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nutrient uptak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9초

물달개비 경엽(莖葉)의 침수여부(沈水與否)에 따른 생장(生長),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광합성(光合成) 비교(比較) (Effect of Submergence and Air Exposure of the Shoot on Growth, Nutrient Uptake and Photosynthesis in Monochoria vaginalis Presl.)

  • 소창호;양규승;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20
    • /
    • 1996
  • 물달개비는 논에서 자라는 수륙양서형(水陸兩棲型) 잡초로 수중(水中) 및 토중(士中)에서 발아하여 초기에는 생장속도가 늦지만 경엽이 대기중으로 노출되면 생장속도가 빨라져 경엽부의 침수여부에 따라 생장의 차이를 보이는 잡초이다. 본 실험은 경엽부(莖葉部)가 침수(沈水)되었을 경우와 대기중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장량(生長量)과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을 비고하고 기중광합성(氣中光合成)과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을 비교하여 물달개비의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물달개비를 3엽기 또는 5엽기까지 수경재배(水耕栽培)로 균일하게 키운 다음 수경액으로 경엽부가 침수되도록 한 침수처리와 근부(根部)만 수경액을 공급한 처리를 하여 조사 및 측정을 하였다. 생장량은 초장(草長), 염수(葉數), 염변적(葉面積) 및 생체중(生體重)과 건물중(乾物重)을 처리 후 8일에 조사하였고, 엽록소함량과 무기양분은 2일마다 8일간 조사하였다. 광합성(光合成)은 2일 간격으로 10일 동안 측정하였는데, 기중광합성은 휴대용광합성측정기(LI-6000)로,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은 $CO_2$ 전극(電極)으로 측정하였다. 1. 침수조건하에서 물달개비의 초장(草長)은 신장(伸長)되었으나, 엽수, 엽면적 및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減少)하였다. 초장은 3엽기에 처리한 것보다 5엽기에 처리한 것이 신장속도가 빨랐다. 2. 엽록소함량은 침수처리(沈水處理)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3엽기의 경우 처리 2일 이후에, 5엽기의 경우 4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3. 경엽부의 침수에 따른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은 $NH^+\;_4$, $NO^-\;_3$, 및 $P_2O_5$은 3엽기 및 5엽기 침수시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K^+$, $Ca^{++}$$Mg^{++}$은 3엽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엽기의 경우 $Ca^{++}$$Mg^{++}$은 침수처리시 흡수량이 약간 증가하였다. 4. 기중광합성(氣中光合成)은 생장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은 3엽기 및 5엽기 모두 침수처리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8일 이후에는 뚜렷이 감소하였다.

  • PDF

진해만 서부해역의 하계 수질의 시간변동 특성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the Western Chinhae Bay in Summer)

  • 조현서;이대인;윤양호;이문옥;김동명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서부해역의 세 정점에서 2시간 간격으로 연속관측에 의해서 적조발생 전후의 수질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표ㆍ저층간에 수온차가 큰 시간에 저층의 용존산소가 최소를 나타내었고,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세 정점 모두 표층에서 해역수질기준 II등급을 초과하였다. 용존무기질소 분포는 저층에서 유기물분해로 인한 재순환에 의해 고농도로 존재하였고, 표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존재형태별로는 표층에서는 암모니아가 대부분 차지하였고, 저층에서는 C2 정점에서는 질산질소가, C11과 C15 정점에서는 암모니아가 주종을 이루었다. 용존무기인은 C2정점의 표층에서 8월 12일 오후 4시에서 밤 8시 사이에 고농도를, 야간에 최소를 보여주었다. C11과 C15 정점에서는 표층과 저층의 차이가 컸으며, 아침이후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N/P 분석결과,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질소가 생물성장의 제한인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Chl-α 분포는 C2와 C11 정점에서는 극대층이 표층아래인 3∼5 m층에 형성되었고, 적조발생가능농도인 10mg/㎥을 초과하는 고농도를 나타냈다. C15정점의 극대층은 표층에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Chl-α는 일사량이 강한 오후에 고농도를 형성해서 야간에도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새벽에 최소분포를 나타냈고 아침이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적조가 관측된 C2 정점에서는 적조발생전에 영양염류가 증가했으며, 수온성층이 최대가 되는 시간대에 식물플랑크톤이 고농도로 집적하면서 용존무기질소를 특히, 질산질소를 급격히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화산회토에서 유기질비료 시용량이 무 생장과 수량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Growth, Yield and Nutrient Uptake of Radish as Affected by Amount of Organic Fertilizer in a Volcanic Ash soil)

  • 김유경;조영윤;오한준;강호준;양상호;문봉춘;좌창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29-8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기재배시 질소, 인산 및 칼리 비료 시비량에 따른 무의 생육과 수량성, 양분의 흡수량 그리고 투입 양분의 이용율 등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무 표준시비량($N-P_2O_5-K_2O$ : 230-70-80)을 기준으로 시비수준을 달리한 T1(무비료), T2 ($N-P_2O_5-K_2O$ : 115-35-40), T3 ($N-P_2O_5-K_2O$ : 230-70-80) 및 T4($N-P_2O_5-K_2O$ : 460-140-160) 처리와, 토양검정에 의한 추천시비량 T5 ($N-P_2O_5-K_2O$ : 230-200-100) 그리고 농가관행 시비량 T6 ($N-P_2O_5-K_2O$ : 158-53-35) 등 6처리를 하였으며 각각의 시비수준에 맞추어 유기질비료의 시비량을 결정하고 부족한 칼리성분은 칼륨비료($K_2O$ 22%)로 보충시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무 수량성은 T3 (표준시비량) 및 T5 (토양검정에 의한 추천시비량) 처리구에서 최대수량을 얻었으며 T6 (관행시비량) 처리구 보다 15~23% 증가되었다. 무의 전질소, 인산 및 칼리 흡수량은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곡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리 흡수량이 전질소 및 인산보다 많았다. 그러나 질소 등 투입 양분의 이용율은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곡선적 또는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화산회토에서 무 재배시 유기질비료 시용량은 표준 또는 토양검정시비량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한 적정 시비량으로 판단되었다.

근활력(根活力) 증진제(增進劑) [phthalamic acid 와 N(p - chlorophenyl) phthalamic acid] 의 수도증수(水稻增收) 효과(效果) (Effect of two root activators [phthalamic acid and N(p - chlorophenyl) phthalamic acid] on Rice yield)

  • 박훈;목성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4호
    • /
    • pp.235-239
    • /
    • 1974
  • 환경원(土壞還元)에 의(依)한 근활력(根活力)의 저해(阻害) 또는 근부(根腐)를 방지(防止)하는 생육조절제(生育調節劑) phthalamic acid (PA) 및 p-chlorophenyl phthalamic acid (PCPPA)를 근활력(根活力)이 약(弱)한 IR667을 사용(使用) pot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의 경우 최고(最高) 36.7% 무시용(無施用)의 경우 최고(最高) 13.3%의 증수를 보였는데 모두 PCPPA 100ppm ($90m{\ell}/0.05m^2$)처리의 경우였다. 2. 근활력제(根活力劑)는 근(根)의 산화력(酸化力)근활력(根活力)을 증진(增進)시켜 양분(養分)의 균형적(均衡的)인 흡수(吸收)를 가져오며 그 결과(結果) 근중(根重)을 증가시키고 지상부(地上部) 생육량(生育量)을 많게 하였다. 3. 근활력제(根活力劑)는 수수(穗數) 및 천립중(千粒重) 등열율(登熟率) 유효비율(有效比率)을 증가시켰다.

  • PDF

다기능 금속산화물의 하수처리 적용-흡착 및 살균 (The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metal oxide for wastewater treatment: Adsorption and disinfection)

  • 김희곤;박덕신;안병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1-258
    • /
    • 2019
  • The physical treatment such as chemical precipitation or adsorption was usually added after biological treatment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since it was enforced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hosphate for wastewater effluent to 0.2 mg/L as P which was well known as one of main nutrient causing eutrophication in waterbody. Therefore, the new material functioned for both adsorption and disinfection was prepared with Fe and Cu, and $TiO_2$, respectively, by changing the ratio of concentration referred to tri-metal (TM). According to SEM-EDS, $TiO_2$ was 30~40% composition for any TM regardless of any synthesis condition. However, the ratio of composition for Fe and Cu was dependent on the initial Fe and Cu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y of phosphate was obtained to 15% at low initial concentration and the maximum uptake (Q) was calculated to ~11 mg/g through Langmuir isotherm model using TM1 which was synthesized at 1000 mg/L, 1000 mg/L, and 2 g (10 g/L) for $Fe(NO_3)_3$, $Cu(NO_3)_2$, $TiO_2$, respectively. In disinfection test, the efficiency of virus removal using TM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dosage of TM and can be reached 98% at 0.2 g.

질소관비 수준이 래빗아이 블루베리 '브라이트웰'의 생장과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gation on The Growth and Nutrition Uptake of 'Brightwell' Rabbiteye Blueberry)

  • 곽용범;채원병;이목희;정해원;이한철;김진국;김홍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1-168
    • /
    • 2017
  • 래빗아이 블루베리는 근모가 없는 섬유질 뿌리와 천근적 분포로 인하여 양분 이용효율이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래빗 아이 블루베리의 생육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질소 관비효과를 조사하여 효율성 높은 양분관리 기준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Brightwell(Vaccinium ashei Reade)품종의 관비처리는 재식 년차별 시비기준 (재식 1-2-3년 : 6-9-14 g/bush)으로 무 질소구와 기준 시비량의 50, 100 그리고 200%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엽중 질소함량은 과중과 수확량에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관면적, 건물중, 당 그리고 안토시아닌 등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재식 3년차 블루베리의 엽과 줄기 건물중은 각각 723.7 g, 890.7 g/bush을 나타낸 50% 관비처리가 가장 높았다. 재식 3년차 과실수확량은 50%관비구에서 가장 높은 12.9 kg/bush으로 무비구 대비 약 70%의 증가량을 나타냈으며, 100%와 200% 관비구에서는 50% 관비구와 비교하여 각각 17와 12%가 감소한 11와 11.5 kg/bush의 수확량을 나타냈다. 질소 시비에 따른 이용율은 50% 관비구가 90%로 가장 높았으며, 200% 관비구가 가장 낮은 18%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준 시비량의 50%를 관비하는 것이 'Brightwell'의 생육과 질소의 시비효율에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축산폐수(畜産廢水) 살수여상충전(撒水濾床充塡) 볏짚 시용이 토양화학성과 오처드그래스(Dactylis glomerata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影響) (Application of the Trickling Rice Straw Filter Medium for Livestock Wastewater Enhanced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Growth of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 김정제;양재의;신영오;신명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4-340
    • /
    • 1997
  • 중소규모(中小規模) 축산농가(畜産農家)에서 배출(排出)되는 돼지(돈(豚)) 분뇨폐수(糞尿廢水)를 효과적(效果的)으로 처리(處理)함과 동시(同時)에 재활용(再活用)할 수 있는 방법(方法)의 하나로 볏짚을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의 충전재(充塡材)로 이용(利用)하였다. 폐수처리(廢水處理) 후(後) 볏짚을 건조(乾燥) 분쇄(粉碎)하여 토양(土壤)에 첨가(添加)한 후 orchard grass를 재배(栽培)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볏짚 충전재(充塡材)를 시용(施用)했을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인 농가퇴비(農家堆肥)에 못지 않은 수량(收量) 향상(向上) 효과(效果)가 있었다. 기본시비(基本施肥)(NPK)에 처리(處理)한 짚 40 ton/ha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 시용 했을 때 가장 효과(效果)가 컸다. 2. Orchard grass 1차 예취(刈取) 후의 수량은 기본시비(基本施肥) 전량 시용구가 반량(半量) 시용구보다 많았다. 3. Orchard grass 1차, 2차 예취(刈取) 후(後) 볏짚충진제 처리구 토양(土壤)의 화학적 특성은, 공시토양에 비해 pH 의 증가와 함께 Av. $P_2O_5$, Ex. K, Ca, Na, Mg 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했는데 특(特)히 Exc. Mg 의 현저한 증가(增加)가 있었다. 4. 볏짚 충진제를 시용한 결과 Orchard grass에 의해 흡수된 질소, 인산, 양이온등의 영양소는 증가되었고, 증가량은 처리량에 비례했다.

  • PDF

묘대(苗垈)에서 용성인비(熔成燐肥)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효과 (Fused Phosphate and Slag as a Fertilizer in Nursery of Rice)

  • 황영수;류인수;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5-200
    • /
    • 1982
  • 건묘육성(健苗育成)을 위(爲)하여 밀양(密陽)23호와 아끼바레 두 품종(品種)으로 묘대(苗垈)에서 용성인비(熔成燐肥)와 규산질(珪酸質)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묘(苗)의 건물중(乾物重),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 묘생육등(苗生育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최대(最大) 건물중(乾物重)은 품종간(品種間) 비료반응(肥料反應)이 약간씩 달라 용성인비(熔成燐肥) 75~150kg/10a,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100~200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얻었다. 2. 건묘(健苗)의 엽근비(葉根比)는 1이 적당하였으며 용성인비(熔成燐肥)에서는 75kg/10a, 규산질(珪酸質) 비료구(肥料區)에서는 200kg/10a수준(水準)이었다. 3. 용인(熔燐)75kg/10a수준(水準)의 식물분중 무기성분(無機成分)인 N $P_2O_5$, $SiO_2$, Ca, Mg의 함량(含量)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200kg/10a수준(水準)과 비슷하였다. 4. 규산(珪酸)의 흡수이용율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규산(珪酸)보다 용성인비중(熔成燐肥中) 규산(珪酸)이 더 높았다. 5. 묘대기간중(苗垈期間中) pH 상승(上昇)(7.0이상(以上))은 묘(苗)의 생육지연(生育遲延)을 초래(招來)하였으며 용성인비(熔成燐肥) 225kg/10a 이상(以上)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400kg/10a 이상(以上) 시용시(施用時) 생육장해(生育障害)를 보였다.

  • PDF

논토양에서 규산질 비료 시용에 의한 질소 시비 저감수준 평가 (Reducing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of Rice (Oryza sativa L.) by Silicate Application in Korean Paddy Soil)

  • 이창훈;양민석;장기운;이용복;정기열;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4-20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규산질 비료 시용을 통한 질소의 흡수 이용율을 증진하고 이용율 증진에 따른 질소 시비량 저감방안을 모색하였다. 경남 하동 소재의 전형적 논토양(가천통)에서 규산 처리수준에 따른 질소 이용을 증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처리, 유효규산 $130mg\;kg^{-1}$ 조절 처리, 조절량의 2배 처리와 같은 세 수준의 규산처리를 기본처리구로 설정하였다. 각 규산 처리조건에서 0, 110, $165kg\;ha^{-1}$의 세 수준으로 질소를 처리하여 벼 재배과정 중 수량반응특성 및 양분흡수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일수준의 질소 처리조건에서 정조 수량과 질소이용률은 규산질 비료 처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되었다. 규산질 비료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 질소 $154kg\;ha^{-1}$ 수준에서 최고 정조 수량 획득이 가능하였다. 규산질 비료를 추천량인 $130mg\;kg^{-1}$과 추천량의 배 량 처리시 벼의 생육증가에 따른 질소 흡수 이용율 증가로 약 76과 $52kg\;ha^{-1}$의 질소처리조건에서 규산 무처리 때 얻을 수 있는 최고 정조 수량의 획득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규산질 비료처리 없이 얻을 수 있는 최고 정조수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질소 시비량인 $154kg\;ha^{-1}$을 규산질 비료 추천량과 추천량의 배량 처리로 인해 약 76과 $102kg\;ha^{-1}$의 질소 시비량 저감이 각각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규산질 비료시용으로 토양 pH가 다소 개선되었으며, 토양 내 유효 인산 및 규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토양의 비옥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재배 가지에서 인산 시비농도가 생육과 양분흡수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on the Growth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Egg Plant (Solanum melogena L.))

  • 김정만;김주;전형권;박은석;정종성;최종명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35-145
    • /
    • 2009
  • 관비 용액의 인산 농도가 '축양' 가지의 인산 결핍 및 과잉증상 발현, 식물 생육 그리고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정식 35일과 150일 후의 식물체 분석을 통해 최대 생장량과 수확량을 위한 식물체내 적정 인산 함량을 설정하였다. 가지에서 인산이 결핍되면 식물체의 하엽이 암록색으로 변하면서 점차 자주색을 띄었고, 열매는 비대되지 못하여 정상과 보다 작았다. 인산 과잉시 하엽 가장자리가 반점형태의 옅은 갈색을 띈 후 점차 하엽 안쪽으로 확산되었으며, 과일은 비대되지 못하거나 곡과가 발생되었다. 정식 35일 후의 지상부 건물중과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의 인산 함량은 인산 시비농도에 대하여 각각 3차곡 선회귀적 ($y=10.43+14.47x-4.7642x^2+0.3977x^3$) 및 2차곡선회귀적 ($y=0.7887+0.2394x-0.0197x^2$) 반응을 보였다. 최대 생장량의 90% 생장량을 생장억제를 방지하기 위한 한계점으로 설정하면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을 기준으로 0.98~1.35%의 범위에 포한되도록 시비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정식 150일 후 수량과 식물체내 인산 함량 변화도 인산 시비농도에 대하여 각각 3차곡선회귀적반응 ($y=1194.6+1502.2x-454.5x^2+35.64x^3$) 및 2차 곡선회귀적 ($y=1.0589+0.5207x-0.0573x^2$) 반응을 보였고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을 기준으로 인산 함량이 1.53~2.2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농도 및 횟수를 조절하여야 수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