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ure handl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8초

자외선에 의한 가축분뇨 액비 시용 논 표면수 중 대장균 사멸율 변화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in Surface Water of Saturated Soil with the Pig Manure-based Liquid Fertilizers by Ultraviolet Radiation)

  • 김민경;정구복;홍성창;강성수;권순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68-370
    • /
    • 2011
  • 가축분뇨 액비인 SCB 액비를 논토양 조건의 포트에 시용하였을 때 자외선에 의해 분변성 대장균의 사멸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볼 때 가축 분뇨의 퇴 액비화시 유해 미생물 제거에 광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가축분뇨 퇴 액비를 직접 농경지에 시용하였을 때 외부 환경의 건전성 유지와 환경 위해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향후 농경지 시용에 대한 현장 실험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CDM 사업부문별 투자비용 결정요인 분석: 폐기물 부문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n the Invest Determinants of CDM Project: Evidence from Waste Handling and Disposal Sector)

  • 김지훈;임성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5-553
    • /
    • 2020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te sector CDM project were analyzed through cluster analysis of the waste sector CDM project and the analysis of the CDM investment cost in waste sector using CDM project data registered with UNFCCC since 2008 when EU ETS phase 2 began. As of September 2020, 772 cases of CDM projects in waste disposal and disposal are registered. Biogas technology is the largest, followed by livestock manure processing and biomass production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average, projects utilizing AWMS technology are small in size and relatively low in investment costs. This is judged to be relatively low investment costs due to previously attracted foreign investment capital. Second, the average investment cost of CDM projects considered along with waste (No.13), the energy industry (No.1) and agriculture (No.15) was higher than those involving only waste. The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waste sector CDM project showed that, as with cluster analysis, the AWMS technology, which is a livestock manure treatment technology, was lower in the investment cost than those that use other technologi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vestment cost of the CDM project was analyzed lower in the order of biomass, AWMS, LFG and biogas. Also, the higher the investment cost for CDM projects linked to waste, energy and agriculture, and the better the investment environment, the higher the investment cost. Although no statistical feasibility was obtained, the larger the annual emission reduction, the lower the CDM investment cost.

남은 음식물과 가축분 혼합 Extrusion 사료의 대체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성적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Extruded Food Waste and Animal Manure Mixture Diets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

  • 김창혁;박재인;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6
    • /
    • 2005
  • 본 시험은 계분 및 돈분의 extrusion 처리가 산란계에 대한 산란성적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계분, 옥수수 및 타피오카를 $50\%,\;30\%$$20\%$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BMERF)한 사료(실험 1)와 남은 음식물(FW), 돈분 및 옥수수를 $40\%,\;40\%$$20\%$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SFERF)한 사료(실험 2)를 이용하였다. 실험처리는 실험 1에 4개 처리구(대조구, BMERF $10\%$, BMERF $20\%$ 및 BMERF $40\%$이며, 시험 2에 6개 처리구(대조구, FW $20\%$, W $40\%$, SFERF $10\%$, SFERF $20\%$, SFERF $40\%$)를 두었으며, 12주간 처리 당 4반복 반복당 30수를 공시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남은 음식물, 계분, 돈분의 영양성분은 extrusion 가공에 의하여 단백질, 에너지 및 칼슘 함량이 유의하게(p<0.05)개선 되었다. 실험 1에서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BMERF $10\%$구에 비하여 BMERF $20\%$$40\%$구가 높았으며(p<0.05), 산란율은 대조구와 BMERF $10\%$구 및 BMERF $20\%$구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BMERF $40\%$구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BMERF $10\%$구는 차이(p>0.05)가 없었으나, BMERF $20\%$구 및 $40\%$구는 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MERF 첨가는 난황색, 난백고 및 Haugh unit에 의하여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실험 2에서 사료섭취 량은 대조구, FW $20\%$구, SFERF $10\%$구 및 SFERF $20\%$구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FW $40\%$와 SFERF $40\%$구만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산란율은 대조구와 SFERF $10\%$구와 SFERF $20\%$구는 차이(p>0.05)가 없었으나, FW $20\%$구, FW $40\%$구 및 SFERF $40\%$구는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사료효율은 산란율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난중, 난황색, 난백고 및 Haugh unit는 처리 간 차이(p>0.05)가 없었다.

밭토양에서 토양수분과 온도변화에 따른 분변성 대장균 사멸율 변화 (Pathogenic E. coli Inactivation in Upland Soils to a Change of Soil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 김민경;김민영;최철만;고병구;권순익;원항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0-95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가축분뇨를 농경지에 시용하는 것은 작물과 토양에 양분을 공급하는 측면에서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자원을 재순환하기 위한 측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가축분뇨를 농경지에 시용하였을 때 미생물적 평가나 규제기준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요구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밭토양에서 토양수분과 온도조건에 따른 분변성 대장균의 사멸율을 조사하여 분변성 대장균이 외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시료는 토양수분조건(10, 35, 65, 80%) 및 온도조건 (20, 25, $30^{\circ}C$)별로 정해진 기간 (3, 7, 14, 21, 28일) 동안 배양되었으며 각각의 시료에 포함된 대장균의 수는 plating method 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분산분석을 통한 측정자료의 통계분석 결과, 분변성 대장균의 생존에는 토양수분함량과 온도가 주 요인이었는데, 특히 토양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E. coli의 사멸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수분 조건과 온도조건 중에서 분변성 대장균의 사멸율은 온도조건에 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온도조건에서 10%의 토양수분조건에서 분변성 대장균의 사멸율이 높았다. 이는 토양수분이 E. coli의 사멸에 제한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축분뇨를 농경지에 시용할 때 인체의 위해성과 외부 환경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온 저습한 토양조건에서 시용하여야 한다는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토착유기농업의 토양비옥도 증진책의 문제점과 대안 (Problems and Solutions of Soil Fertility Enhancement in Korean Organic Farming)

  • 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77
    • /
    • 2000
  •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soil fertility enhancement in Korean organic farming which does not harmonize with internationally recognized standard of organic agriculture such as Basic Standard of IFOAM, EU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FAO/WHO codex alimentarius. The necessity of rotation, legume, green manure to enhance the soil fertility or organic farming system was discussed, and the reasons why salt accumulation including nitrate and phosphate in the rooted soil profiles was frequently occurred in Korean organic farmer's field also discussed. Soil testing for correct handling of organic fertilization was introduced to void the salt accumulation just applying the huge amount of organic fertilizer year to year to reach a maximum crop yield. In the conclusion it was suggested for Korean organic agriculture to make an effort to coincide it's regulation with internationally recognized standards for organic farming.

  • PDF

液狀콤포스트化 處理에 있어서 乳牛糞尿의 化學的 特性 (Chemical Properties of Dairy Slurry for Liquid Composting)

  • 홍지형;최병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65-171
    • /
    • 1995
  • 액상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방법의 하나로서 공해방지와 지력증강을 위하여 액상유우 분뇨의 호기성 처리기술을 실용화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는 액상유우 분뇨의 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고액 분리하지 않은 액상유우 분뇨의 고형물 농도(TS)는 7.54(%wb), 산도(pH)는 6.92, 유기물 농도(TS)는 79.34(%TS),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81,300~96,500(mg/$\ell$), 암모니아태 질소(NH$_3$-N)는 1,690~2,300(mgfe), 및 질산태 질소(NO,-Pf)는 36.0-40.0(mg/$\ell$) 이었다. 2) 고액분리된 액상유우 분뇨의 화학적 특성은 우사형식, 분뇨배출방식, 고액분리기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며 고형물 농도는 4.43~7.95(%wb), 산도(pH)는 7.31, 유기물 농도(VS)는 74.57~79.93(%TS),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52,400~73,700(mg/$\ell$), 암모니아태 질소(NH$_3$-N)는 2,035~2,960(mg/$\ell$), 질산태 질소(NO$_3$-N)는 19.0~30.0(mg/$\ell$) 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양돈 슬러리의 암모니아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mmonia Emission Characteristic of Pig Slurry)

  • 이성현;윤남규;김경원;이인복;김태일;장진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육성 비육돈 슬러리를 이용하여 슬러리의 환경조건에 따라 슬러리로 부터의 암모니아 발생 특성을 분석코자 하였다. 슬러리의 온도와 pH를 조절하여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 분석한 결과 슬러리의 온도가 높을수록 슬러리로 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슬러리의 pH를 5, 6, 7, 8의 4수준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결과 pH 5, 6에서는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pH 7, 8에서는 많은 양의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었고 양돈 슬러리의 pH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슬러리의 온도를 낮추어 주거나 슬러리의 pH를 낮춤으로써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양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tted from Swine Facilities)

  • 김재혁;유경선;오제범;정주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39-444
    • /
    • 2012
  • 실제운영 중인 40여개 양돈시설을 대상으로 사육밀도, 경영방식, 돈사환기방식, 돈분뇨 처리방식 및 악취저감제 적용특성 등의 관리현황을 파악하고 관능평가 및 악취물질 분석을 통하여 양돈시설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유발물질과 악취발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양돈시설 악취발생원 중 악취농도(복합악취)는 액비화시설(포기 상태)(평균 4,055배) > 분뇨집수조(평균 913배) > 비육사(평균 506배) > 퇴비화시설(평균 201배) 순으로 조사되었다. 비육사의 경우 슬러리 피트 내부의 돈분뇨 적체높이가 높아질수록,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악취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사료첨가 유무에 따른 악취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MA를 제외한 9종의 악취물질($NH_3$$H_2S$, MM, DMS, DMDS, PA, n-BA, n-VA, i-VA)이 돈사와 분뇨저장조 및 퇴비화시설에서 검출되었으며, 악취기여도가 높은 물질은 $H_2S$, MM 등의 황화계열물질과 n-BA, n-VA, i-VA 등의 휘발성 지방산류이었다. 조사 대상 양돈시설의 97.5%가 주거지역과 300 m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 악취민원 발생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HOUSING AND MANAGEMENT OF DAIRY CATTLE IN SMALL SCALE FARMS OF EAST JAVA, IN INDONESIA

  • Sarwiyono, Sarwiyono;Djoharjani, T.;Ibrahim, M.N.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389-394
    • /
    • 1993
  • A study on housing and management of dairy cows was conducted in three villages. All activities of husbandry related to the housing and the condition of the cows were observed and farmers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The main type of housing was a tie stall mostly in the back yard area with a gable or shed type roof. Inside the shed the temperature ranged from 17 to $29^{\circ}C$ and the relative humidity ranged from 62 to 73%. Drainage and manure handling was poor which lead to poor cleanliness of the stables and animal skins. The floor space was mostly wide and the roof level was low (less than 2.5 m). The slope of the floor (1-3%) was sufficient, the roughness of the floor was of medium quality. The shape and size of the feed trough was good with a surface of mostly irregular forms. Concentrate was mixed with water and offered in liquid form in pails made from plastic or from parts of rubber car tires. Hoof length was too long which could lead to unstable position and self injury. It is concluded that the housing conditions of dairy cattle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dition of the animals and the production performance.

Smallholder Dairy Production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 Characteristics, Potential and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 Review -

  • Devendra,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04-113
    • /
    • 2001
  • Smallholder dairy production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ype of systems, their characteristics, potential, and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Three types of dairy systems are identified and described: smallholder systems, smallholder cooperative dairy production systems, and intensive dairy production systems. The first two systems are by far the most important, and a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intensification. Buffaloes are especially important in South Asia, but elsewhere dairy production mainly involves Holstein-Friesian cross-bred cattle. Dairy goats are important in some countries, but are generally neglected in development programmes. The expansion and intensification of smallholder dairy production is fueled by increased demand for milk with associated problems of milk handling and distribution, hygien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jor constraints to production are inter alia, choice of species, breeds and availability of animals; feed resources and improved feeding systems; improved breeding, reproduction, and animal health care; management of animal manure, and organised marketing, and market outlets. These constraints provide major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to increase dairy production, efficient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improved livelihoods of poor farmers. Specific areas for research are identified, as also the need of a holistic focus involv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integrate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a shared partnership between farmers and scientists that can demonstrate increased productivity and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s. Suggestions for performance indicators in smallholder dairy production systems are indicated.