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chantia polymorph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Multivesicular bodies 및 Cytolysomes에 관(關)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 김우갑;김창환;박홍덕;양희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6권1호
    • /
    • pp.21-32
    • /
    • 1976
  •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chraceus의 균계 Agricus bisporus, Rhizopogon rubescens의 자실층균계 및 담자기세포, Marc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iulium 의 동화조직,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Panax ginseng 의 엽육조직의 소편을 glutaralehyde-paraformalehyde 및 $OsO_4$에 고정하여 다소포체 및 세포질용해체와 관련된 다양상인 막성구조의 기원과 기능에 관하여 전 자현미경적으로 추구하였다.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 ochraceus, Agricus bisporus, Rhizopogon rubescens 의 동심원상인 다층막, 미에린一소포-관상구조의 복합체, 평행다층막구조등은 원형질막에서 유래된다. Marc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uilinum,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Panax ginseng 에 있어서 pinocytotic vesicles 외에 다양상안 막성구조는 원형질막과 세포질안의 무과립성 소포체에서 유래된다. 원형질막에서 유래되는 것은 다소포체인 것과 미에린 양구조인 것으로 구분되고, 이것은 2차액포를 형성하거나 또는 1차액포안으로 유리되어 퇴화한다. 세포질안의 소포체가 세포질의 일부를 포위하고 그 내부에 막증식과 더불어 세포질이 감소되면서 다층막구조로 변하고, 이것은 액포안으로 유리되어 퇴화한다. 세포질의 소포체에서 유래되는 것은 액포분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포질분리체 또는 세포용해체인 것으로 믿어진다.

  • PDF

용기 내 발생하는 이끼류의 화학적 방제 (Chemical Control of Mosses in Container Nursery)

  • 김종진;이경재;송기선;차영근;최규성;정영숙;이종화;윤택승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1-335
    • /
    • 2010
  • 본 연구는 임업시설양묘 시 용기 내에 발생하여 묘목의 생장을 방해하는 이끼류의 방제법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끼류 방제 가능성이 있는 6종류의 화학물질을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우산이끼(Marchantia polymorpha)가 발생한 소나무(Pinus densiflora) 용기묘 2년생과 솔이끼(Polytrichum commune)가 발생한 편백(Chamaecyparis obtusa) 용기묘 1년생을 대상으로 이들 물질을 처리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이끼 방제 물질은 quinoclamine으로 조사되었다. 이 성분 0.9 g/l의 농도에서 우산이끼는 100%, 솔이끼는 95.5%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Quinoclamine 다음으로는, 처리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2종류 이끼 모두 목초액, flumioxazin, oxyfluorfen 순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flumioxazin과 oxyfluorfen 고농도 처리에서는 화학물질 처리에 따른 용기묘의 약제 피해가 발생하였다.

덕유산의 한국산 미기록 태류식물 (Unrecorded Liverwort Species from Mt. Deogyu, Korea)

  • 최승세;;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8-225
    • /
    • 2010
  • 덕유산 (1614 m)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태류식물 10 분류군을 발견하였다. 미기록속인 엄마이끼과의 창이끼 [Tetralophozia filiformis (Steph.) Urmi]와 미기록종인 쌍갈고리이끼과의 왕쌍갈고리이끼 [Herbertus buchii $Jusl{\acute{e}n$], 벼슬이끼과의 선좀벼슬이끼 [Bazzania japonica (Sande Lac.) Lindb.], 겉게발이끼과의 산겉게발이끼 [Cephaloziella hampeana (Nees) Schiffner ex Loeske.], 망울이끼과의 꼬마망울이끼 [Jungermannia japonica Amak.], 은비늘이끼과의 고산양끝통이끼 [Marsupella alpina (Gott. ex Husn.) Bernet.], 날개이끼과의 숲누운날개이끼 [Pedinophyllum interruptum (Nees) Kaal.], 지네이끼과의 푸른지네이끼[Frullania polyptera Tayl.], 가시지네이끼과의 계곡가시이끼 [Jubula hutchinsiae ssp. javanica (Steph.) Verd.], 우산이끼과의 고산우산이끼[Marchantia polymorpha ssp. montivagans Bischl. and Boisselier-Dubayle.]는 덕유산 계곡 및 능선부에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고 있었다.

광학적 자가영양 배양세포를 이용한 광합성 전자전달억제자의 간이검정방법 (Screening Method for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Inhibitors Using Photoautotrophic Cultured Cells)

  • 정형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5-252
    • /
    • 1993
  • 광합성 전자전달 억제물질에 대한 빠른 검색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녹색배양 세포인 광학적 자가 영양세포(PA)를 이용하여 실용화된 제초제 및 4종의 잡초 추출액으로 부터 PA세포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녹색배양 세포인 담배 및 우산이끼 PA세포는 타가 영양세포에 비하여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형 제초제들은 700배 이상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호르몬 작용형 제초제인 2, 4-D는 감수성의 차가 8배로 낮게 나타났다. 우산이끼 PA세포는 약제 농도간의 범위(0.01~0.9${\mu}$M)가 좁아 약제선발시 타 배양 세포에 비하여 좋은 재료임을 암시하였으며,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약제에 대해서 힐(hill)반응과 동일하게 광합성 산소발생 억제정도인 PI$_{50}$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잡초 중 여뀌 추출액 10% 처리시 PA배양 세포의 엽록소 함량이 가장 낮았고, 광합성 산소발생 억제율이 가장 높았다. 수용 및 MeOH액으로 추출한 10% 여뀌 추출액을 반응용액 3ml에 300${\mu}$l 반응시 우산이끼 PA배양세포에 대해 각각 60%, 100% 광합성 산소발생 억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PA세포들은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형 약제에 대하여 빠르고 민감한 검색수단으로서 좋은 재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다.

  • PDF

Cloning and Expression of a Rice cDNA Encoding a Lls1 Homologue of Maize

  • Jwa, Nam-Soo;Park, Sang-Geun;Park, Chan-Ho;Kim, Soon-Ok;Ahn, Il-Pyung;Park, Sook-Young;Yoon, Choong-Hyo;Lee, Yo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151-155
    • /
    • 2000
  • A cDNA (Oslls1) encoding Lls1-homologue of maize was isolated from cDNA library of rice (Oryza sativa cv. Ilpum). The 2,138 bp of full length Oslls1 clone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of 1,623 nucleotides encoding 575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Oslls1 has a high level of homology with chlorophyll a oxygenases of Arabidopsis thaliana (67%) and Marchantia polymorpha (65%). Southern blot analysis of genomic DNA indicates the existence of a small gene family for Oslls1 in the rice genome. The expression of Oslls1 mRNA was induced in leaves and germinating seeds. Treatment of $H_2O$$_2$significantly down-regulated Oslls1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Oslls1 mRNA was consititutively down-regulated in the blm, a rice mutant exhibiting spontaneous necrotic le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Oslls1 gene may be involved incell death mechanisms in the blm mutant of rice.

  • PDF

Growth Responses and Regrowth to Low Temperature of Nine Native Moss Species

  • Gong, Gyeong Yeop;Jeong, Kyeong Jin;Lee, Sang Woo;Yun, Jae Gill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75-582
    • /
    • 2019
  • Moss i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indoor landscaping as well as outdoor landscaping. Moss is vivid green during growth and excellent in ornamental value. But when temperature drops, moss stops growth, turns brown or loses its ornamental value. In the present experiment, for the purpose of classifying native mosses according to the growth response to low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plant growth chamber was set to 15℃/5℃ (16h/8h, day/night) and 5℃ (24h) for 8 weeks using nine native moss species.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plant growth chamber was set to 20℃, and then the changes of moss block area and moss color were measured. The changes of moss block area and moss color were measured using a Photoshop program, after each moss block was photographed. As a result, Atrichum undulatum (Hedw.). Beauv., Etodon luridus (Griff.) A. Jaeger, Bachythecium plumosum (Hedw.) Schimp, Plagiomnium cuspidatum (Hedw.) T.J. Kop, and Hypnum plumaeforme Wilson showed a small decrease in moss block area at low temperature, and their recovery were the fastest at 20℃. These three species had higher green values at low temperature compared to other species, and the greenness increased rapidly at 20℃. On the other hand, Atrichum undulatum (Hedw.). Beauv., Marchantia polymorpha L., and Thuidium cymbifolium (Mitt.) A. Jaeger showed the smallest block area at low temperature and the lowest recovery even at 20℃. Their green value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t low temperature, and maintained low green value even at 20℃.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moss species are sensitive to low temperature. The remaining Myuroclada maximowiczii, Plagiomnium cuspidatum, and H. erectiusculum showed moderate responses to low temperature compared to other six species of mo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