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able yield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8초

Quality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Grown at Paddy Field in Spring Season

  • Im, Ju Sung;Cho, Ji Hong;Chang, Dong Chil;Jin, Yong Ik;Park, Young Eun;Chun, Chung Gi;Kim, Dong Un;Yu, Hong Seob;Lee, Jong Nam;Kim, Myung J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24-31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yield in potatoes grown at paddy field before rice transplantation during the spring season. Three potato cultivars ('Jowon', 'Haryeong', and 'Goun') were grown in Gangneung (asl 5 m) and Seocheon (asl 20 m). In both locations, weather condition belonged to the fourth zone (spring cropping) in potato production location's distribution of Korea. Daily mean soil temperature in both the locations was $0.2-0.6^{\circ}C$ lower than air temperature, while soil moisture was adequate level to potato growth in spite of spring drought. TR ratio was not affected by location, but by cultivar. Specific gravity, starch content, dry matter rate, and yiel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location and by cultiva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tuber number by location, however there was a large gap in marketable tuber yield according to locations and cultivars. There were high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yield and main qualities such as dry matter rate and starch content, while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ain qualities. It was possible to produce potato before rice transplanting at drained paddy fields located in representative two locations of potato spring cropping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growth and quality were similar to those generally well known in upland cultivation. Paddy field was thought to be more favorable than upland in terms of available soil moisture supply against spring drought. Further research, however, was needed to increase soil temperature and also preliminary review on proper cultivar according to location seemed to be needed for high yield.

제주에서 여름정식한 아스파라거스의 이듬해 적정 수확방법 구명 (Investigation of Proper Spring Harvesting Methods on the Summer Planted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in Jeju)

  • 성기철;김천환;이진수;문두경;강경희;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0-284
    • /
    • 2009
  •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의 첫 수확기를 단축하기 위한 여름정식 기술을 개발코자 하였으며,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 수확유무 및 방법이 아스파라거스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3개월 육묘한 모종을 2005년 6월 20일에 하우스내에 정식 하였다. 이듬해 봄 수확방법은 수확처리(완전수확, 부분수확) 및 무수확(관행)으로 하여 1, 2년차 생육 및 누적수량을 조사하였다. 2006년 1년차 봄 수량은 수확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수확처리구에서 399kg${\sim}$400kg/10a이 가능하였다. 2년차 봄 수량은 부분수확 처리구에서 834kg/10a, 완전수확 처리구에서 825kg/10a, 관행 처리구에서 908kg/10a를 보였다. 1년차의 수확방법에 의한 2년차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2년차 총 누적수량은 1년차 봄에 수확을 하는 처리구에서 관행에 비하여 35%(1,229kg/10a)증수되었다. 상품수량은 관행 839kg/10a에 비하여 1년차 수확처리구에서 33%(1,116kg/10a)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에 수확을 하는 것이 증수면에서 바람직하며, 여름정식은 정식 후 8개월만에 첫 수확이 가능하였다.

고구마 만기재배에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삽수크기 및 삽식깊이의 영향 (Effects of Cutting Size and Planting Depth on Growth and Yield in Late-Cultivation of Sweet Potato)

  • 이승엽;김태환;이나라;이어진;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3-158
    • /
    • 2010
  • 고구마 만기재배를 위하여 '진홍미'를 공시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삽수크기 및 삽식깊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삽수크기에 따라 삽식 30일 후 줄기신장, 마디수 및 생체중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120일 후에는 10cm와 30cm 삽수 간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삽식깊이에 따라 삽식 30일 후 초기 생육은 2마디 깊이 삽식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4마디 깊이 삽식에서 오히려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20일 후 지상부 생육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삽수 크기가 클수록 주당 총저수와 주당 총저중, 상저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식물체당 괴근수 및 괴근중, 10a당 수량 등은 10cm 삽수에서 20~30cm 삽수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삽식깊이가 깊을수록 식물체당 괴근수는 증가한 반면, 평균 괴근중은 감소하였고, 10a당 수량은 3마디 삽식에서 기장 높았다. 띠라서 고구마 만기재배에서 생육 및 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삽수크기는 20cm 이상, 삽식깊이는 2~3마디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지방에서 키토산 처리가 가을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f Growth and Yield of Fall-Planted Potato(Salanum tuberosum) Dejima in Jeju Island)

  • Park, Yong Bong;Yang, Kook Nam;Kim, Ki Taek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1-257
    • /
    • 2001
  • 2000년 8월부터 2001년 4월까지 2년동안에 걸쳐 제주도 서부지역 표고 250m 지대인 북제주군 애월읍 유수암리에서 chitosan 처리가 가을감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 chitosan 액제 200배액에 종서를 30분간 침지하였다가 정식한 처리구가 타처리구에 비하여 맹아가 완료되는 시기가 6∼4일이 빨랐고, 경장 및 경수는 3% chitosan 액제 200배액에 종서를 30분간 침지 처리구가 각각 56.5cm와 4.3개/주로 많았으며 복지수도 주당 19.0개로서 가장 많아다. 감자의 크기별 개수는 3% Chitosna 액체에 30분간 침지한 것을 50-200g까지의 상서가 12,952개/10a로 가장 많은 반면 30-50g 정도인 소서는 1,143개/10a로 중서 이상 비율이 높게 나타나 전체 숫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감자의 총수량은 3% chitosan 200배액에 종서를 30분간 침지한 처리구가 2,963kg/10a로 가장 많아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 상서(30g 이상)의 수량은 3% chitosan 액제 200배액에 종서를 30분간 침지처리구가 2,761kg/10a, chitosan 분말 토양처리(10kg/10)+200배용액 경엽에 2회 살호한 것이 2,628kg/10a로 많았다. 감자 성분 분석결과 3% chitosan액제 200배액에 종서를 30분 침지처리구에서 Mg, Fe, K, B의 함량이 타처리에 비해 높게 나타나 이들 성분들이 엽록소를 증가시켜 주고 세포분열증가로 탄소동화작용을 촉진시켜서 전체적인 수량증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갇되었다.

  • PDF

비료종류(肥料種類)에 따른 패모(貝母)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Fertilizer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uel)

  • 최인식;박재성;이제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7-153
    • /
    • 1997
  • 패모(貝母)재배시 적정(適正) 비료(肥料)를 선발하고자 지방재래종을 공시(供試)하여 $1993{\sim}1995$년에 걸쳐 $M^2$당 22구(球)로 파종하여 3요소비료 등 10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무비구(無肥區) 3월 12일에 비하여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는 $1{\sim}5$일 빨랐으며, 출현율(出現率)은 무비구(無肥區) 98.2%에 비하여 비료 시용에서 $2.4{\sim}35.7$%가 각각 낮았다. 2.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중 초장(草長)은 무비구(無肥區) 4.2cm보다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는 $2.8{\sim}10.6$cm가 각각 길었으며, 엽장(葉長)과 엽폭(葉幅)도 초장(草長)과 같은 경향이었다. 3. 구고(球高)는 무비구(無肥區) 1.9cm에 비하여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는 $0.1{\sim}0.2$cm 증가되었으나, 구폭(球幅)은 무비구 2.2cm에 비하여 비료시용(肥料施用)에서는$0.5{\sim}0.7$cm 증가 되었다. 4. 10a당 총수량(總收量)은 무비구 572kg에 비하여 3요소비료는 27%, 퇴비시용은 24%, 마늘전용복합비료 시용은 23%, 계분비료 시용은 21%가 각각 증수되나, 상품수량(商品收量)은 무비구 229kg에 비하여 퇴비 시용은79%, 마늘전용복합비료, 계분비료는 72%, 유기질비료는 69%가 각각 증수되어, 중북부 내륙지방에서 패모(貝母)재배시 화학비료 시용보다는 퇴비, 계분비료 등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오이묘의 저온처리가 생육, 과실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Yield, Fruit Characteristics and Growth caused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

  • 남윤일;우영회;홍규현;이관호;서규선;김종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77-90
    • /
    • 2008
  • 본 연구는 오이묘의 생육단계에 따라 저온처리 온도와 지속기간이 오이 생육, 과실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시간 저온처리(3℃ 및 0℃)하여 20일간 수경재배한 오이의 초장은 무처리 (20℃)에 비해 각각 25 및 30%, 엽면적은 34 및 37% 감소되었으나, 6℃ 처리에서는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저온처리 기간에 따른 생육저해는 처리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저온처리(3℃, 10시간)횟수를 1, 2 및 3회로 증가할수록 초장, 엽면적 및 건물중은 무처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나 1회와 2회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3회 연속처리에서만 현저히 감소하였다. 3. 오이과실의 개화 후 일수에 따른 신장속도는 무처리는 0.61~2.60cm/일 인데 비하여 0℃, 15시간의 저온 처리는 0.59~2.26cm/일로 약 10% 감소되었다. 4. 저온처리(0~3℃,10시간)는 오이의 상품과율을 25~26% 감소시켰고, 하품과율은 현저히 증가시켰다. 5. 오이 수량은 6℃, 10시간 처리에서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3℃와 0℃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20일묘에서 15~25%, 30일묘에서 22~37% 감수되었다. 0℃에서 5시간, 10시간 및 15시간 저온처리하였을 때에는, 무처리에 비해 각각 18%, 30%, 및 36% 감수되었다.

단동 비닐하우스의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 개선이 참외생육 및 과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ified Installation Methods of Ro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s on Yield and Fruit Quality of Oriental Melon)

  • 여경환;유인호;최경이;이성찬;이재한;박경섭;이중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342
    • /
    • 2016
  •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의 개선에 의한 작물 재배효과를 검증하고자 농가현장에서 개선 지붕 환기방식과 관행환기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선 지붕 환기방식은 참외재배 단동 플라스틱 온실(폭 5.6m, 길이 108m, 측고 1.1m, 동고 2.2m)에 지붕 환기팬(용량 $38m^3/min$)과 환기통(지름 60cm)을 각각 15m와 6m 간격으로 설치하였고, 대조구로서 관행 지붕 환기방식은 각각 20m와 8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관행 및 개선 지붕 환기 방식에 따른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과 환기팬 처리에 비해 개선 환기통과 개선 환기팬 처리에서 경경, 엽장, 엽병장, 및 엽폭의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기 전반부에 관행 환기통 처리는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절간장이 다소 길게 발달하였는데 이는 착과수가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적었고, 착과수 감소로 인해 동화산물이 잎과 줄기의 신장부로 좀 더 이동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참외재배 단동 비닐하우스에서 과실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처리는 관행처리에 비해 과중은 약간 작았지만, 착과수 증가로 인해 전체 수량은 높게 나타났다.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설치 하우스에서는 관행 지붕 환기 하우스에 비해 상품과율이 높았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각각 8,391kg, 7,283kg 으로 나타나 관행 지붕 환기에 비해 개선 환기팬 처리는 661kg, 개선 환기통 처리는 487kg 더 증가하였다. 개선 환기팬 처리는 고온기에 암꽃수와 착과수가 가장 많았고, 낙과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관행의 환기통 처리에 비해 과실의 크기는 작았다. 시기별 환기방식에 따른 참외 과실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 환기에서 과중, 과경, 과폭, 및 과육두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과폭, 과육두께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관수마감시각에 따른 용수이용효율 및 비료이용효율 증진 (Improvement of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y by Daily Last Irrigation Time for Tomato Perlite Bag Culture)

  • 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8-412
    • /
    • 2009
  •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일중 관수마감시각을 달리함으로써 최적 생장을 유지하면서도 용수이용효율(WUE)과 비료이용효율(FUE)을 높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관수마감시각에 따라 일몰 1시간 전부터 4시간 전까지 4단계로 나누어 처리한 결과, 배지 내 수분함량은 마감시각이 늦을수록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최종 생육은 일몰 4시간 전 처리구에서 약간 낮은 경향을 보이기는 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상품수량은 일몰 1시간 전 및 2시간 전에서 가장 많았고, 4시간전에서 가장 적었다. 관수마감시각 처리별 128일 동안의 급액량을 조사한 결과, WUE와 FUE는 일몰마감 1시간 전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3시간 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식물생육, 수확량 및 WUE와 FUE 등의 면에서 일몰 4시간 전에 관수를 중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2~3시간 전에 마감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stics and Quality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rown under Upland and Paddy Field

  • Lee Sung Woo;Kang Seung Won;Seong Nak Sul;Hyun Geun Su;Hyun Dong Yun;Kim Young Chang;Cha Seon 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89-39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extract content between upland and paddy ginseng cultured with 4­year-old ginseng in 2003. Although upland ginseng showed larger variation in yield than that of paddy ginseng, the average of it was greater than that of paddy ginseng because it showed better growth of aerial part and higher survival rate than that of paddy ginseng. Moisture content of fresh root was $71.8\%\;(68.5\~73.1\%),\;and\;72.7\%\;(70.2 \~74.9\%)$ on average in upland and paddy ginseng, respectively. Paddy ginseng showed higher hardness in taproot, and higher rate of rusty colored root than that of upland ginseng. The ratio of taproot dry weight in upland ginseng was smaller than that of paddy ginseng, while that of lateral root was larger in upland ginseng. Ratio of marketable root (>60g) to total harvested roots was $13.7\%\;(0.82\~8.0\%)\;and\;7.7\%\;(1.6\~12.6\%)$ in upland and paddy ginseng, respectively. Extract content did not show distinct difference between upland and paddy ginseng, but it showed large variation from $16.1\;to\;25.1\%$ in taproot, and from $24.2\;to\;32.5\%$ in lateral root depanding on the ginseng field examined.

Comparisons of Ion Balance, Fruit Yield,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ies in Open and Closed Soilless Culture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 Ko, Myat Thaint;Ahn, Tae In;Son, Jung Eek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23-428
    • /
    • 2013
  • Although closed soilless culture is useful for saving water and fertilizers with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adequate management of nutrient solutions is still not stabilized in greenhouse cultiv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ccurred in closed soilless culture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v. Fiesta), we compared ion balance, fruit yield, and the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ies in the closed system with those in the open system. The plants were grown in rockwool culture with a nutrient solution of EC $2.5dS{\cdot}m^{-1}$. After 4 weeks of treatment, individual ratio of $NO{_3}^-$, $K^+$, $Ca^{2+}$, and $Mg^{2+}$ to total ion concentrations ($meq{\cdot}L^{-1}$) decreased from the initial value, especially the biggest decrement was observed in $K^+$, and on the other hand, $SO{_4}^{2-}$, $Cl^-$, and $Na^+$ were accumulated in the closed system. Yields after four-time harvests were 19% higher in the open system than in the closed system. Total volume of water used per unit area ($m^2$) in the open system was 20% higher, but the total water use per fru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ystems, while t total fertilizer use per fruit was 78% higher in the closed system. Amount of marketable frui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ystems. We concluded that the increase in $K^+$ supply and the replenishment of recycled nutrient solution every four weeks were required for preventing the imbalance or depletion of nutrients in the close soilless culture of paprika plants to get more balanced nutrient composition during whole cultiva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