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on 혈관종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전완부에 발생한 내혈관 유두내피 증식증(Masson 혈관종) (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Masson's hemangioma) Presenting as a Forearm Mass)

  • 전영수;유기형;김상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4
    • /
    • 2009
  • 내혈관 유두내피 증식증 (Masson 혈관종)은 피부나 피하조직에 주로 발생하는 흔하지 않은 양성의 혈관 병변으로 혈관 내피세포의 과도한 증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정상 또는 기형적인 혈관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혈관종, 화농성 육아종, 또는 림프관종등과 동반될 수 있다. 혈관내 유두상 내피성 과형성증은 임상적, 조직학적으로 저등급의 혈관육종으로 오인하여 진단, 치료할 수 있으므로 감별하여야 한다. 저자는 27세 환자가 전완부의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기 병명으로 진단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이하선 타석증 병발로 오인된 교근 내 혈관종 1예 (Intramuscular Sinusoidal Hemangioma of the Masseter Muscle with Organizing Thrombus Preoperatively Mimicking Coincidental Parotid Sialolithiasis)

  • 서영욱;신승호;서자영;변형권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9-83
    • /
    • 2017
  • Hemangi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in neonatal and infant stage.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 lesion mostly occurs in the masseter, trapezoidal or sternocleidomastoid muscle. Due to its rarity and non-specific symptoms, it is difficult to diagnose precisely. Intramuscular hemangioma can be misdiagnosed as sialolithiasis of the parotid gland. There are several treatment options for hemangiomas such as sclerotherapy, radiotherapy, embolization, and surgery. Of all these, definitive surgical resection is considered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future recurrence. Here we report a case of intramuscular hemangioma that was detected in the patient's right masseter muscle which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parotid sialolithiasis and was consequently managed with surgical resection.

경락의 관점에서 본 근막 분리조직의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 김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김단;권기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83-194
    • /
    • 2006
  •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