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sh-up Service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Optimizing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 Gaeun Kim;Byungjo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v.12 no.4
    • /
    • pp.35-43
    • /
    • 2023
  • This paper emphasizes that information received in disaster situations can lead to disparities i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otentially causing damage.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mong citizens. A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is designed to address the rapid dissemina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information, bridge information gaps, and alleviate anxiety. Through the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e can obtain clear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air quality, and guidelines for disaster-related actions. Using chatbots, we can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and support decision-making based on their queries and choices, utilizing cloud APIs, public data portal open APIs, and solution knowledge bases. Additionally, through Mashup techniques with the Google Maps API and Twitter API, we can extract variou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and location of disaster occurrences, update this information in the disaster database, and share it with user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azard Map using Where 2.0 Service (Where 2.0 서비스를 이용한 재해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Kim, Jung-Ok;Kim, Ji-Young;Kim, Yong-Il;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47-452
    • /
    • 2007
  • Where 2.0은 Google Map, Yahoo! Map 등이 공개한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교통, 환경, 범죄, 지역정보 등의 정보 및 개인정보를 혼합하여 지도 위에 시각화하거나,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web) 서비스가 일반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here 2.0 서비스를 이용한 재해지도의 작성 가능성을 제안한다. 재해지도 작성을 위해 기 구축된 건축물정보, 도로정보, 소방시설물정보 등의 공공자료를 바탕으로 재해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재난을 예방관리하고 재해 발생 시에는 대피 등에 활용하며, 공공정보의 디지털화 및 기 구축된 공공정보의 이용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웹 2.0 시대 매쉬업(mash up)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Personalized Contents using the Tags of the Social Bookmarking Service (소셜 북마킹 서비스의 태그를 이용한 개인화 콘텐츠)

  • Han, Ju-Hyeun;Jung, Moon-Ry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267-272
    • /
    • 2009
  • 웹 2.0 이라 불리는 현 웹의 패러다임은 개방, 공유, 참여로 압축하여 말할 수 있다. 이 속에서는 사용자의 참여와 공유로 콘텐츠가 생산 또는 재생산된다. 이러한 콘텐츠는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떠한 콘텐츠를 만들어 냈는지, 수집했는지 등을 분석하면 사용자의 관심 범주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소셜 북마킹 서비스를 이용하며 생성한 태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 범주를 추출하여 이를 통해 개인화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안한다. 우선,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피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태그 중 가장 많이 쓰인 10개의 태그와 그것들과 관련 있는 태그들만 모아서 관심 범주을 추출하기 위한 태그 집합을 구성한다. 구성된 태그 집합을 바탕으로 피어슨 상관 계수를 통해 태그 간 동시 사용률을 조사한다. 이후 사용자 흥미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조사된 동시 사용률을 바탕으로 검색 키워드 그룹을 추출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키워드 그룹들은 사용자의 평소 관심사와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 있는 내용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특별한 검색 절차 없이 제공받는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절차 없이도 웹에 축적된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Mobile Mash-up Service for Scheduling Using GPS and OpenAPI (GPS와 Open API를 이용한 모바일 일정관리 매쉬업 서비스 구현)

  • Go, Yun-Mi;Oh, Ki-Nam;Kwon, K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281-28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GPS모듈을 지원하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이동성이 높은 구성원들의 위치와 일정들을 관리하는 매쉬업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구성원들의 위치와 일정들을 손쉽게 관리, 제어 할 수 있게 되었다. GPS모듈을 지원하는 휴대전화는 KTF에서 제공하는 에뮬레이터와 GPS모듈을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매쉬업 서버는 네이버 지도 OpenAPI와 구글 캘린더 OpenAPI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droid LBS Application with Social Networking Service (다자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위치기반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oi, Min;Cho, H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642-644
    • /
    • 2011
  • 본 논문은 다자간 interaction (소셜네트워킹 서비스)과 이미지 map(지도 서비스)이 지원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ystem)를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다. 현대의 스마트폰 응용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가 합쳐져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쉬업(mash-up)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와 소셜네트워킹 서비스(SNS)의 결합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주변에서 개인취향에 가장 적합한 음식점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등의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2010년 한이음 IT멘토링 지원사업을 통해 진행된 산업체 멘토, 교수, 그리고 학생간 프로젝트 협업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경험을 확대하고, 창의력과 현장 적응력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xtraction Mashup for Reported Disaster Information on SNSs (SNS에 제보되는 재해정보 추출 매시업 설계 및 구현)

  • Seo, Tae-Woong;Park, Man-Gon;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1
    • /
    • pp.1297-1304
    • /
    • 2013
  • The quick report and propagate information are increasingly important because nowadays it is hard to predict the damages of flooding by unexpected heavy rain.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ways to receive disaster information in real time. Accordingly, we designed the system which can earn information from a lot of messages on twitter. Above all, our system can extract and deploy disaster information by comparison with erstwhile social network service mash-up system as only broadcast media. Significan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fastest extract disaster information system of mass media.

A Study of Advanced N-Tier Model for Improving Maintainability of Web Applications in Cloud Environment (클라우드 환경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성 향상을 위한 N-계층 모델의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In-Kyu;Shin, Joon-Chu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0 no.4
    • /
    • pp.537-552
    • /
    • 2013
  • Software-as-a-Service (SaaS) has led to paradigm shifts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area by combining it with SOA and Mashup. System developers now have more chances to access various high-quality functions through API opened on the web. But external resources are controlled by service providers so that it raises the component's uncertainty in system management which is related to external resources. In the cloud environment, components related to external resources causes negative effects on system's maintainability by making them dependant on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enhance maintainability by using stable external resources. For this work, we suggest the N+1-tier model in which an external resource tier is added to the N-tier model. After that, we analyze how adding an external resource tier affects the decreasing complexity of maintainability and improving maintainability on web application.

Location-based Mashup servic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formation (위치 기반 초·중·고 학교 정보 매쉬업 서비스)

  • Kim, Hae-Jin;Kim, Hae-Ran;Han, Soon-Hee;Cho, Hyug-Hyun;Ceong, Hee-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6
    • /
    • pp.651-656
    • /
    • 2010
  • In the homepage of 16 municipal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chool information service displays text-based results through search step or presents the simpl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rea when an area is clicked on the static image map. And it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server load and slow transfer speed by the search of the synchronous transfer. Thus, in this study, we used the open API of Google map to provide location-based school information and implemented the mash up service for school information with the Ajax program of asynchronous transfer to reduce server load and to increase transmission speed. This service gives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to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education family members of various levels because it includes the location with school information on a dynamic map.

Augmented Reality Framework for Archeological Site Tours (유적지 투어 지원을 위한 증강 현실기반 프레임워크)

  • Kim, Eunseok;Woo, Woontack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0 no.2
    • /
    • pp.35-43
    • /
    • 2015
  • A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has been utilized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several AR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in the cultural heritage domain. Although there has been significant progress in this area, naive augmentation representation becomes an obstacle to provide an enhanced user experience an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an effective AR experience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R technology.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temporary content that comes from the absence of the authoring framework restrains the content ecosystem, which is an essential requisite for sustainable service. To resolve these issues, we propose a space-driven AR experience methodology, Spacetelling, to extend established object-oriented augmentation trends and Storyscape that generates spatio-temporal related contents for the spacetelling and supports sustainable service. Moreover, we present the wrap-up system framework covering both features mentioned above for the archeological site tour. Finally, we present our work-in-progress project, K-Culture Time Machine Project,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our proposals. Through these proposals, we expect that sustainable AR applications with improved user experience will be possible in the cultural heritage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