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Ent 모델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5초

기후변화에 따른 법정보호종 분포 예측을 위한 종분포모델 적용 방법 검토 - Rodgersia podophylla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deling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Under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f Rodgersia podophylla -)

  • 유영재;황진후;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43
    • /
    • 2024
  • Legally protected species are one of the crucial considerations in the field of natural ecology when conduct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IAs). The occurrence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especially 'Endangered Wildlife'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rogression of projects subject to EIA, necessitating clear investigations and presentations of their habitats. In perspective of statistics, a minimum of 30 occurrence coordinates is required for population prediction, but most of endangered wildlife has insufficient coordinates and it posing challenges for distribution prediction through modeling.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modeling methodologies applicable when coordinate data are limited, focusing on Rodgersia podophylla,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endangered wildlife and northern plant species. For this methodology, 30 random sampling coordinates were used as input data, assuming little survey data, and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individual models included in BIOMOD2. After that, the modeling results were evaluated by using discrimination capacity and the reality reflection ability. An optimal modeling technique was proposed by ensemble the remaining models except for the MaxEnt model, which was found to be less reliable in the modeling results. Alongside discussions on discrimination capacity metrics(e.g. TSS and AUC) presented in modeling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ut it has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use universally because it is not a study conducted on various species. By supporting survey site selection in EIA processes, this research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minimizing situations where protected species are overlooked in survey results.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Potential Habitat Area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Survey Time Series Data for Conservation of Otter (Lutra lutra) - Case Study for Gangwon-do -)

  • 김호걸;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4-36
    • /
    • 2021
  • 전 세계 다양한 국가들을 비롯하여 우리나라도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특히 생물종과 관련해서는 특정 생물종을 대상으로 서식적합분석을 실시하여 잠재적인 서식 적지를 찾고 보전방안을 수립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서식적합지역의 중장기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수달을 대상으로 서식적합지역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계열 변화 분석을 위해서 약 20년간 수행된 2차, 3차,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수달 종 출현지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각 조사시기 별 서식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조사시기와 일치하는 토지피복도를 환경변수 제작에 활용하였다. 서식적합지역 분석을 위해서는 종의 출현 정보만을 바탕으로 모델 구동이 가능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신뢰도가 높다고 입증된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각 조사시기 별 수달의 서식적합지역 지도가 도출되었으며, 하천을 중심으로 서식지가 분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모델링 결과 도출된 환경변수의 반응곡선을 비교하여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시기 별 서식 적지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기반으로 한 서식 적지가 가장 넓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3, 4차 조사의 서식 적지는 면적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3개 조사시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서식 적지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변화 유형에 따라서 현장조사, 모니터링, 보호지역 설정, 복원계획과 같이 서로 다른 보전계획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달 서식 적지의 위치와 면적의 시계열 변화를 볼 수 있는 종합분석 지도를 제작하고, 지역별 서식 적지 변화 유형에 따라 필요한 보전계획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과 결과는 향후 서식지 보전 및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