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ing program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Chlortetracycline(CTC)의 사료 첨가가 돼지의 생산성과 호흡기 병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hlortetracycline on productivity and respiratory disease in pigs)

  • 권영방;이원형;이완규;강종구;정영철;김성훈;한병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45-360
    • /
    • 2000
  • The effects on CTC (T1) and CTC, Sulfathiazole and Penicillin Combination (T2) medication in feed through one life cycle of pigs, namely, weaning, mating, farrowing, lactation, growing, finishing and slaughter, were tested under local condition. In sow phase, productivity and the number of microflora in urine before and after medication of CTC were studied and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were checked duri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 All pigs reached at 155 days old were slaughtered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1. Litter size, farrowing rate and survival rate at birth were improved by CTC medication from weaning to 21th day after mating and mortality of piglet at weaning, 25 days after farrowing, was reduced in the CTC medication group, but no siginificant. 2. The number of microflora in the sow urine was changed with the medication at 200ppm of CTC in fee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E coli, Samonella and Staphylococci were reduced by CTC medication. 3.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of grower and finisher pigs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treated groups, most in the high level CTC (T1) medicated group and was lowest in the control group. 4. The number of infected lungs was reduced not significant by both treatments (as % pneumonic lesions Co 66.7%, T1 47.1%, T2 31.4%) and the severity of lung lesion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both high level of CTC and CTC combination medication in feed. 5.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trophic rhinitis based on turbinate scores among the 3 groups, the number of mild and moderate (Grade 2 and 3) infections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9/36) than in the treated groups (T1 2/34 & T2 4/35).

  • PDF

소나무 인공교배 차대집단에서 Microsatellite marker 혈통분석을 이용한 인공교배 효율 및 관리상태 평가 (Evaluation of Control Pollination Efficiency and Management Status in Control Pollinated Progeny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using Pedigree Analysis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 여태림;김지훈;이다영;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157-172
    • /
    • 2023
  • 임목육종에 있어 인공교배는 매우 중요한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인공교배를 이용하면 유용한 유전자형을 생성하고 빠르게 개량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소나무(Pinus densiflora) 육종프로그램의 인공교배 효율이나 성공률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였다. 인공교배 효율 및 차대 육종집단 관리 평가를 위해 2015년에 조성된 소나무 충북2호×강원40호, 강원40호×충북2호 집단 159개체를 사용하였다. 차대묘의 microsatellite 유전자형을 식별한 뒤, 연구에 이용된 프라이머 수의 적절성 평가와 혈통분석을 진행했다. 프라이머 수는 차대묘 개체들을 구분하는데 적절했다고 판단되었고 159개 차대묘 중 60개체가 친자 혈통(충북2호와 강원40호의 교배에 의한 차대)으로 식별되었다. 또한, 육종집단 관리상의 문제가 의심되는 결과가 나타난 54개의 차대묘를 제외하고 다시 혈통분석을 진행했다. 두 번째 분석에서는 105개 차대묘 중 47개체가 친자혈통(충북2호와 강원40호의 교배에 의한 차대)으로 식별되었다. 결론적으로, 임목육종 프로그램에서 인공교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주의사항이 요구된다. 먼저, 모수와 화분수의 정확한 클론명 식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암구과의 격리, 인공교배 시기의 결정 등 인공교배 과정이 잘 수행되어야 하며 교배 후 차대묘 관리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이 때 모수, 화분수의 식별과 교잡 사후관리 모니터링 과정에 분자표지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소나무류 육종프로그램에 있어 인공교배에 대한 참고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사출성형에 있어서 스냅핏 설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nap-fit Design System in Injection Molding)

  • 강성남;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5
    • /
    • 2001
  • 스냅핏은 일종의 결속장치로서 흔히 플라스틱 부품들을 서로 체결하는데 이용되는데, 다른 결속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생산품의 조립단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분리력은 큰 반면에 결합력은 작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된다. 스냅핏의 설계는 재료에 따른 물성(property) 및 구조적 강성(stiffness)이 설계 초기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또한 사출성형공정에서 스냅핏의 성형성도 예측되어야 한다. 그러나 스냅핏의 형상, 치수, 위치 등을 적절히 설계합성(synthesis)하고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작업은 공정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을 지원해 주는 합리적인 설계도구가 제공되지 못했던 이유로 사출 전문가의 오랜 기간 축적된 경험과 지식에만 전적으로 의존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문가에 의존해온 스냅핏 설계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사출 성형에 의해 제한되어지는 지식을 규칙베이스화하고 재료의 물성과 스냅핏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스냅핏이 갖는 결합력 분리력 변형하중 및 허용언더컷 등을 출력하는 설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 PDF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ree Iranian Sheep Breeds

  • Kiyanzad, M.R.;Panandam, J.M.;Emamjomeh Kashan, N.;Jelan, Z.A.;Dahlan,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11-14
    • /
    • 2003
  • To evaluate the ewe reproductive performances of three Iranian local sheep breeds, namely Moghani, Chal and Zel, 27 rams and 473 ewes were used as the foundation flock in a crossbreeding program. The three breeds were crossed amongst themselves reciprocally. Ram breed and ewe breed showed a two-way interaction on apparent fertility. The Zel ewes showed higher fertility than the Chal and Moghani ewes (94.4 vs 77.3 and 84.6%). Prolificacy among main and individual mating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Zel ewes were 22.3 and 14.8% more reproductive (p<0.05) than Chal and Moghani ewes, respectively. Zel and Moghani ewes showed higher (p<0.05) ewe productivity than Chal ewes. Ram breed had a significant (p<0.05) effect on ewe efficiency. The Zel rams were not completely successful to mate with Chal ewes, this caused a to way-interaction between ram and ewe breeds. The Zel ewes mated with Chal and Moghani rams showed 26.1 and 28.5% more efficiency than those mated with Zel rams. This observation strongly supports the use of crossbreed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Zel ewes. With decreasing lamb mortality, through supplemented feeding of lambs in pre-weaning period, and increasing litter weight, through crossbreeding, it sh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Zel ewes even better than Chal and Moghani ewes. Small body size of Zel ewes that needs the lower maintenance requirements would be a well advantageous to using Zel ewes as the dam herd to produce commercial lambs in north area of Iran.

Evaluation of Inbreeding and Genetic Variability of Five Pig Breeds in Czech Republic

  • Krupa, Emil;Zakova, E.;Krupova, 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25-36
    • /
    • 2015
  • The complex analysis of the pedigree records of Czech Landrace (CLA), Czech Large White-dam line (CLWd), Czech Large White-sire line (CLWs), Duroc (DC), and Pietrain (P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rends of genetic diversity (GD), and to find the main sources of the GD loss. The total size of the pedigree was 132,365, 391,151, 32,913, 13,299, and 7,160 animals in CLA, CLWd, CLWs, DC, and PN, respectively. Animals born in the years 2011 through 2013 were assumed as the reference population. The average pedigree completeness index for one generation back was 95.9%, 97.4%, 91.2%, 89.8%, and 94.2% for appropriate breeds. Number of ancestors explaining 100% of gene pool was 186, 373, 125, 157, and 37 in CLA, CLWd, CLWs, DC, and PN, respectively. The relative proportion of inbred animals (58%, 58%, 54%, 47%, and 25%), the average inbreeding (2.7%, 1.4%, 2.5%, 3.6%, and 1.3%) and the average co-ancestry (3.1%, 1.6%, 3.3%, 4.2%, and 3.3%) were found over the past decade in analysed breeds. The expected inbreeding under random mating increased during the last 10 years in CLWs and PN and varied from 1.27% to 3.2%.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computed on the basis of inbreeding was 76, 74, 50, 35, and 83 in 2012 in CLA, CLWd, CLWs, DC, and PN, respectively. The shortest generation interval (1.45) was observed for CLWd in sire to son selection pathway. The longest generation interval obtained PN (1.95) in sire to daughter pathway. The average relative GD loss within last generation interval was 7.05%, 4.70%, 9.81%, 7.47%, and 10.46%, respectively. The relative proportion of GD loss due to genetic drift on total GD loss was 85.04%, 84.51%, 89.46%, 86.19%, and 83.68% in CLA, CLWd, CLWs, DC, and PN, respectively. All breeds were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inbred animals, but the average inbreeding was low. The most vulnerable breeds to loss of GD are DC and PN. Therefore, a breeding program should be more oriented to prevent the increase of GD loss in these breeds.

Research advances in reproduction for dairy goats

  • Luo, Jun;Wang, Wei;Sun, Shu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_spc호
    • /
    • pp.1284-1295
    • /
    • 2019
  • Considerable progress in reproduction of dairy goats has been made, with advances in reproductive technology accelerating dairy goat production since the 1980s. Reproduction in goats is described as seasonal. The onset and length of the breeding season is dependent on various factors such as breed, climate, physiological stage, male effect, breeding system, and photoperiod.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goats was investigated extensively, including hypothalamic and pituitary control of the ovary related to estrus behavior and cyclicity etc. Photoperiodic treatments coupled with the male effect allow hormone-free synchronization of ovulation, but the kidding rate is still less than for hormonal treatments. Different protocols have been developed to mee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producers; dairy industries are subject to growing demands for year round production. Hormonal treatments for synchronization of estrus and ovulation in combination with artificial insemination (AI) or natural mating facilitate out-of-season breeding and the grouping of the kidding period. The AI with fresh or frozen semen has been increasingly adopted in the intensive production system, this is perhaps the most powerful tool that reproductive physiologists and geneticists have provided the dairy goat industry with for improving reproductive efficiency, genetic progress and genetic materials transportation. One of the most exciting developments in the reproduction of dairy animals is embryo transfer (ET), the so-called second generation reproductive biotechnology following AI. Multiple ovulation and ET (MOET) program in dairy goats combining with estrus synchronization (ES) and AI significantly increase annual genetic improvement by decreasing the generation interval. Based on the advances in reproduction technologies that have been utilized through experiments and investigation, this review will focus on the application of these technologies and how they can be used to promote the dairy goat research and industry development in the future.

Assessment of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German Angora rabbit through pedigree analysis

  • Abdul Rahim;K. S. Rajaravindra;Om Hari Chaturvedi;S. R. Sharma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5호
    • /
    • pp.692-703
    • /
    • 2023
  • Objective: The main goals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i) assess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and ii)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ongoing breeding program in a closed flock of Angora rabbits through pedigree analysis. Methods: The pedigree records of 6,145 animals, born between 1996 to 2020 at NTRS, ICAR-CSWRI, Garsa were analyzed using ENDOG version 4.8 software package. The genealogical information, genetic conservation index and parameters based on gene origin probabilities were estimated.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99.09% of the kits had both parents recorded in the whole dataset. The completeness levels for the whole pedigree were 99.12%, 97.12%, 90.66%, 82.49%, and 74.11% for the 1st, 2nd, 3rd, 4th, and 5th generations, respectively, reflecting well-maintained pedigree records. The maximum inbreeding, average inbreeding and relatedness were 36.96%, 8.07%, and 15.82%, respectively. The mean maximum, mean equivalent and mean completed generations were 10.28, 7.91, and 5.51 with 0.85%, 1.19%, and 1.85% increase in inbreeding, respectively.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estimated from maximum, equivalent and complete generations were 58.50, 27.05, and 42.08, respectively. Only 1.51% of total mating was highly inbred.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computed via the individual increase in inbreeding was 42.83. The effective numbers of founders (fe), ancestors (fa), founder genomes (fg) and non-founder genomes (fng) were 18, 16, 6.22, and 9.50, respectively. The fe/fa ratio was 1.12, indicating occasional bottlenecks had occurred in the population. The six most influential ancestors explained 50% of genes contributed to the gene pool. The average generation interval was 1.51 years and was longer for the sire-offspring pathway. The population lost 8% genetic diversity over time, however, considerable genetic variability still existed in the closed Angora pop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and practical insights to manage and maintain the genetic variability within the individual flock and the entire population.

단감원에서 성페로몬 방출기에 의한 애기유리나방의 화학통신 교란 효과 (Disruption of Chemical Communication of Synanthedon tenuis (Lepidoptera: Sesiidae) by Sex Pheromone Dispensers in Sweet Persimmon Orchards)

  • ;김준헌;박정규;노광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33-339
    • /
    • 2020
  • 페로몬에 기반한 해충방제 기술은 페로몬이 동정되는 곤충의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더욱 성공가능성이 높은 전략이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애기유리나방, [Synanthedon tenuis (Butler) (Lepidoptera: Sesiidae)]의 성페로몬((Z, Z)-3, 13-octadecadien-1-ol.)에 의한 화학통신교란(pheromone-mediated chemical communication disruption, PCD)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본 PCD법은 우리나라 전남 순천과 경남 진주의 2곳의 단감 과수원에서 2016년과 2017년에 총 4회 수행되었으며, PCD의 효과는 성페로몬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의 평가용 트랩 포획수로 나타내었다. 성페로몬 처리구의 평가용 트랩에 유인된 수컷 성충수는 무처리구에 유인된 수보다 유의하게 적었으며, 유인수 감소효과는 95.2~100% (평균 98.8±1.2%)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성페로몬에 기반한 애기유리나방의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The Effects of Mortierella alpina Fungi and Extracted Oil (Arachidonic Acid Rich) on Growth and Learning Ability in Dam and Pups of Rat)

  • 이승교;강희윤;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84-1091
    • /
    • 2002
  • 아라키돈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생산가능한 균주로서 독성을 보이지 않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할 때 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곰팡이의 추출유와 곰팡이 자체의 섭취로서 arachidonic acid를 섭취토록 하여 생육과 뇌발달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우지를 섭취시킨 쥐와 비교할 때 식이군별 암컷의 체중변화에서는 비교적 체중이 증가되지 않은 군은 Mortierella alpina섭취군으로 나타났으며 새끼를 젖뗀 후 심하였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분만 직후의 체중증가는 수유동안 감소가 일어나 이유시기에는 체중 감소가 각군 모두에서 일어났다. 새끼에서는 이유전까지는 체중증가에 어미의 식이군에 따른 차이가 전혀 보이지 않았으나 이유 후 식이섭취 동안 군별 차이가 있어 특히 적은 양을 섭취한 Mortierella alpina 섭취군(LF)에서 체중이 가장 적었다. 섭취량자체도 적었고 증체량도 적었기에 이에 대한 식이 효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어미와 새끼의 미로실험에서 어미의 경우는 식이별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없었으며 또한 2차에 걸친 시기에서도 학습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유가 새끼의 미로 측정 결과를 보면, 통제군에 비하여 고추출유섭취군(HO)에서 실수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backing error빈도는 다른 군보다 낮았다고 볼 수 있어 긴사슬 지방산의 효과를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숙기인 7주령에 시행한 미로실험 에서는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뇌의 성장에 이유기까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결과로 보며, 지방급원으로서 곰팡이 자체의 섭취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효과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곰팡이의 체내 소화작용이나 식이섭취에 다른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어미와 새끼의 DNA함량을 비교하면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의 체중 증가의 지연에서 보듯이 뇌의 성장에서도 지연됨(무게감소)과 함께 DNA함량에서도 적게 나타났으나 어미의 경우, 간과 뇌의 DNA함량에 식이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 새끼의 뇌의 DNA함량은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이 가장 적었고 간의 DNA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새끼의 성숙기에는 식이군 간 차이가 있어 뇌의 DNA함량은 여전히 적었으나 간의 DNA함량에서는 체중 g당 환산할 때 Mortierella alpina를 적게 섭취한 군(LF)이 더 많아서 신체에서 간이 더 커진 모습을 보였다 아라키돈산의 섭취가 특히 어린시기의 뇌발달에 필요함을 인식할 때, 아라키돈산의 급원으로서 식이에 일정비율 공급할 필요에 맞추어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Mortieralla alpina 곰팡이를 이용함으로서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곰팡이의 배양과 기름의 추출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기름의 섭취에서 생육에 문제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량의 함유 아라키돈산의 효과를 미로를 이용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기에 산화과정을 우려하여 곰팡이 자체를 섭취시켜 본 결과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는 진균류의 세포막을 분리하여 내부에 포함된 지방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아라키돈산의 가격이 워낙 비싸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추출유로 충분한 식품첨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보지만 기타 미량 성분에 대한 추적이 요구되며 모든 공정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할 때 식품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동면 여부에 따른 기초 번식생리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in the Basic Reproductive Physiology of the Endangered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Based on Hibernation or Nonhibernation)

  • 정유정;김일훈;구교성;송재영;강신근;박대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77-985
    • /
    • 2016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종인 남생이의 복원을 위하여 개체증식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왔지만, 남생이의 번식생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 사이에 동면을 한 개체와 동면을 하지 않은 개체를 이용하여 성호르몬, 여포와 알의 수와 크기, 암 수간의 행동상호작용의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비록 동면 여부에 따라 다소의 편차는 있었지만, 암컷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7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10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수컷의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는 8-9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3월에 가장 낮았다. 동면을 한 암컷들은 5월초에서 7월 중순 사이에 완전히 발달한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 초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이루어졌다. 반면, 동면을 하지 않은 암컷들은 이른 4월부터 이른 6월 사이와 8월 중순에서 11월 하순 사이에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초, 10월 중순, 2월 초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동면이 여포와 알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행동연구에서 암 수간의 구애행동을 포함하는 행동상호작용은 8월 하순부터 증가되어 10-11월에 최대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남생이의 짝짓기 기간이 성호르몬의 증가와 직접 연계되어 있지만, 여포와 알의 발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멸종위기종인 남생이의 성공적인 번식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