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meteorology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6초

Wind characteristics of a strong typhoon in marine surface boundary layer

  • Song, Lili;Li, Q.S.;Chen, Wenchao;Qin, Peng;Huang, Haohui;He, Y.C.
    • Wind and Structures
    • /
    • 제15권1호
    • /
    • pp.1-15
    • /
    • 2012
  • High-resolution wind data were acquired from a 100-m high offshore tower during the passage of Typhoon Hagupit in September, 2008. The meteorological tower wa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anemometer and a number of cup anemometers at heights between 10 and 100 m. Wind characteristics of the strong typhoon, such as mean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turbulence intensity, turbulence integral length scale, gust factor and power spectra of wind velocity, vertical profiles of mean wind speed were investigated in detail based on the wind data recorded during the strong typhoon. The measured results revealed that the wind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stages during the typhoon varied remarkably. Through comparison with non-typhoon wind measurements, the phenomena of enhanced levels of turbulence intensity, gust factors, turbulence integral length scale and spectral magnitudes in typhoon boundary layer were observed. The monitored data and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wind-resistant design of offshore structures and buildings on seashores in typhoon-prone regions.

Numerical Simulation of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Al-Zour Area of Kuwait

  • Lee, Myung Eun;Kim, Gunwoo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4-343
    • /
    • 2019
  • The Al-Zour coastal area, located in southern Kuwait, is a region of concentrated industrial water use, seawater intake, and the outfall of existing power plants. The Al-Zour LNG import facility project is ongoing and there are two issues regarding the seawater temperature in this area that must be considered: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under local meteorology and an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thermal discharge of expanded power plant. MIKE 3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water temperature from June to July, based on re-analysis data from the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 and the thermal discharge input from adjacent power plants. The annual water temperatures of two candidate locations of the seawater intake for the Al-Zour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ere measured in 2017 and compared to the numerical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daily seawater temperature is mainly affected by thermal plume dispersion oscillating with the phase of the tidal currents. The regional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tidal currents, also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prediction of seawater temperature.

Variability of Mesoscale Eddies in the Pacific Ocean Simulated by an Eddy Resolving OGCM of $1/12^{\circ}$

  • Yim B.Y.;Noh Y.;You S.H.;Yoon J.H.;Qiu B.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6년도 PARALLEL CFD 2006
    • /
    • pp.133-136
    • /
    • 2006
  • The mesoscale eddy field in the North Pacific Ocean, simulated by a high resolution eddy-resolving OGCM ($1/12^{\circ}C$ horizontal resolution),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satellite altimetry data of TOPEX/Poseidon. High levels of eddy kinetic energy (EKE) appear near the Kurosho, North Equatorial Current (NEC), and Subtropical Countercurrent (STCC) in the western part of the subropical gyre. In particlure, it was found that the EKE level of the STCC has a well-defined annual cycle, but no distinct annual cycle of the EKE exists in any other zonal current of the North Pacific Ocean.

  • PDF

기상 관측선 기상 1호에서 관측한 황해의 에어로졸과 구름응결핵 수농도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Aerosol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Concentrations Measured over the Yellow Sea on a Meteorological Research Vessel, GISANG 1)

  • 박민수;염성수;김나진;차주완;류상범
    • 대기
    • /
    • 제26권2호
    • /
    • pp.243-256
    • /
    • 2016
  • Total number concentration of aerosols larger than 10 nm ($N_{CN10}$), 3 nm ($N_{CN3}$),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N_{CCN}$) were measured during four different ship cruises over the Yellow Sea. Average values of $N_{CN10}$ and $N_{CCN}$ at 0.6% supersaturation were 6914 and $3353cm^{-3}$, respectively, and the minimum value of $N_{CN10}$ was $2000cm^{-3}$, suggesting significant anthropogenic influence even at relatively clean marine environment. Although $N_{CN10}$ and $N_{CN3}$ increased near the coast due to anthropogenic influence, $N_{CCN}$ was relatively constant and therefore $N_{CCN}/N_{CN10}$ ratio tended to decrease, suggesting that coastal aerosols were relatively less hygroscopic. In general $N_{CN10}$, $N_{CN3}$, and $N_{CCN}$ during the cruises seem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t scavenging effects (e.g. fog) and boundary layer height variation. Only one new particle formation (NPF) event was observed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Interestingly, the NPF event occurred during a dust storm event and spatial scale of the NPF event was estimated to be larger than 100 km.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erosol and CCN concentration over the Yellow Sea can vary due to various different factors.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인 나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Marine Environments in the Neighborhood of the Narodo as the First Outbreak Reg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 이문옥;문진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3-123
    • /
    • 2008
  • 유독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으로 알려져 있는 나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2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실시한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및 적조정보자료와 고흥지방의 기후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8월에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발생시기는 해마다 빨라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표층 염분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기의 빨라짐과의 어떤 관련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최초로 발생할 때는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또는 진해만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사량은 많았고 강수량은 적었다. 8월의 나로도 주변 해역의 평균 수온 및 염분은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및 진해만에 비하여 평균 수온은 $0.2{\sim}0.6^{\circ}C$, 염분은 $1.84{\sim}3.91psu$ 각각 더 높았으며, 두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 고염을 나타내었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은 부영양화 해역으로 알려진 진해만에 비해서는 영양염이나 식물플랑크톤의 농도가 현저히 낮았으나, 전체적인 수질환경은 가막만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요인으로서는 기상인자와 물리적 환경인자인 일사량과 수온이 가장 중요하며, 부차적으로 수질요소인 COD와 용존산소의 농도가 여기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태풍 또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 PDF

제주도 북동부 한동지역의 MCP 회귀모델식을 적용한 AEP계산에 대한 연구 (Estimation of Annual Energy Production Based on Regression Measure-Correlative-Predict at Handong, the Northeastern Jeju Island)

  • 고정우;문서정;이병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45-550
    • /
    • 2012
  • 풍력발전 단지의 설계시 풍력 자원 평가 과정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풍력 자원 평가를 위해 장기풍황(20년)자료를 이용하여야 하지만 장기간 관측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예정지의 1년 이상의 관측데이터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정지의 단기 풍황탑(Met-Mast; Meteorology Mast) 자료를 주변의 장기관측 자료인 자동기상관측(AWS; Automatic Weather Station)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학적 보간법으로 예정지의 데이터를 장기 데이터로 변환한 것을 MCP(Measure-Correlative-Predict)기법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MCP기법 중 선형 회계방법을 적용하였다. 선택된 MCP 회귀 모델식에 따라 제주 북동부 구좌지역의 AWS데이터를 제주 북동부 한동 지역의 Met-mast 데이터에 적용하여 연간 에너지 생산량을 예측 하였다. 예정지의 단기 풍황을 이용하였을 때와 보정된 장기 풍황을 이용하여 때 연간 에너지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간 약 3.6 %의 예측오차를 보였고, 이는 연간 약 271 MW의 에너지 생산량의 차이를 의미한다. 풍력발전기의 생애주기인 20년을 비교 하였을 때 약 5,420 MW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 9개월 정도의 에너지 생산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결과적으로, 제안 된 선형 회귀 MCP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단기관측 자료를 통한 불확식성을 제거하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연안 해양기상(해상풍, 수온) 관측을 위한 항공기 원격탐사 시스템 (Development of Airborne Remote Sensing System for Monitoring Marine Meteorology (Sea Surface Wind and Temperature))

  • 김덕진;조양기;강기묵;김진우;김승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1호
    • /
    • pp.32-39
    • /
    • 2013
  • 인공위성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전 세계의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용하지만, 좁은 지역에 대한 적시적소에 촬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원격탐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항공기 원격탐사시스템은 SAR센서와 열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획득된 자료의 방사 및 기사보정을 위하여 GPS, IMU, 온도/습도계 등도 설치하였다. SAR영상은 표면 거칠기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밝기 값이 달라지게 되며, 해양에서는 바람에 의해 쉽게 생성 되는 표면 장력파의 진폭이 이러한 표면 거칠기를 야기한다. 따라서 정량화된 SAR의 후방산란과 해상풍 사이의 관계식을 통해 해상풍 추출이 가능하다. 한편, 열적외선 센서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물체와 센서 사이의 대기에 의한 효과를 보정한 후 수온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 두 센서를 탑재한 항공기로 서해안 일대를 4차례 시험비행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획득된 SAR 및 열적외선 영상의 품질이 연안환경 모니터링 및 해양기상 자료 추출에 충분함을 보여주었다.

APPLICATION OF HF COASTAL OCEAN RADAR TO TSUNAMI OBSERVATIONS

  • Heron, Mal;Prytz, Arnstein;Heron, Scott;Helzel, Thomas;Schlick, Thomas;Greenslade, Diana;Schulz, Eric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34-37
    • /
    • 2006
  • When tsunami waves propagate across open ocean they are steered by Coriolis force and refraction due to gentle gradients in the bathymetry on scales longer than the wavelength. When the wave encounters steep gradients at the edges of continental shelves and at the coast, the wave becomes non-linear and conservation of momentum produces squirts of surface current at the head of submerged canyons and in coastal bays. HF coastal ocean radar is well-conditioned to observe the current bursts at the edge of the continental shelf and give a warning of 40 minutes to 2 hours when the shelf is 50-200km wide. The period of tsunami waves is invariant over changes in bathymetry and is in the range 2-30 minutes. Wavelengths for tsunamis (in 500-3000 m depth) are in the range 8.5 to over 200 km and on a shelf where the depth is about 50 m (as in the Great Barrier Reef) the wavelengths are in the range 2.5 - 30 km. It is shown that the phased array HF ocean surface radar being deployed in the Great Barrier Reef (GBR) and operating in a routine way for mapping surface currents, can resolve surface current squirts from tsunamis in the wave period range 20-30 minutes and in the wavelength range greater than about 6 km. There is a trade-off between resolution of surface current speed and time resolution. If the radar is actively managed with automatic intervention during a tsunami alert period (triggered from the global seismic network) then it is estimated that the time resolution of the GBR radar may be reduced to about 2 minutes, which corresponds to a capability to detect tsunamis at the shelf edge in the period range 5-30 minutes. It is estimated that the lower limit of squirt velocity detection at the shelf edge would correspond to a tsunami with water elevation of less than 5 cm in the open ocean. This means that the GBR HF radar is well-conditioned for use as a monitor of small and medium scale tsunamis,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sunami genesis research.

  • PDF

단층대의 전기전도도 변동에 의한 UHF 전자기장 교란 (UHF Electromagnetic Perturbation due to the fluctuation of Conductivity in a Fault Zone)

  • 이춘기;이희순;권병두;오석훈;이덕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2호
    • /
    • pp.87-94
    • /
    • 2003
  • 지진 발생을 전후로 ULF대역 지자기장의 진폭이 증가하는 현상이 관측 보고 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서 단층대 전기전도도의 빠른 변동이 거론되고 있다. 즉 단층대 매질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면 전자기장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단층구조 모델에 대한 수치 계산을 통해 전자기장 교란의 발생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전기전도도가 ULF 대역의 주파수로 진동하면 낮은 주파수의 전자기장들이 ULF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되어 좁은 주파수 대역에 중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전자기장의 교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단층대의 전기전도도와 형태, 전기전도도 변동의 크기와 주파수, 지각 및 맨틀의 전기비저항 구조, 관측 전자기장 주파수 대역의 폭 등에 의해 전자기장 교란의 관측가능성이 결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진과 관련된 전자기적 활동의 관측을 위해서는 단층대의 구조 뿐만 아니라 심부 지각의 전기비저항 구조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관측 주파수 대역의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광대역 지진자료의 P파를 이용한 모멘트 규모 결정 (Moment Magnitude Determination Using P wave of Broadband Data)

  • 황의봉;이우동;조봉곤;조범준
    • 지구물리
    • /
    • 제10권1호
    • /
    • pp.1-12
    • /
    • 2007
  • 지진해일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중거리, 원거리 지진 대해서 광대역 자료를 이용한 모멘트 규모(Mwp)를 신속하게 추정하는 방법을 기존 연구와 다른 관측환경을 가지고 있는 한반도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5이상의 지진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시간 영역에서 수직성분의 변위자료를 적분한 후 P파 구간에서 최댓값을 이용해 모멘트 규모를 계산할 수 있다. P파 도달 후 S파를 포함한 다른 파를 제외하기 위해서 자료처리를 위한 시간창의 크기를 설정하였다. 계산에 필요한 입력 자료로 한반도의 지각속도구조에서 제시된 P파의 속도, 밀도를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관측 환경에 의한 영향을 보기 위해 계기 보정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관측 장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계기보정을 실시하였으며 계기보정 후에 계산된 평균 모멘트 규모가 보정 전 보다 약 0.1정도 크게 나왔다. 하지만 그 결과는 일본 기상청과 Havard CMT 목록에서 제시된 모멘트 규모와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테스트한 Mwp 모멘트 규모는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이 국내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비해 빠르게 지진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에서 발생한 지진일경우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