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Diesel Engine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23초

소형 레저어선의 다동체 선형설계 연구 (A Study of Multi Hull Form Design for Small Leisure Fishing Vessels)

  • 이승희;이영길;강대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8-108
    • /
    • 2006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소형 다동체 레저낚시어선의 선형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배의 길이 LOA 15 m, LBP 12 m, 총톤수 9.77톤, 경하배수량 15.1톤인 쌍동선은 이미 선형개발이 완료되어 건조후 운항 중에 있는데, 이는 선박검사기술협회의 주관으로 충남대학교, 인하대학교, 서울대학교와 조선소인 (주)어드밴스드마린테크가 공동참여하여 낚시전용어선으로 선형개발한 것으로서 선체의 재질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이고, 주기관은 디젤엔진 $360ps{\times}2800rpm{\times}2sets$(시제선은 $283ps{\times}2600rpm{\times}2sets$ 장착)에 워터제트(Water Jet) 추진시스템을 채용하였다. 이러한 사항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배의 길이 LOA 17 m, LBP 14m(Side Hull 6 m), 총톤수 9.77톤, 경하배수량 11.2톤인 삼동선형의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었던 인하대학교 황해권 수송시스템 연구센터(CTYS)사업과 관련하여 소형 다동체 레저어선의 선형설계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선박용 디젤 엔진 크랭크 스로 부품용 S34MnV강의 피로한도에 대한 신뢰도 예측 (Prediction of Reliability of Fatigue Limit of S34MnV Steel for Marine Diesel Engine Crank Throw Components)

  • 김선진;공유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8호
    • /
    • pp.751-757
    • /
    • 2016
  • 본 논문은 스테어케이스법을 사용하여 크랭크 스로 부품용 S34MnV강의 피로한도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크랭크 스로 부품의 소재는 S34MnV이며, 뜨임 및 풀림 열처리된 단조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피로강도의 신뢰도를 예측하기 위해 축 하중 일정진폭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편은 평균응력 0 MPa의 동일한 응력부하를 적용하였고, 즉 응력비는 -1로 하였다. 피로시험 결과는 Dixon-Mood 접근법으로 평가하였다. 스테어케이스법에 의해 예측된 피로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296.3 MPa 및 10.6 MPa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떤 임의의 파손 확률에 대한 피로강도의 신뢰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예측법은 단조강의 설계 최적화를 위한 피로강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선박용 엔진 제조업 들기작업의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를 위한 세 가지 방법 비교 (Comparison of Three Methods Assessing the Ergonomic Risks of Manual Lifting Tasks at Ship Engine Manufacturing Facilities)

  • 김선자;신용철;김부욱;김현동;우지훈;강동묵;이현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3
    • /
    • 2005
  • A variety of ergonomic assessment methods of lifting tasks known as a major cause of work-related lower back pain have been used. But there is a limited information in choosing the most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 for a particular job and in finding out strengths and weakness of th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compare the ergonomic risks of lifting tasks in a marine diesel engine production industry by three lifting ergonomic assessment tools widely used: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Revised Lifting Equation(NLE), the Washington Administrative Code 296-62-0517(WAC), and the Snook Tables. Lifting index(weight of load/Recommended Weight Limit) of NLE($LI_{NLE}$) was above 1 at 34 tasks(75.6%) of a total number of 45 lifting tasks. LI of WAC($LI_{WAC}$) was above 1 at 11 tasks(24.4 %). LI of Snook Table($LI_{Snook}$) was above 1 at 29 tasks(64.4%). Thus, LI was high in orders of $LI_{NLE}$ > $LI_{Snook}$ > $LI_{WAC}$.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s among three Lls(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I_{NLE}$and the other three Lls($LI_{WAC}$ and $LI_{Snook}$) were r=0.93 and r=0.88, respectively.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were y = 0.444x + 0.11(r=0.93) between $LI_{NLE}$ and $LI_{WAC}$, y = 0.93x + 0.008(r=0.88) between LI(NLE) and $LI_{Snook}$. The LI values by WA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by the other tools. The compared features, strength and limitation among these tools were described in this paper.

선박용 디젤엔진 SCR 시스템 요소 기술에 관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n Factor Technology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in Marine Diesel Engine)

  • 박윤용;송하철;안기주;심천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73-181
    • /
    • 2016
  • 2016년부터 배출통제지역(ECA : Emission Control Atea)을 운항하는 선박에 대하여 배출되는 NOx(질소산화물) 및 SOx(황산화물)의 배기량 감소규제가 강화되었다. 상기의 규제 물질 중 NOx를 제거하는 탈질장비 중 선택적 촉매 환원(SCR : Selectivity Catalytic Reduction) 시스템은 효율이 높고 상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높은 온도에서 요소수가 활성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초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반응할 수 있는 요소수 및 요소수 활성화 기기를 개발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SCR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ANSYS-CFX package를 이용한 전산유체역학(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기법을 사용하였다. Navier-Stokes 방정식을 해석의 지배방정식으로 적용하여 SCR 시스템의 점성유동해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SCR 시스템의 형상은 CATIA V5를 사용하여 3D 모델링을 하였고, SCR 시스템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요소수 분사 노즐의 위치를 요소수 분사 노즐은 배기관의 입구로부터 1/3, 1/2, 2/3로 변경하며 확인하였다. 또한, 노즐의 분사구 수가 SCR 시스템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사구 수가 4, 6, 8개일 경우를 시뮬레이션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배기관 입구에 가까울수록, 분사구 수가 많을수록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