의 거리는 중요한 요소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부터 액적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착화지연 시간이 줄여들어 착화가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착화 후에는 최대온도 영역이 일열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중심부근의 산소가 먼저 소모되고 외부로부터의 산소공급도 화염에 의해 차단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번 연구로 미세적인 착화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추후 복잡한 배열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 PDF

저온의 순수물속에 잠겨있는 수평 얼음원기둥에 의해 야기되는 자연대류 열전달의 실험적 해석 (Experimental Study of Natural Convectiion Heat Transfer from a Horizontal Ice Cylinder Immersed in Cold Pure Water)

  • 유갑종;추홍록;문종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019-1030
    • /
    • 1994
  •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a horizontal ice cylinder immersed in quiescent cold pure water was studied experimentall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e ambient water temperatures ranging from $2.0^{\cric}C$ to $10.0^{\circ}C$. The flow fields around an ice cylinder and its melting shapes were visualized and local Nusselt numbers obtained. Especially, it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density maximum effects and stagnation point Nusselt number. From the visualized photographs of flow fields, three distinct flow patterns were observed with the ambient water temperature variation. The melting shapes of ice cylinder are various in shape with flow patterns. Steady state upflow was occured at the range of $2.0^{\circ}C \leq T_{\infty} \leq 4.6^{\circ}C$ and steady state downflow was occured at $T_{\infty} \geq 6.0^{\circ}C$. In the range of $4.7^{\circ}C < T_{\infty} < 6.0^{\circ}C$, three-dimensional unsteady state flow was observed. Especially, the melting shapes of ice cylinder have formed the several spiral flutes for the temperatures ranging from $5.5^{\circ}C$ to $5.8^{\circ}C$. For upflow regime, the maximum stagnation point Nusselt number exists at $T_{\infty} = 2.5^{\circ}C$ and as the ambient water temperature increases the Nusselt number decreases. At ambient water temperature of about $5.7^{\circ}C$, Nusselt number shows its minimum value.

기후학적 평년 표준편차 분포도의 상세화 (Estimation of Climatological Standard Deviation Distribution)

  • 김진희;김수옥;김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3-101
    • /
    • 2017
  • 2011-2015년까지 경남 하동군 악양 집수역의 해발고도 8~1,073m 범위에 설치된 10개 무인기상관측기에서 0600, 1500 기온 관측값을 수집하여 월별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소기후모형으로부터 예측된 기온의 표준편차 결과를 함께 비교하여 미관측 지점의 추정기술에 실효성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소기후모형에 따른 예측값은 월별 0600, 1500 기온의 표준편차를 각각 88%, 86% 정도 설명할 수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과소추정하는 경향이었다. 겨울철과 여름철에 나타나는 낮은 고도 대비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변이가 작아지거나 커지는 방향성에 있어서 관측값과는 반대양상으로 나타나 당초 기대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또 다른방법으로 월별 기온 표준편차와 지형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여 임의지역의 지형특성과 종관규모 수준의 기온자료 만으로 표준편차 분포를 예측할 수 있을지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귀모형은 해발고도편차에 따라 보정된 월별 기온 외에, 경사도와 경사향 등 기본적인 지형인자와 온난대효과와 냉기집적효과, 개방도 등의 기온과 관련된 변수들을 고려하여 월별로 표준편차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수를 1~3개까지 선발하여 만들어졌으며, 월별 결정계수는 0.46부터 0.98 범위로 나타났다. 회귀모델을 이용해 기온이 관측되지 않는 임의지역의 표준편차를 지형변수의 최소-최대값 유효범위 내에서 월별로 예측한다면 70% 수준의 추정능력으로 공간변이 분포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진주만 해역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Jinju Bay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추효상;윤은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5-326
    • /
    • 2015
  • 진주만해역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특성을 장기 연속수온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온은 1월 말 최저, 8월 초 최대이고 만 북쪽이 중앙과 남쪽보다 계절변동이 작다. 하계 최고수온의 최저와 최고는 지족수로 주변에 출현한다. 노량수로와 대방수로는 조류 유 출입에 따른 수층 간 연직혼합으로 수온변동이 작다. 외해수 영향이 작은 만 남쪽은 동계 해면냉각과 하계 가열에 의한 변동이 현저하다. 바람은 대방수로 주변이 강해 조류와 함께 이 해역 표층의 혼합정도에 큰 영향을 준다. 만내수온이 균일하게 낮고 소조기 서풍이 강해져 노량수로에 동쪽방향 항류가 출현할 때 만 북쪽 해역에 난수가 유입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노량수로 해역은 7~20일의 장주기, 창선도 서쪽과 지족수로는 장주기와 반일주기, 만 중앙은 장주기와 일일주기 수온변동이 우세하다. Coherence 분석결과, 노량수로의 수온변동은 만 내 정점과 상관성이 크고 위상이 앞서나 대방수로보다는 느리다. 대방수로의 수온변동은 만 서쪽과 중앙 일부에 영향을 준다. 상호상관계수분석으로 진주만은 노량수로역, 만 북쪽 수렴발산역, 대방수로역, 창선도연안수역, 만 중앙혼합수역, 만 중앙내 만수역으로 분류되었다.

기상자료를 이용한 마늘 생산량 추정 (Garlic yields estimation using climate data)

  • 최성천;백장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969-977
    • /
    • 2016
  • 야외에서 재배되는 주요 채소류의 생산에 대한 기상변화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기상변화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의 변화는 공급과 수요의 불안정과 물가안정의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상상태에 따른 마늘의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마늘 주산지 15곳의 10a당 마늘 생산량과 해당 지역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다. 7가지 기상요인 (평균기온, 평균최저기온, 평균최고기온, 누적강수량, 누적일조시간, 평균상대습도, 평균지면온도)의 월별 (1월-12월)자료인 총 84개 기상변수중 다중회귀분석 단계선택방법을 통하여 7가지 기상변수를 선택하여 패널회귀모형에 사용하였다. 고정효과 모형과 확률효과 모형을 구분하는 하우스만 검정을 통하여 확률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평균최고기온 (1월), 누적강수량 (3월, 10월), 누적일조시간 (4월, 10월)등이 마늘 생산량 추정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별로 추정된 생산량 추정값의 추이가 실제 생산량과 동일한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제안된 패널 회귀 모형이 잘 적합됨을 확인할 수 있다.

2006~2010년 기간 동안 대한해협 서수도에서 관측된 해수 물성의 변동 (Observation of Water Property Variations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During 2006-2010)

  • 민홍식;박재훈;최아라;박영규;신경순;장풍국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spc3호
    • /
    • pp.325-336
    • /
    • 2011
  • Seasonal to inter-annual variations of water properties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are investigated using quasi-monthly hydrographic observations collected during 2006-2010. Weak vertical temperature and salinity gradients are observed during the winter months and these remain until May. At the upper layer, temperature increases from March and reaches a maximum in August, while salinity decreases during the same period. Near-bottom water shows low temperatures during late winter and fall with a minimum peak in September.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produces thick layers (>20 m) in 2006 and 2010, while it is observed very near the bottom with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2008 and 2009.

부산 해안지역의 고농도 오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urface High Ozone Concentration on Pusan Coastal area, Korea)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5-302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nd occurrence of high ozone concentration using hourly ozone, nitrogen dioxide and meteorological data for 1997~1998 in Pusan coastal area. Monthly mean ozon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at Dongsamdong in Spring(35.4ppb), at Kwangbokdong in Fall(25.1ppb) and the lowest Dongsamdong(22.2ppb) and Kwangbokdong(16.0ppb) in Winter. Relative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clearness of observation site was 0.42 at Dongsamdong and 0.49 at Kwangbokdong that is similar to urban area. The diurnal variation of ozone concentration of Dongsamdong and Kwangbokdong showed maximum at 1500~1600LST and minimum 0700~0800LST that typical pattern of ozone concentration. In ozone episode period(Sept. 10~15, 1998), diurnal change of ozone concentration was very high, and ozone concentration was related to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cloud amount an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During the episode days peak ozone concentrations are much higher than the normal values, wind speeds are always lower, and solar radiation is high with the exception of the September episode.

  • PDF

부산 동삼동 지역의 지표오존농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t Dongsamdong, Pusan)

  • 전병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2호
    • /
    • pp.21-2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nd occurrence of high ozone concentration using hourly ozone and meteorological data of 1997~1998 in Pusan coastal area. Monthly mean ozone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Spring(35.4ppb) and lowest in Winter(22.2ppb). Relative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clearness of observation site was 0.42 that is similar to urban area. The diurnal variation of ozone concentration of Dongsamdong showed maximum at 15~16LST and minimum 07~08LST that typical pattern of ozone concentration. In ozone episode period(May 18~23, 1998), diurnal change of ozone concentration was very high, and ozone concentration was related to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cloud amount an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 PDF

Variation of Soil Mycoflora in Decomposition of Rice Stubble from Rice-wheat Cropping System

  • Vibha, Vibha;Sinha, Asha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191-195
    • /
    • 2007
  • The colonization pattern and extent of decay produced in paddy stubble by soil inhabiting mycoflora were done by using nylon net bag technique. Among the three methods used for isolation of fungi, dilution plate technique recorded the highest number of fungi followed by damp chamber and direct observation method. Nutrient availability and climatic conditions (temperature, humidity and rainfall) influenced the occurrence and colonization pattern of fungi. Maximum fungal population was recorded in October ($48.99{\times}10^4/g$ dry litter) and minimum in May ($11.41{\times}10^4/g$ dry litter). Distribution of Deuteromycetous fungi was more in comparison to Zygomycetes, oomycetes and ascomycetes. In the early stage of decomposition Mucor racemosus, Rhizopus nigricans, Chaetomium globosum and Gliocladium species were found primarly whereas at later stages of decomposition preponderance of Aspergillus candidus, Torula graminis, Cladosporiun cladosporioides and Aspergillus luchuensis was recorded.

답면 브레이크 슈의 마찰계수와 제동성능향상을 위한 평가기술 (Evaluation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Brake Performance and Friction Coefficient of Tread Brake Shoe)

  • 최경진;이동형;이희성;송문석;신유정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I)
    • /
    • pp.377-382
    • /
    • 2003
  • In tread braking of freight cars, braking force is produc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braking shoe. Friction coefficients such as the brake power, weight variation and brake shoe types should be sensitively treated as the design parameters. The conditions of the car, empty and weighted,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brake force design and the control of brake force has som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brake system design so that the brake materials sele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measures to solve that difficulties. Friction characteristics of brake materials should remain within the range of maximum and minimum value and the friction performance should remain stable regardless of braking time and temperature. This study presented an experimental evaluation method to secure optimum braking performance by keeping safe braking effect and braking distance by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brake shoe of the freight c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